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
(→같이 보기)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Affinity diagram | ==개요== | ||
;연관 쪽지 배열법 | ;Affinity diagram, KJ Method |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연관 쪽지 배열법, 친화도법, 친화도 다어이그램, 관련성 카드, KJ 기법, KJ법 | |||
* 같은 크기의 종이(규격 카드, 포스트잇)에 아이디어나, 자료를 기록하고 이를 어떤 기준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생각을 정리해 가는 방법. | |||
* 교육분야<ref>http://www.qla.com.au/pages/ExVideos.html</ref>, [[DACUM 직무 분석]]<ref>http://www.dacum.org</ref>에서도 활용되었다. | |||
* [[UX 설계]] 분야에서 많이 언급/활용되었다. 주로 [[포스트잇]]을 사용한다.<ref>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pfa&logNo=70128521418&categoryNo=24&viewDate=¤tPage=1&listtype=0&from=postList</ref> | |||
[[파일:affinity_diagram.jpg|700px]] | |||
==UX 설계시 절차== | ==UX 설계시 절차== | ||
22번째 줄: | 21번째 줄: | ||
==최종 형태== | ==최종 형태== | ||
[[파일:AffinityDiagram 02.jpg|450px|left]] | [[파일:AffinityDiagram 02.jpg|450px|left]] | ||
{{ | {{zclear}}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 {{z컬럼3| | ||
*[[ | * [[SQ3R]] | ||
*[[브레인스토밍]] | * [[포스트잇]] | ||
* [[어피니티]] | |||
* [[다이어그램]] | |||
* [[제텔카스텐]] | |||
* [[브레인스토밍]] | |||
* [[아이디어 구상]] | |||
}} | |||
==참고 | ==참고== | ||
* | * {{영어위키백과|Affinity diagram}} | ||
[[분류: | [[분류:다이어그램]] | ||
[[분류: UX]] | [[분류:UX]] |
2023년 7월 25일 (화) 00:37 기준 최신판
1 개요[ | ]
- Affinity diagram, KJ Method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연관 쪽지 배열법, 친화도법, 친화도 다어이그램, 관련성 카드, KJ 기법, KJ법
- 같은 크기의 종이(규격 카드, 포스트잇)에 아이디어나, 자료를 기록하고 이를 어떤 기준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생각을 정리해 가는 방법.
- 교육분야[1], DACUM 직무 분석[2]에서도 활용되었다.
- UX 설계 분야에서 많이 언급/활용되었다. 주로 포스트잇을 사용한다.[3]
2 UX 설계시 절차[ | ]
- 쪽지 작성
- 각자 자신의 생각을 쪽지를 작성(1장에 하나의 생각)
- 벽면에 쪽지 부착
- 분류 및 배열
- 관련성 있는 쪽지들을 모아 배열한다.
- 제목 쪽지 작성
- 쪽지모둠별로 제목 쪽지를 작성하여 붙인다.
- 토의 및 문서화(향후 설계에 활용)[4]
3 최종 형태[ | ]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편집자 Jmnote bot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 분류 댓글:
- 다이어그램 (2)
OAuth 인증 흐름 ― TWICEOAuth 인증 흐름 ― Jm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