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합의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corporatism ; 합의주의 * 이해관계자들이 단체를 만들고 합의를 도출하여 지키게 하는 사회 운영 방식 * 합의안이 의회를 통과해 입...)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corporatism
; corporatism
; 합의주의
; 합의주의, 코퍼러티즘
* 이해관계자들이 단체를 만들고 합의를 도출하여 지키게 하는 사회 운영 방식
* 이해관계자들이 단체를 만들고 합의를 도출하여 지키게 하는 사회 운영 방식
* 합의안이 의회를 통과해 입법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잘 정착된 국가에서는 입법부의 역할을 상당히 대체
* 합의안이 의회를 통과해 입법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잘 정착된 국가에서는 입법부의 역할을 상당히 대체

2018년 2월 8일 (목) 17:28 기준 최신판

1 개요[ | ]

corporatism
합의주의, 코퍼러티즘
  • 이해관계자들이 단체를 만들고 합의를 도출하여 지키게 하는 사회 운영 방식
  • 합의안이 의회를 통과해 입법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잘 정착된 국가에서는 입법부의 역할을 상당히 대체
  • 북유럽 사회민주주의 국가들에 잘 정착된 제도
  • 신자유주의 등장 이후 조금 약해짐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