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촉한(囑漢)은 중국 삼국시대 나라중 하나이며 삼국 중에서 영토가 제일 작았던 나라다. 그러나 세력은 강하였다. 삼국 중에서 가장 빨리 멸망하였다. 초대는 유비. 말대는 유비의 아들 [[유선]]이다.
==개요==
;Shu Han; Shu, Han ( 221 ~ 263 )
;囑漢; 囑, 漢, 大漢
;촉한; 촉, 촉나라, 한, 대한
* 중국 삼국시대 나라중 하나
* 유비가 지금의 사천성 지역에 세운 나라
* 삼국 중에서 영토가 제일 작았던 나라
* 삼국 중에서 가장 빨리 멸망함
* 수도: [[성도]]
 
초대황제는 [[유비]], 말대황제는 유비의 아들 [[유선]]이다.


후한의 황제인 헌제 유협이 [[조조]]의 아들 [[조비]]에게 양위하여 후한이 멸망하고 [[조위]]가 건국되자 한중왕도 자신이 점령한 땅에서 후한(後漢)을 계승한다는 명목으로 촉한(蜀漢)을 건국하였다.  
후한의 황제인 헌제 유협이 [[조조]]의 아들 [[조비]]에게 양위하여 후한이 멸망하고 [[조위]]가 건국되자 한중왕도 자신이 점령한 땅에서 후한(後漢)을 계승한다는 명목으로 촉한(蜀漢)을 건국하였다.  
5번째 줄: 15번째 줄:
263년 [[조위]]의 황제 [[조환]]이 촉한을 공격할때 패배하여 말대 황제 유선이 항복해 멸망하였다.
263년 [[조위]]의 황제 [[조환]]이 촉한을 공격할때 패배하여 말대 황제 유선이 항복해 멸망하였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e/%E4%B8%89%E5%9B%BD%E8%A1%8C%E6%94%BF%E5%8C%BA%E5%88%92%28%E7%B9%81%29.png/330px-%E4%B8%89%E5%9B%BD%E8%A1%8C%E6%94%BF%E5%8C%BA%E5%88%92%28%E7%B9%81%29.png
:→ 주황색 영역
== 역대 황제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대수 !! 묘호 !! 시호 !! 이름 !! 연호 !! 비고
! 대수 !! 묘호 !! 시호 !! 이름 !! 연호 !! 비고
|-
|-
| 1 || 열조(?) || 소열황제 || [[유비]] || 장무 || 건국자
| 1 || 열조(?) || 소열황제 || [[유비]] || 장무 || 건국자<br>한중왕(漢中王)<br>선주(先主)
|-
|-
| 2 || - || 효회황제 || [[유선]] || 건흥<br>연희<br>경요<br>염흥 || 마지막 황제
| 2 || - || 효회황제 || [[유선]] || 건흥<br>연희<br>경요<br>염흥 || 마지막 황제
|-
|-
|}
|}
==같이 보기==
* [[촉한정통론]]
* [[조위]]
* [[중국 삼국시대]]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촉한
[[분류: 촉나라]]

2017년 7월 23일 (일) 03:22 기준 최신판

1 개요[ | ]

Shu Han; Shu, Han ( 221 ~ 263 )
囑漢; 囑, 漢, 大漢
촉한; 촉, 촉나라, 한, 대한
  • 중국 삼국시대 나라중 하나
  • 유비가 지금의 사천성 지역에 세운 나라
  • 삼국 중에서 영토가 제일 작았던 나라
  • 삼국 중에서 가장 빨리 멸망함
  • 수도: 성도

초대황제는 유비, 말대황제는 유비의 아들 유선이다.

후한의 황제인 헌제 유협이 조조의 아들 조비에게 양위하여 후한이 멸망하고 조위가 건국되자 한중왕도 자신이 점령한 땅에서 후한(後漢)을 계승한다는 명목으로 촉한(蜀漢)을 건국하였다.

263년 조위의 황제 조환이 촉한을 공격할때 패배하여 말대 황제 유선이 항복해 멸망하였다.

 

→ 주황색 영역

2 역대 황제[ | ]

대수 묘호 시호 이름 연호 비고
1 열조(?) 소열황제 유비 장무 건국자
한중왕(漢中王)
선주(先主)
2 - 효회황제 유선 건흥
연희
경요
염흥
마지막 황제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