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 라우팅 프로토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라우팅 정보 규약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라우팅 정보 규약
* 동적으로 경로 정보를 구성하는 라우터 제어 프로토콜
* 동적으로 경로 정보를 구성하는 라우터 제어 프로토콜
*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
* [[IGP]]용,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벡터 알고리즘
* 경유하는 라우터 수가 적을 쪽을 선택하는 프로토콜
*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
* hop 수<ref>경유하는 라우터의 대수</ref>에 따라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
* hop 수<ref>경유하는 라우터의 대수</ref>에 따라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
* 경유 가능성이 있는 라우터를 홉수로 수치화하여, [[DVA]]인접 호스트와의 경로를 동적으로 교환
* 경유 가능성이 있는 라우터를 홉수로 수치화하여, [[거리벡터 알고리즘]]으로 인접 호스트와의 경로를 동적으로 교환
* 경로결정의 기준은 홉수
:즉 홉수가 낮은 것이 좋은 경로라고 판단
:알고리즘 단순함, 메모리 사용 적음, 널리 사용됨(사실상 표준)<ref>라우터 세팅도 간단. 소규모 네트워크는 거의 이것을 사용</ref>
* 기본  업데이트 주기는 30초<ref>기존 경로 확인, 새 경로 확인</ref>
* 장점: 간편한 구성(표준<ref>모든 라우터가 지원함</ref>). 메모리 적게 사용. → 소규모에서 효율적임.
 
==한계점==
* 최대 홉수: 15 (초과시 unreachable)
* 홉수만을 기준으로 하므로, 홉수 적지만 전송속도가 느린 경로가 선택될 수 있음
* 라우팅 트래픽 부하(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 라우팅 루프


==버전==
==버전==
;버전 1
{| class='wikitable'
*RFC 1058
! 버전 !! RFC !! 비고
 
|-
;버전 2
| RIP 버전 1 || RFC 1058 ||
*RFC 1723
|-
*[[CIDR]] 대응 가능하도록 확장
| RIP 버전 2 || RFC 1723 || [[CIDR]] 대응가능 확장
|-
| RIPng (next generation) || RFC 2080 || [[IPv6]] 대응가능 확장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CIDR]]
*[[CIDR]]
*[[EIGRP]]
*[[OSPF]]
*[[OSPF]]
*[[라우팅]]
*[[IS-IS]]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벡터 알고리즘]]
*[[Split Horizon]]
*[[로드 밸런싱]]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 자료==
==참고==
*http://en.wikipedia.org/wiki/Routing_Information_Protocol
* {{위키백과|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 {{영어위키백과|Routing_Information_Protoco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49600&cid=925&categoryId=9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49600&cid=925&categoryId=925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178


[[분류: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

2022년 2월 17일 (목) 14:3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라우팅 정보 규약
  • 동적으로 경로 정보를 구성하는 라우터 제어 프로토콜
  • IGP용,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벡터 알고리즘
  • 경유하는 라우터 수가 적을 쪽을 선택하는 프로토콜
  •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
  • hop 수[1]에 따라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
  • 경유 가능성이 있는 라우터를 홉수로 수치화하여, 거리벡터 알고리즘으로 인접 호스트와의 경로를 동적으로 교환
  • 경로결정의 기준은 홉수
즉 홉수가 낮은 것이 좋은 경로라고 판단
알고리즘 단순함, 메모리 사용 적음, 널리 사용됨(사실상 표준)[2]
  • 기본 업데이트 주기는 30초[3]
  • 장점: 간편한 구성(표준[4]). 메모리 적게 사용. → 소규모에서 효율적임.

2 한계점[ | ]

  • 최대 홉수: 15 (초과시 unreachable)
  • 홉수만을 기준으로 하므로, 홉수 적지만 전송속도가 느린 경로가 선택될 수 있음
  • 라우팅 트래픽 부하(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 라우팅 루프

3 버전[ | ]

버전 RFC 비고
RIP 버전 1 RFC 1058
RIP 버전 2 RFC 1723 CIDR 대응가능 확장
RIPng (next generation) RFC 2080 IPv6 대응가능 확장

4 같이 보기[ | ]

5 주석[ | ]

  1. 경유하는 라우터의 대수
  2. 라우터 세팅도 간단. 소규모 네트워크는 거의 이것을 사용
  3. 기존 경로 확인, 새 경로 확인
  4. 모든 라우터가 지원함

6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