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논어 읽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목차)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 이미지 ==
== 이미지 ==
[[파일:rongo-3.jpg|x600px]][[파일:rongo-4.jpg|x600px]]
[[파일:rongo3.png|x600px]][[파일:rongo4.png|x600px]]
{{글 숨김|전체 표지 보기}}
{{글 숨김|전체 표지 보기}}
[[파일:rongo-1.jpg|x600px]][[파일:rongo-2.jpg|x600px]][[파일:rongo-3.jpg|x600px]][[파일:rongo-4.jpg|x600px]][[파일:rongo-5.jpg|x600px]]
[[파일:rongo1.png|x600px]][[파일:rongo2.png|x600px]][[파일:rongo3.png|x600px]][[파일:rongo4.png|x600px]][[파일:rongo5.png|x600px]]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 목차 ==
== 목차 ==
{{글 숨김}}
{{z컬럼|3|
<syntaxhighlight lang='text'>
* 『논어』와 배움의 권리회복 5
『논어』와 배움의 권리회복 5
*
 
*
 
* 제 I 부 31
제 I 부 31
* 제1강 배움에 대하여 33
제1강 배움에 대하여 33
* 1.1 학이 제1장 . . . . 34
1.1 학이 제1장 . . . . 34
* 1.2 위정 제15장 . . . 39
1.2 위정 제15장 . . . 39
* 1.3 위정 제4장 . . . . 42
1.3 위정 제4장 . . . . 42
*
 
* 제2강 어짊에 대하여 49
제2강 어짊에 대하여 49
* 2.1 학이 제2장 . . . . 51
2.1 학이 제2장 . . . . 51
* 2.2 학이 제3장 . . . . 58
2.2 학이 제3장 . . . . 58
* 2.3 자로 제27장 . . . 61
2.3 자로 제27장 . . . 61
* 2.4 옹야 제22장 . . . 63
2.4 옹야 제22장 . . . 63
* 2.5 자한 제1장 . . . . 66
2.5 자한 제1장 . . . . 66
*
 
* 제3강 도에 대하여 71
제3강 도에 대하여 71
* 3.1 이인 제8장 . . . . 72
3.1 이인 제8장 . . . . 72
* 3.2 이인 제15장 . . . 78
3.2 이인 제15장 . . . 78
* 3.3 옹야 제17장 . . . 83
3.3 옹야 제17장 . . . 83
* 3.4 공야장 제21장 . . 84
3.4 공야장 제21장 . . 84
*
 
*
 
* 제4강 믿음에 대하여 87
제4강 믿음에 대하여 87
* 4.1 위정 제22장 . . . 90
4.1 위정 제22장 . . . 90
* 4.2 안연 제7장 . . . . 94
4.2 안연 제7장 . . . . 94
* 4.3 태백 제16장 . . . 100
4.3 태백 제16장 . . . 100
* 4.4 양화 제8장 . . . . 102
4.4 양화 제8장 . . . . 102
*
 
* 제5강 하늘에 대하여 105
제5강 하늘에 대하여 105
* 5.1 안연 제5장 . . . . 108
5.1 안연 제5장 . . . . 108
* 5.2 위정 제4장 . . . . 112
5.2 위정 제4장 . . . . 112
* 5.3 선진 제9장 . . . . 118
5.3 선진 제9장 . . . . 118
* 5.4 선진 제10장 . . . 120
5.4 선진 제10장 . . . 120
* 5.5 헌문 제37장 . . . 122
5.5 헌문 제37장 . . . 122
* 5.6 팔일 제13장 . . . 126
5.6 팔일 제13장 . . . 126
*
 
* 제6강 덕에 대하여 131
제6강 덕에 대하여 131
* 6.1 위정 제1장 . . . . 134
6.1 위정 제1장 . . . . 134
* 6.2 위정 제3장 . . . . 141
6.2 위정 제3장 . . . . 141
* 6.3 술이 제22장 . . . 144
6.3 술이 제22장 . . . 144
*
 
* 제 II 부 149
제 II 부 149
* 제7강 인을 묻다 151
제7강 인을 묻다 151
* 7.1 안연 제1장 . . . . 153
7.1 안연 제1장 . . . . 153
* 7.2 안연 제1장 (계속) 159
7.2 안연 제1장 (계속) 159
* 7.3 술이 제29장 . . . 164
7.3 술이 제29장 . . . 164
* 7.4 안연 제3장 . . . . 166
7.4 안연 제3장 . . . . 166
* 7.5 술이 제6장 . . . . 168
7.5 술이 제6장 . . . . 168
*
 
* 제8강 정치를 묻다 171
제8강 정치를 묻다 171
* 8.1 안연 제11장 . . . 172
8.1 안연 제11장 . . . 172
* 8.2 안연 제17장 . . . 176
8.2 안연 제17장 . . . 176
* 8.3 안연 제19장 . . . 179
8.3 안연 제19장 . . . 179
* 8.4 안연 제7장 . . . . 181
8.4 안연 제7장 . . . . 181
* 8.5 자로 제3장 . . . . 183
8.5 자로 제3장 . . . . 183
* 8.6 자로 제15장 . . . 187
8.6 자로 제15장 . . . 187
*
 
* 제9강 효를 묻다 191
제9강 효를 묻다 191
* 9.1 위정 제5장 . . . . 194
9.1 위정 제5장 . . . . 194
* 9.2 위정 제6장 . . . . 198
9.2 위정 제6장 . . . . 198
* 9.3 위정 제7장 . . . . 201
9.3 위정 제7장 . . . . 201
* 9.4 학이 제2장 . . . . 203
9.4 학이 제2장 . . . . 203
*
 
* 제10강 덕을 생각하다 207
제10강 덕을 생각하다 207
* 10.1 이인 제11장 . . . 208
10.1 이인 제11장 . . . 208
* 10.2 이인 제25장 . . . 212
10.2 이인 제25장 . . . 212
* 10.3 옹야 제29장 . . . 214
10.3 옹야 제29장 . . . 214
* 10.4 헌문 제6장 . . . . 217
10.4 헌문 제6장 . . . . 217
* 10.5 위령공 제4장 . . . 221
10.5 위령공 제4장 . . . 221
* 10.6 헌문 제5장 . . . . 222
10.6 헌문 제5장 . . . . 222
* 10.7 위령공 제8장 . . . 225
10.7 위령공 제8장 . . . 225
*
 
* 제11강 충신과 충서 229
제11강 충신과 충서 229
* 11.1 학이 제4장 . . . . 231
11.1 학이 제4장 . . . . 231
* 11.2 학이 제8장 . . . . 235
11.2 학이 제8장 . . . . 235
* 11.3 이인 제15장 . . . 239
11.3 이인 제15장 . . . 239
* 11.4 공야장 제28장 . . 241
11.4 공야장 제28장 . . 241
*
 
* 제12강 사생·귀신 245
제12강 사생·귀신 245
* 12.1 선진 제9장 . . . . 247
12.1 선진 제9장 . . . . 247
* 12.2 선진 제10장 . . . 249
12.2 선진 제10장 . . . 249
* 12.3 선진 제11장 . . . 250
12.3 선진 제11장 . . . 250
* 12.4 옹야 제10장 . . . 252
12.4 옹야 제10장 . . . 252
* 12.5 선진 제12장 . . . 255
12.5 선진 제12장 . . . 255
*
 
* 제13강 군자 263
제13강 군자 263
* 13.1 위정 제12장 . . . 266
13.1 위정 제12장 . . . 266
* 13.2 위정 제14장 . . . 270
13.2 위정 제14장 . . . 270
* 13.3 자로 제23장 . . . 272
13.3 자로 제23장 . . . 272
* 13.4 학이 제14장 . . . 274
13.4 학이 제14장 . . . 274
* 13.5 옹야 제13장 . . . 275
13.5 옹야 제13장 . . . 275
*
 
* 제 III 부 277
제 III 부 277
* 제14강 문을 배우다 279
제14강 문을 배우다 279
* 14.1 옹야 제18장 . . . 280
14.1 옹야 제18장 . . . 280
* 14.2 학이 제6장 . . . . 283
14.2 학이 제6장 . . . . 283
* 14.3 술이 제24장 . . . 286
14.3 술이 제24장 . . . 286
* 14.4 옹야 제27장 . . . 290
14.4 옹야 제27장 . . . 290
*
 
* 제15강 온고지신 293
제15강 온고지신 293
* 15.1 술이 제1장 . . . . 295
15.1 술이 제1장 . . . . 295
* 15.2 술이 제19장 . . . 299
15.2 술이 제19장 . . . 299
* 15.3 위정 제11장 . . . 301
15.3 위정 제11장 . . . 301
* 15.4 위정 제17장 . . . 304
15.4 위정 제17장 . . . 304
* 15.5 자한 제8장 . . . . 306
15.5 자한 제8장 . . . . 306
* 15.6 계씨 제9장 . . . . 311
15.6 계씨 제9장 . . . . 311
* 15.7 양화 제2장 ·제3장 314
15.7 양화 제2장 ·제3장 314
*
 
* 제16강 시에 대하여 317
제16강 시에 대하여 317
* 16.1 위정 제2장 . . . . 319
16.1 위정 제2장 . . . . 319
* 16.2 팔일 제8장 . . . . 325
16.2 팔일 제8장 . . . . 325
* 16.3 양화 제9장 . . . . 330
16.3 양화 제9장 . . . . 330
* 16.4 태백 제8장 . . . . 334
16.4 태백 제8장 . . . . 334
*
 
* 제17강 악에 대하여 337
제17강 악에 대하여 337
* 17.1 술이 제13장 . . . 339
17.1 술이 제13장 . . . 339
* 17.2 팔일 제23장 . . . 341
17.2 팔일 제23장 . . . 341
*
 
* 제18강 예에 대하여 353
제18강 예에 대하여 353
* 18.1 팔일 제15장 . . . 356
18.1 팔일 제15장 . . . 356
* 18.2 팔일 제3장 . . . . 358
18.2 팔일 제3장 . . . . 358
* 18.3 팔일 제4장 . . . . 360
18.3 팔일 제4장 . . . . 360
* 18.4 안연 제1장 . . . . 361
18.4 안연 제1장 . . . . 361
* 18.5 선진 제1장 . . . . 365
18.5 선진 제1장 . . . . 365
* 18.6 요왈 최종장 . . . 367
18.6 요왈 최종장 . . . 367
*
 
* 제 IV 부 제자들의『논어』 369
제 IV 부 제자들의『논어』 369
* 제19강 증자·자하·자공 371
제19강 증자·자하·자공 371
* 19.1 태백 제5장 . . . . 373
19.1 태백 제5장 . . . . 373
* 19.2 태백 제7장 . . . . 375
19.2 태백 제7장 . . . . 375
* 19.3 선진 제16장 . . . 378
19.3 선진 제16장 . . . 378
* 19.4 자장 제6장 . . . . 380
19.4 자장 제6장 . . . . 380
* 19.5 자장 제5장 . . . . 383
19.5 자장 제5장 . . . . 383
* 19.6 학이 제10장 . . . 385
19.6 학이 제10장 . . . 385
* 19.7 자한 제13장 . . . 388
19.7 자한 제13장 . . . 388
* 19.8 양화 제5장 . . . . 390
19.8 양화 제5장 . . . . 390
* 19.9 공야장 제13장 . . 392
19.9 공야장 제13장 . . 392
*
 
* 제20강 번지·자유 397
제20강 번지·자유 397
* 20.1 옹야 제22장 . . . 397
20.1 옹야 제22장 . . . 397
* 20.2 안연 제21장 . . . 402
20.2 안연 제21장 . . . 402
* 20.3 옹야 제14장 . . . 406
20.3 옹야 제14장 . . . 406
* 20.4 양화 제4장 . . . . 408
20.4 양화 제4장 . . . . 408
*
 
* 제21강 안회·자장 411
제21강 안회·자장 411
* 21.1 옹야 제7장 . . . . 413
21.1 옹야 제7장 . . . . 413
* 21.2 옹야 제11장 . . . 416
21.2 옹야 제11장 . . . 416
* 21.3 옹야 제3장 . . . . 418
21.3 옹야 제3장 . . . . 418
* 21.4 위령공 제6장 . . . 422
21.4 위령공 제6장 . . . 422
* 21.5 위정 제18장 . . . 425
21.5 위정 제18장 . . . 425
*
 
* 제22강 자로 429
제22강 자로 429
* 22.1 공야장 제7장 . . . 431
22.1 공야장 제7장 . . . 431
* 22.2 술이 제10장 . . . 434
22.2 술이 제10장 . . . 434
* 22.3 공야장 제26장 . . 437
22.3 공야장 제26장 . . 437
* 22.4 술이 제18장 . . . 441
22.4 술이 제18장 . . . 441
* 22.5 술이 제34장 . . . 443
22.5 술이 제34장 . . . 443
*
 
* 제23강 증석·염유 447
제23강 증석·염유 447
* 23.1 선진 제26장 . . . 448
23.1 선진 제26장 . . . 448
* 23.2 팔일 제6장 . . . . 464
23.2 팔일 제6장 . . . . 464
* 23.3 자로 제14장 . . . 468
23.3 자로 제14장 . . . 468
* 23.4 선진 제22장 . . . 470
23.4 선진 제22장 . . . 470
* 23.5 술이 제14장 . . . 474
23.5 술이 제14장 . . . 474
* 23.6 옹야 제12장 . . . 476
23.6 옹야 제12장 . . . 476
*
 
* 후기와 논어 색인 479
후기와 논어 색인 479
}}
</syntaxhighlight>
{{글 숨김 끝}}


== 출판사 책소개 ==
== 출판사 책소개 ==

2024년 7월 4일 (목) 14:42 기준 최신판

1 개요[ | ]

일본의 논어 읽기 --- '배움'을 구하다
思想史家が読む論語 「学び」の復権
편집 정철 표지 디자인 김상만
발행 정철 출판사 빈서재
이메일 pinkcrimson@gmail.com
ISBN 979-11-987652-0-8 (94910)

가로 128mm X 세로 188mm
504페이지. 26000원.

152 중국 철학, 사상 > 유학
153 일본 철학, 사상 > 유학
199 도덕훈, 교훈 > 유학
913 일본사 > 에도 시대


2 이미지[ | ]

Rongo3.pngRongo4.png

전체 표지 보기

Rongo1.pngRongo2.pngRongo3.pngRongo4.pngRongo5.png

3 목차[ | ]

  • 『논어』와 배움의 권리회복 5
  • 제 I 부 31
  • 제1강 배움에 대하여 33
  • 1.1 학이 제1장 . . . . 34
  • 1.2 위정 제15장 . . . 39
  • 1.3 위정 제4장 . . . . 42
  • 제2강 어짊에 대하여 49
  • 2.1 학이 제2장 . . . . 51
  • 2.2 학이 제3장 . . . . 58
  • 2.3 자로 제27장 . . . 61
  • 2.4 옹야 제22장 . . . 63
  • 2.5 자한 제1장 . . . . 66
  • 제3강 도에 대하여 71
  • 3.1 이인 제8장 . . . . 72
  • 3.2 이인 제15장 . . . 78
  • 3.3 옹야 제17장 . . . 83
  • 3.4 공야장 제21장 . . 84
  • 제4강 믿음에 대하여 87
  • 4.1 위정 제22장 . . . 90
  • 4.2 안연 제7장 . . . . 94
  • 4.3 태백 제16장 . . . 100
  • 4.4 양화 제8장 . . . . 102
  • 제5강 하늘에 대하여 105
  • 5.1 안연 제5장 . . . . 108
  • 5.2 위정 제4장 . . . . 112
  • 5.3 선진 제9장 . . . . 118
  • 5.4 선진 제10장 . . . 120
  • 5.5 헌문 제37장 . . . 122
  • 5.6 팔일 제13장 . . . 126
  • 제6강 덕에 대하여 131
  • 6.1 위정 제1장 . . . . 134
  • 6.2 위정 제3장 . . . . 141
  • 6.3 술이 제22장 . . . 144
  • 제 II 부 149
  • 제7강 인을 묻다 151
  • 7.1 안연 제1장 . . . . 153
  • 7.2 안연 제1장 (계속) 159
  • 7.3 술이 제29장 . . . 164
  • 7.4 안연 제3장 . . . . 166
  • 7.5 술이 제6장 . . . . 168
  • 제8강 정치를 묻다 171
  • 8.1 안연 제11장 . . . 172
  • 8.2 안연 제17장 . . . 176
  • 8.3 안연 제19장 . . . 179
  • 8.4 안연 제7장 . . . . 181
  • 8.5 자로 제3장 . . . . 183
  • 8.6 자로 제15장 . . . 187
  • 제9강 효를 묻다 191
  • 9.1 위정 제5장 . . . . 194
  • 9.2 위정 제6장 . . . . 198
  • 9.3 위정 제7장 . . . . 201
  • 9.4 학이 제2장 . . . . 203
  • 제10강 덕을 생각하다 207
  • 10.1 이인 제11장 . . . 208
  • 10.2 이인 제25장 . . . 212
  • 10.3 옹야 제29장 . . . 214
  • 10.4 헌문 제6장 . . . . 217
  • 10.5 위령공 제4장 . . . 221
  • 10.6 헌문 제5장 . . . . 222
  • 10.7 위령공 제8장 . . . 225
  • 제11강 충신과 충서 229
  • 11.1 학이 제4장 . . . . 231
  • 11.2 학이 제8장 . . . . 235
  • 11.3 이인 제15장 . . . 239
  • 11.4 공야장 제28장 . . 241
  • 제12강 사생·귀신 245
  • 12.1 선진 제9장 . . . . 247
  • 12.2 선진 제10장 . . . 249
  • 12.3 선진 제11장 . . . 250
  • 12.4 옹야 제10장 . . . 252
  • 12.5 선진 제12장 . . . 255
  • 제13강 군자 263
  • 13.1 위정 제12장 . . . 266
  • 13.2 위정 제14장 . . . 270
  • 13.3 자로 제23장 . . . 272
  • 13.4 학이 제14장 . . . 274
  • 13.5 옹야 제13장 . . . 275
  • 제 III 부 277
  • 제14강 문을 배우다 279
  • 14.1 옹야 제18장 . . . 280
  • 14.2 학이 제6장 . . . . 283
  • 14.3 술이 제24장 . . . 286
  • 14.4 옹야 제27장 . . . 290
  • 제15강 온고지신 293
  • 15.1 술이 제1장 . . . . 295
  • 15.2 술이 제19장 . . . 299
  • 15.3 위정 제11장 . . . 301
  • 15.4 위정 제17장 . . . 304
  • 15.5 자한 제8장 . . . . 306
  • 15.6 계씨 제9장 . . . . 311
  • 15.7 양화 제2장 ·제3장 314
  • 제16강 시에 대하여 317
  • 16.1 위정 제2장 . . . . 319
  • 16.2 팔일 제8장 . . . . 325
  • 16.3 양화 제9장 . . . . 330
  • 16.4 태백 제8장 . . . . 334
  • 제17강 악에 대하여 337
  • 17.1 술이 제13장 . . . 339
  • 17.2 팔일 제23장 . . . 341
  • 제18강 예에 대하여 353
  • 18.1 팔일 제15장 . . . 356
  • 18.2 팔일 제3장 . . . . 358
  • 18.3 팔일 제4장 . . . . 360
  • 18.4 안연 제1장 . . . . 361
  • 18.5 선진 제1장 . . . . 365
  • 18.6 요왈 최종장 . . . 367
  • 제 IV 부 제자들의『논어』 369
  • 제19강 증자·자하·자공 371
  • 19.1 태백 제5장 . . . . 373
  • 19.2 태백 제7장 . . . . 375
  • 19.3 선진 제16장 . . . 378
  • 19.4 자장 제6장 . . . . 380
  • 19.5 자장 제5장 . . . . 383
  • 19.6 학이 제10장 . . . 385
  • 19.7 자한 제13장 . . . 388
  • 19.8 양화 제5장 . . . . 390
  • 19.9 공야장 제13장 . . 392
  • 제20강 번지·자유 397
  • 20.1 옹야 제22장 . . . 397
  • 20.2 안연 제21장 . . . 402
  • 20.3 옹야 제14장 . . . 406
  • 20.4 양화 제4장 . . . . 408
  • 제21강 안회·자장 411
  • 21.1 옹야 제7장 . . . . 413
  • 21.2 옹야 제11장 . . . 416
  • 21.3 옹야 제3장 . . . . 418
  • 21.4 위령공 제6장 . . . 422
  • 21.5 위정 제18장 . . . 425
  • 제22강 자로 429
  • 22.1 공야장 제7장 . . . 431
  • 22.2 술이 제10장 . . . 434
  • 22.3 공야장 제26장 . . 437
  • 22.4 술이 제18장 . . . 441
  • 22.5 술이 제34장 . . . 443
  • 제23강 증석·염유 447
  • 23.1 선진 제26장 . . . 448
  • 23.2 팔일 제6장 . . . . 464
  • 23.3 자로 제14장 . . . 468
  • 23.4 선진 제22장 . . . 470
  • 23.5 술이 제14장 . . . 474
  • 23.6 옹야 제12장 . . . 476
  • 후기와 논어 색인 479

4 출판사 책소개[ | ]

[헤드카피] 일본인이 사랑하는 쇼토쿠 태자의 17조 헌법 제1조의 시작 부분인 '以和爲貴'는, 백제를 통해 전래된 『논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조화를 중시하는 일본의 상징적인 글자 和가 여기서 온 것이다.

  • 주자의 『논어집주』에서 일본 근현대까지의 『논어』 해석은 다채로운 변화를 겪었다. 저자 고야스 노부쿠니는 시민강좌 강의를 준비하며 여러 논어 해석을 다시 읽다가 '배움'이라는 키워드를 새로 발견한다. 그 결과물이 이 책이다.
  • “우주 제일의 책” 교학상장의 가르침을 중시했던 에도시대 조닌 유학자 이토 진사이는 『논어』를 이렇게 규정하며 『논어고의』를 저술해 에도 일본의 유학을 재정립했다.
  • "볶은 콩을 집어 먹으며 고금의 인물을 씹는 것은 더할 나위 없이 신나는 일"이라던 오규 소라이는 다산 정약용도 높이 평가한 걸출한 주자학 비판자였다. 그는 주자도 이토 진사이도 거침없이 비판하며 논어를 새로 읽고 『논어징』을 저술했다.
  • 근대 일본 기업가의 모범이자 1만엔 지폐의 새 주인공인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일생의 경험을 청년세대에 전하는 매개체로 『논어』를 선택했고 『논어와 주판』이라는 베스트셀러도 남겼다.

5 책속 한구절[ | ]

소년들은 지금 배움에 뜻을 둘 수 있는가? 근대의 제도로서의 학교 교육은, 지식의 교수와 습득의 단계적 진학 과정이 되어버려 정작 소년들에게서 배움의 동기를 빼앗고 있지는 않은가?– [p47]

인민의 믿음이 없는 곳에서 정치는 성립하지 않으며 국가 역시 성립하지 않는다. 인민이 안심하고 의거할 수 있는 것, 그 인민의 신용·신뢰를 잃으면 정치는 이미 붕괴한 것이다.– [p181]

선인의 유문을 배우는 것이 갖는 본래의 성격이 바로 박학이다. 좁게 배우는 것은 배움의 본뜻에 반하는 것이다. 이른바 `바보 전문가' 즉 특정 분야 외에 사회적 상식이나 교양이 결여한 사람들의 발생은 근대에 나타난 현상이다.– [p289]

뜻을 독실하게 하는 것은 절실하게 묻는 것이다. 배워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그것은 배우는 이에게 절실한 물음이 있는지에 달려 있다.– [p379]

그러나 인에 대해 제자가 질문했을 때 공자는 제자가 살아온 인생의 눈높이에 맞춰서 답을 하였다. 가르침이란 바로 그런 것이다.– [p403]

6 저자 / 역자 소개[ | ]

지은이 고야스 노부쿠니(子安宣邦). 1933년 생. 도쿄대학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오사카대학 명예교수. 사상사·윤리학 전공. 한국어로 번역된 도서는 다음과 같다. 『한자론』,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의 개략'을 정밀하게 읽는다』, 『일본근대사상비판』, 『귀신론』, 『야스쿠니의 일본, 일본의 야스쿠니』, 『동아 대동아 동아시아』 등.

옮긴이 김선희. 일본 히로시마대학에서 『조선과 일본 지식인의 자타인식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사상사 전공. 현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대한제국·식민지 조선의 철도 여행 안내』, 『에도시대를 생각한다』, 『일본 정치사상사』, 『에도 유교와 근대의 知』 등을 번역하고, 공저로 『일본사 시민강좌』(근간), 『일본 근세 유학과 지식의 활용』 등이 있다.

[출판사 / 총서 소개]

에도 말기와 메이지유신 전환기를 주로 공부하는 박훈 교수는 도쿠가와 시대를 다룬 연구서가 매우 적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주변의 연구자들을 모으고 때를 기다리다가 플라톤 아카데미와 함께 연구서를 출간할 기회를 마련했다. 한일관계가 나빠질수록 서로를 알아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간 외면되었던 일본 근세와 근대의 주요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빈서재 출판사는 이에 호응하여 연구총서를 준비했다.

7 띠지의 추천서 목록[ | ]

일본 유학/사상사 사료 소개
  • 논어고의 (이토 진사이 / 그린비)
  • 동자문 (이토 진사이 / 그린비)
  • 논어징 (오규 소라이 / 소명출판)
  • 정담 (오규 소라이 / 서해문집)
  • 도비문답 (이시다 바이간 / 호밀밭)
일본 유학 연구서 소개
  • 일본유학, 동아시아유학의 관점에서 보다 (오진 / 예문서원)
  • 이또오 진사이 (이기동 / 성균관대 출판부)
  • 일본 정치사상사 : 17~19세기 (와타나베 히로시 /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와타나베 히로시 / 예문서원)
  • 도쿠가와 시대의 철학사상 (미나모토 료엔 / 예문서원)
  • 에도 유학과 근대의 지 (나카무라 슌사쿠 / 선인)
  • 도와 덕 - 다산과 오규 소라이의 <중용>,<대학> 해석 (금장태 / 이끌리오)
  • 일본 논어 훈점본의 해독과 번역 (한문훈독연구회 / 숭실대학교출판부)
  • 일본 논어 해석학 (황준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공자와 논어 (요시카와 고지로 / 뿌리와이파리)
  • 논어와 주판 (시부사와 에이이치 / 페이퍼로드)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