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저자들이 주장하는 21세기형 시장경제의 모델은 민주주의적 참여, 생태적 가치, 정치의 역할이 존중되는 민주주의적 시장경제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인간 상식의 유대를 전제로 하는 삶의 질을 높이는 세계화를 이야기한다.
저자들이 주장하는 21세기형 시장경제의 모델은 민주주의적 참여, 생태적 가치, 정치의 역할이 존중되는 민주주의적 시장경제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인간 상식의 유대를 전제로 하는 삶의 질을 높이는 세계화를 이야기한다.
==목차==
*제1장 20대 80의 사회
*제2장 온 세상이 모두 하향평준화되고 있다
*제3장 세계금융시장의 독재
*제4장 늑대의 법칙
*제5장 속편한 거짓말
*제6장 능력 있는 사람은 자신을 구하라! 그런데 도대체 누가 능력 있는가?
*제7장 범죄자냐 희생자냐?
*제8장 도대체 국가는 누구의 것인가?
*제9장 방황의 끝


== # 자일리톨  ==
== # 자일리톨  ==
34번째 줄: 45번째 줄:
*[[세계화]]
*[[세계화]]


==참고 자료==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The_Global_Trap
*https://en.wikipedia.org/wiki/The_Global_Trap



2017년 7월 18일 (화) 01:43 기준 최신판

1 개요[ | ]

(독일어) Die Globalisierungsfalle: Der Angriff auf Demokratie und Wohlstand
(영어) Global Trap: Civilization and the Assault on Democracy and Prosperity
세계화의 덫

 

 

 

2 책 소개[ | ]

지구촌을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시키는 데 성공한 세계화의 실상과 그 위험성을 경고한 책. 독일의 저널리스트인 저자들은 세계화의 틈새 사이로 대부분의 일하는 사람들이 생존의 경계에서 몸을 떨며 서 있고, 세계화는 소수의 승리자와 다수의 패배자로 사회를 재편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들이 주장하는 21세기형 시장경제의 모델은 민주주의적 참여, 생태적 가치, 정치의 역할이 존중되는 민주주의적 시장경제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인간 상식의 유대를 전제로 하는 삶의 질을 높이는 세계화를 이야기한다.

3 목차[ | ]

  • 제1장 20대 80의 사회
  • 제2장 온 세상이 모두 하향평준화되고 있다
  • 제3장 세계금융시장의 독재
  • 제4장 늑대의 법칙
  • 제5장 속편한 거짓말
  • 제6장 능력 있는 사람은 자신을 구하라! 그런데 도대체 누가 능력 있는가?
  • 제7장 범죄자냐 희생자냐?
  • 제8장 도대체 국가는 누구의 것인가?
  • 제9장 방황의 끝

4 # 자일리톨[ | ]

정말 오래 걸려서 읽은 책이다. 독일의 저널리스트 2인이 쓴 책이기도 하고, 옮긴이인 강수돌 교수가 번역을 잘 하기도 해서인지 문맥이 쉬우면서도 잘 읽히긴 했다. 그래도 굵기나 무게가 좀 나가는 책이어서 출퇴근 시간에 오며가며 읽기에는 부담감이 느껴진 건 사실이다. 그래서 머리맡에 놓아두고 잠들기 전에 잠깐씩 읽다가 어제서야 끝장을 봤다. 한번에 원샷으로 읽지 못하고 오랫시간에 걸쳐 야금야금 읽어서인지 뭘 읽었는지 기억이 잘 안 난다. 이런~~_-a

이 책은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실체와 그 대안에 대해 서술한다. 언론인 저자들답게 유럽과 미국의 풍부한 사례들과 인터뷰들을 섞어 써서 그 양은 상당히 늘어났지만, 물 흐르는 듯 쉽게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세계정세를 파악하는데도 상당한 도움을 주는 책이다. 또한, 우리보다 먼저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의 폐해를 겪은 독일에서 1997년경 씌여진 책인만큼, 책의 곳곳에서 현재 우리의 모습과 그 대안을 엿볼 수 있다.

저자들는 유럽연합과 국제연합 등 세계기구 차원에서 국가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제적 투기자본의 흐름을 차단하고 정치적, 생태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자고 역설한다. 대안은 있으되 자본과 권력자들에 의해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라는 식이다. 하지만 그 국가 혹은 정부라는 것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난 아직 어떤 확신도 없고, 그런 이유로 저자의 말이 가능할지의 여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에 의해 갈수록 우리들의 삶이 팍팍해지는 것이 사실인만큼 무언가 대안이 있다는 것이 내 마음을 조금은 가볍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세계화론자다. 하지만 "저들"처럼 "자본의 세계화", "범죄의 세계화", "착취의 세계화"만이 아닌 "자유와 평등의 세계화", "인권과 생태의 세계화"를 원하는 진정한 세계화론자일 것이다.-- 자일리톨 2004-11-1 10:33 pm

5 같이 보기[ | ]

6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