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귀문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Hexagonal tortoise problem ;地數龜文圖 ;지수귀문도 * 최석정이 만든 육각형 마방진 * 자연수를 1부터 하나씩 꼭짓점에 일정한 순서...)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Hexagonal tortoise problem
;Hexagonal tortoise problem, jisuguimundo, jisugwimundo
;地數龜文圖
;[[地]][[數]][[龜]][[文]][[圖]]
;지수귀문도
;지수귀문도
* "거북무늬 그림"
* [[최석정]]이 만든 육각형 마방진
* [[최석정]]이 만든 육각형 마방진
* 자연수를 1부터 하나씩 꼭짓점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각 육각형의 수의 합을 같게 만드는 것
* 자연수를 1부터 하나씩 꼭짓점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각 육각형의 수의 합을 같게 만드는 것
* 일반 마방진과 달리 다양한 합이 가능
* 일반 마방진과 달리 다양한 합이 가능
* 다이아몬드 배열에서 2x2 16꼭지는 40-62, 3x3 30꼭지는 77-109의 합이 가능
* 다이아몬드 배열에서 2x2 16꼭지는 40-62, 3x3 30꼭지는 77-109의 합이 가능
* 삼각형 배열에서 2x2 16꼭지는 34-50, 3x3 22꼭지는 57-71, 4x4 30꼭지는 83-121의 합이 가능
* 삼각형 배열에서 2x2 16꼭지는 34-50, 3x3 22꼭지는 57-71, 4x4 30꼭지는 83-121의 합이 가능
* 육각형 배열에서 2x2 24 꼭지는 65-85, 3x3 54꼭지는 40-190의 합이 가능
* 육각형 배열에서 2x2 24 꼭지는 65-85, 3x3 54꼭지는 140-190의 합이 가능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e/Hexagonal-tortoise-problem.png/223px-Hexagonal-tortoise-problem.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e/Hexagonal-tortoise-problem.png/330px-Hexagonal-tortoise-problem.png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최석정]]
*[[구수략]]
*[[마방진]]
*[[마방진]]
 
*[[마육각진]]
==참고 자료==
==참고==
*http://en.wikipedia.org/wiki/Hexagonal_tortoise_problem
* http://en.wikipedia.org/wiki/Hexagonal_tortoise_problem
*http://arxiv.org/abs/1501.03104
* http://arxiv.org/abs/1501.03104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86690&cid=58376&categoryId=58376


[[분류: 마방진]]
[[분류: 마방진]]
[[분류: 5음절 한자어 명사]]
[[분류: 地]][[분류: 數]][[분류: 龜]][[분류: 文]][[분류: 圖]]

2021년 5월 27일 (목) 01:0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Hexagonal tortoise problem, jisuguimundo, jisugwimundo
지수귀문도
  • "거북무늬 그림"
  • 최석정이 만든 육각형 마방진
  • 자연수를 1부터 하나씩 꼭짓점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각 육각형의 수의 합을 같게 만드는 것
  • 일반 마방진과 달리 다양한 합이 가능
  • 다이아몬드 배열에서 2x2 16꼭지는 40-62, 3x3 30꼭지는 77-109의 합이 가능
  • 삼각형 배열에서 2x2 16꼭지는 34-50, 3x3 22꼭지는 57-71, 4x4 30꼭지는 83-121의 합이 가능
  • 육각형 배열에서 2x2 24 꼭지는 65-85, 3x3 54꼭지는 140-190의 합이 가능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