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 ==같이 보기== * [[]] ==참고 자료==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분류: 명사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calligraphy
*  
;書藝
;서예 
*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함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음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e/Chusa-Gyesan_musin.jpg/440px-Chusa-Gyesan_musin.jpg
*추사 김정희의 계산무진. 추사체로 쓰여 있다
 
===서예의 근본정신===
*기법과 병행해서 정신수련을 중요시한함
* [[중국]]에서 서는 [[육예]](六藝), 즉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중의 일부분으로 인간의 선행 수련임
*고상한 [[사군자]] 수업의 도(道)로서 많은 위인들이 생애를 바쳐서 서로 이어서 발전시켜 왔음
*실용적인 요구와 서예적 만족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참다운 인간의 영원성을 추구하는 도(道)로서 철학적으로 종교적으로 열렬히 요구되어 있음
* 근본정신이 동양 일반의 예도(藝道)에 통하는 자연관을 기조로 한 것임
* 하나의 완성된 작품에는 전체를 구성하는 문자의 대소(크고 작음)·포치(布置, 넓게 늘어놓음), 먹의 윤갈(潤渴, 윤택하고 마름), [[낙관]](落款)의 위치 즉 장법(章法, 經營位置, 화면을 살리기 위한 배치법)이 중요함
* 문자의 형태미로서 동양문자는 [[표의문자]], [[한글]]은 표음문자로서 한 자 한 구를 형태미로 응물상형(應物象形, 물체의 모양이나 특성을 잘 알아 표현하는 것) 결합체로 표현함
* 유럽인도 상형문자로서 인간 본질을 순화시키는 서예정신을 배울 수 있음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z컬럼3|
* [[]]
* [[서도]]
* [[장법]]
* [[서각(書刻)]]
* [[문인화]]
* [[사군자]]
* [[금석학]]
* [[탁본학]]
* [[표의문자]]
* [[캘리그래피]]
* [[김정희추사체]]
* [[응물상형결합체]]
* [[서예가]]
}}


==참고 자료==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분류: 서예]]
 
[[분류: 동아시아의 문화]]
[[분류: 명사]]
[[분류: 새문서]]

2021년 5월 23일 (일) 02:10 기준 최신판

1 개요[ | ]

calligraphy
書藝
서예
  •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함
  •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
  •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
  •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음

 

  • 추사 김정희의 계산무진. 추사체로 쓰여 있다

1.1 서예의 근본정신[ | ]

  • 기법과 병행해서 정신수련을 중요시한함
  • 중국에서 서는 육예(六藝), 즉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중의 일부분으로 인간의 선행 수련임
  • 고상한 사군자 수업의 도(道)로서 많은 위인들이 생애를 바쳐서 서로 이어서 발전시켜 왔음
  • 실용적인 요구와 서예적 만족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참다운 인간의 영원성을 추구하는 도(道)로서 철학적으로 종교적으로 열렬히 요구되어 있음
  • 근본정신이 동양 일반의 예도(藝道)에 통하는 자연관을 기조로 한 것임
  • 하나의 완성된 작품에는 전체를 구성하는 문자의 대소(크고 작음)·포치(布置, 넓게 늘어놓음), 먹의 윤갈(潤渴, 윤택하고 마름), 낙관(落款)의 위치 즉 장법(章法, 經營位置, 화면을 살리기 위한 배치법)이 중요함
  • 문자의 형태미로서 동양문자는 표의문자, 한글은 표음문자로서 한 자 한 구를 형태미로 응물상형(應物象形, 물체의 모양이나 특성을 잘 알아 표현하는 것) 결합체로 표현함
  • 유럽인도 상형문자로서 인간 본질을 순화시키는 서예정신을 배울 수 있음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