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VPC"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Amazon VPC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Amazon VPC)
;아마존 가상 사설 클라우드; 아마존 VPC
;아마존 가상 사설 클라우드 (아마존 VPC)
* "격리형 클라우드 리소스"
* "격리형 클라우드 리소스"
* "클라우드 상에 논리적으로 격리된 공간을 프로비저닝"
* "클라우드 상에 논리적으로 격리된 공간을 프로비저닝"
* AWS의 [[가상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
* AWS의 [[가상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
* 고객이 정의하는 가상 네트워크 제공
* 고객이 정의하는 가상 네트워크 제공
*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 제어 가능
*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 제어 가능. IPv6지원
* 계정 생성시 VPC 별로 [[AWS 기본 VPC, 기본 서브넷|기본 VPC]] 및 관련 리소스들이 자동으로 생성됨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1/AWS_Simple_Icons_Virtual_Private_Cloud.svg/200px-AWS_Simple_Icons_Virtual_Private_Cloud.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1/AWS_Simple_Icons_Virtual_Private_Cloud.svg/200px-AWS_Simple_Icons_Virtual_Private_Cloud.svg.png
13번째 줄: 14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z컬럼3|
* [[아마존 EC2]]
* [[아마존 EC2]]
* [[가상 사설 클라우드]](VPC)
* [[핵심 AWS 서비스]]
* [[핵심 AWS 서비스]]
* [[AWS 서비스 목록]]
* [[AWS 서비스 목록]]
* [[AWS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NI)
* [[AWS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NI)
* [[가상 사설 클라우드 VPC]]
}}


==참고==
==참고==
* https://en.wikipedia.org/wiki/Amazon_Virtual_Private_Cloud
* https://aws.amazon.com/ko/vpc/
* https://aws.amazon.com/ko/vpc/
* {{영어위키백과|Amazon Virtual Private Cloud}}
* [https://docs.aws.amazon.com/ko_kr/vpc/latest/userguide/what-is-amazon-vpc.html Amazon VPC란 무엇인가? - AWS]
** [https://docs.aws.amazon.com/ko_kr/vpc/latest/userguide/VPC_Scenario2.html 시나리오 2: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이 있는 VPC(NAT) - AWS]
* [https://www.44bits.io/ko/post/understanding_aws_vpc 만들면서 배우는 AWS VPC 입문 - 아마존 웹 서비스 네트워크의 기초]
* [https://blog.2dal.com/2017/09/12/aws-vpc-basic/ asbubam's blog - AWS VPC basic]


[[분류: AWS]]
[[분류: AWS]]

2022년 9월 16일 (금) 00:36 기준 최신판

1 개요[ | ]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Amazon VPC)
아마존 가상 사설 클라우드 (아마존 VPC)
  • "격리형 클라우드 리소스"
  • "클라우드 상에 논리적으로 격리된 공간을 프로비저닝"
  • AWS의 가상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
  • 고객이 정의하는 가상 네트워크 제공
  •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 제어 가능. IPv6지원
  • 계정 생성시 VPC 별로 기본 VPC 및 관련 리소스들이 자동으로 생성됨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