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록시방식, DSR방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Proxy mode ;프록시 모드 ;Direct Server Return; DSR ;다이렉트 서버 리턴, 직접 서버 회신 ==프록시모드== *Client의 요청과 그에 대한 응답이 모두...)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Proxy mode
;Proxy mode
;프록시 모드  
;프록시 모드, 프록시 방식


;Direct Server Return; DSR
;Direct Server Return; DSR
;다이렉트 서버 리턴, 직접 서버 회신
;다이렉트 서버 리턴, 직접 서버 회신, DSR방식


==프록시모드==
==프록시 방식==
*Client의 요청과 그에 대한 응답이 모두 로드밸랜서를 통과하는 방식
* Client의 요청과 그에 대한 응답이 모두 로드밸런서를 통과하는 방식
* 대칭형 로드밸런싱
*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모두 변조(NAT)


==DSR==
==DSR 방식==
*Client의 요청은 로드밸런서를 통과하지만 응답은 서버에서 직접하는 방식
* Client의 요청은 로드밸런서를 통과하지만 응답은 서버에서 직접하는 방식
* 요청과 다른 네트워크 경로로 응답하는 방식
* 비대칭형 로드밸런싱<ref>an option for asymmetrical load distribution, where request and reply have different network paths.</ref>
* 패킷의 목적지만 변조(NAT)


http://www.weirdnet.nl/images/natvsdsr.png
http://www.weirdnet.nl/images/natvsdsr.png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로드밸런싱]]
* [[로드밸런싱]]
* [[가상IP]]
* [[프록시 서버]]


==참고 자료==
==참고==
*http://ktdsoss.tistory.com/m/post/270
*http://undeadly.org/cgi?action=article&sid=20080617010016
*http://undeadly.org/cgi?action=article&sid=20080617010016
*https://en.wikipedia.org/wiki/Load_balancing_(computing)


[[분류: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

2018년 7월 12일 (목) 14:48 기준 최신판

Proxy mode
프록시 모드, 프록시 방식
Direct Server Return; DSR
다이렉트 서버 리턴, 직접 서버 회신, DSR방식

1 프록시 방식[ | ]

  • Client의 요청과 그에 대한 응답이 모두 로드밸런서를 통과하는 방식
  • 대칭형 로드밸런싱
  •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모두 변조(NAT)

2 DSR 방식[ | ]

  • Client의 요청은 로드밸런서를 통과하지만 응답은 서버에서 직접하는 방식
  • 요청과 다른 네트워크 경로로 응답하는 방식
  • 비대칭형 로드밸런싱[1]
  • 패킷의 목적지만 변조(NAT)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1. an option for asymmetrical load distribution, where request and reply have different network paths.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