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technē는 자연을 모방하거나, 자연을 보완·완성하는 행위로 이해되었다.
* technē는 자연을 모방하거나, 자연을 보완·완성하는 행위로 이해되었다.
* 자연에 없는 것을 인간이 제작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했지만, 플라톤은 예술적 제작을 이데아(참된 실재)의 모사에 불과하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 자연에 없는 것을 인간이 제작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했지만, 플라톤은 예술적 제작을 이데아(참된 실재)의 모사에 불과하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Jmnote==
‘테크네(τέχνη)’에 가장 가까운 한국어 단어는 ‘[[기예(技藝)]]’로 볼 수 있다. 두 단어 모두 기술·예술·기교가 분화되기 이전의 통합된 제작 능력을 가리키며, 목적·규칙·이론·숙련을 포함한 실천적 창조 능력이라는 점에서 본질을 공유한다. 오늘날 ‘기술’은 공학 중심으로, ‘예술’은 창작 중심으로 분화되었으나, 기예와 테크네는 그 이전의 경계를 나누지 않던 상태를 대표하는 말이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38번째 줄: 41번째 줄:
* [[테크]](tech)
* [[테크]](tech)
* [[테크닉]](technique)
* [[테크닉]](technique)
* [[에피스테메]]
* [[테크놀로지]](technology)
* [[테크놀로지]](technology)
* [[프로나시스]]
}}
}}


52번째 줄: 57번째 줄:
* {{리브레위키}}
* {{리브레위키}}


[[분류: 고대 그리스어]]
[[분류: 3음절 그리스어계 외래어 명사]]
[[분류: 3음절 외래어 명사]]

2025년 11월 9일 (일) 16:2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τέχνη
techne, technē
테크네
  • 고대 그리스어에서 예술(art), 기술(technique), 솜씨(skill)를 포괄하는 개념
  • 특정 지식(지침·규칙·이해)에 기초한 숙련된 제작 및 실천 활동
  • 단순 반복 숙달을 넘어 영리함, 기교, 판단, 설명 가능성까지 포함하는 넓은 개념
  • 현대에는 주로 '기술(technique)'의 의미로 쓰이지만, 원래는 음악, 의학, 수공예, 건축, 항해, 수사학, 정치술 등 폭넓은 분야를 포함했다.
  •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만들기(poiēsis)와 행하기(praxis)의 중간 영역, 즉 제작적 지식을 뜻하는 핵심 개념
  • 이론적 지식(epistēmē), 실천적 지혜(phronēsis)와 구분되는 생산·제작의 지식
  • 테크닉(technique, 기교), 테크놀로지(technology, 기술), 아트(art, 예술)의 공통 어원

2 특징[ | ]

2.1 목적을 아는 제작 지식[ | ]

  • technē는 단순한 숙련(skill)이 아니라, 목적(telos)을 인식하고 이를 실현하는 능력이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술은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아는 상태’이며, 그 근거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2.2 실천과 이론의 결합[ | ]

  • technē는 행위(action)와 이론(logos, 설명 가능성)을 모두 포함한다.
  • 플라톤은 "기술자(technitēs)는 자신의 행위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3 선(善)과 완성(텔로스 실현)의 지향[ | ]

  • technē는 좋은 결과(good)를 목표로 하며, 단순 완료가 아니라 ‘마땅히 도달해야 할 최적의 상태’에 이르는 것(완성, telos의 실현)을 추구한다.
  • 즉 「끝냈다」는 의미가 아니라 “본래 목적에 부합하는 가장 적합하고 탁월한 상태에 도달했다”는 뜻이다.

2.4 자연과의 관계[ | ]

  • technē는 자연을 모방하거나, 자연을 보완·완성하는 행위로 이해되었다.
  • 자연에 없는 것을 인간이 제작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했지만, 플라톤은 예술적 제작을 이데아(참된 실재)의 모사에 불과하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3 #Jmnote[ | ]

‘테크네(τέχνη)’에 가장 가까운 한국어 단어는 ‘기예(技藝)’로 볼 수 있다. 두 단어 모두 기술·예술·기교가 분화되기 이전의 통합된 제작 능력을 가리키며, 목적·규칙·이론·숙련을 포함한 실천적 창조 능력이라는 점에서 본질을 공유한다. 오늘날 ‘기술’은 공학 중심으로, ‘예술’은 창작 중심으로 분화되었으나, 기예와 테크네는 그 이전의 경계를 나누지 않던 상태를 대표하는 말이다.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