"쿠버네티스 Storage Clas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 Persistent Volume을 동적으로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클래스에 소속시킬 때 그 필드들이 사용됨
: Persistent Volume을 동적으로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클래스에 소속시킬 때 그 필드들이 사용됨


<source lang='yaml'>
<syntaxhighlight lang='yaml'>
kind: StorageClass
kind: StorageClass
apiVersion: storage.k8s.io/v1
apiVersion: storage.k8s.io/v1
19번째 줄: 19번째 줄:
   - debug
   - debug
volumeBindingMode: Immediate
volumeBindingMode: Immediate
</source>
</syntaxhighlight>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쿠버네티스 Volume]]
* [[쿠버네티스 Volume]]
* [[쿠버네티스 Ingress Class]]
* [[쿠버네티스 Persistent Volume]]
* [[쿠버네티스 Persistent Volume]]
* [[쿠버네티스 VolumeSnapshotClass]]
* [[쿠버네티스 Dynamic Volume Provisioning]]
* [[쿠버네티스 Dynamic Volume Provisioning]]
* [[쿠버네티스 용어]]
* [[쿠버네티스 용어]]
* [[스토리지 클래스]]
* [[kubectl get StorageClass]]
* [[kubectl get StorageClass]]
* [[kubectl get pv]]


==참고==
==참고==
*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torage/storage-classes/
*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torage/storage-classes/


[[분류: kubernetes]]
[[분류:K8s StorageClass]]

2024년 1월 15일 (월) 15:4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쿠버네티스 Storage Class
Kubernetes 스토리지 클래스
  • 여러가지 스토리지 유형을 표현하는 것 (관리자가 설정함)
  • 클러스터 관리자가 정의한 QoS 수준, 백업정책, 기타 정책에 매핑됨
  • 각 스토리지클래스는 provisioner, parameters, reclaimPolicy 필드를 포함함
Persistent Volume을 동적으로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클래스에 소속시킬 때 그 필드들이 사용됨
kind: StorageClass
apiVersion: storage.k8s.io/v1
metadata:
  name: standard
provisioner: kubernetes.io/aws-ebs
parameters:
  type: gp2
reclaimPolicy: Retain
mountOptions:
  - debug
volumeBindingMode: Immediate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