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번째 줄: 8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번교]]
* [[미토번]]
* [[미토번]]
* [[일본의 미학]]
* [[도쿠가와 미쓰쿠니]]
* [[도쿠가와 미쓰쿠니]]



2023년 12월 29일 (금) 00:20 판

1 개요

Mitogaku
水戶學(みとがく)
미토학
  • 일본 미토번(현 이바라키현)에서 일어난 일본사 및 신토 연구
  • 미토번의 제2대 영주인 도쿠가와 미쓰쿠니(德川光圀, 1628~1700)의 『대일본사(大日本史)』 편찬사업을 통해 형성되었다. 천황에 대한 존경을 견지하면서 주자학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사연구에 중점이 있었다. 뒤에는 국학(國學)의 영향을 받아 막말 존왕양이사상의 진원지가 되었다. 존왕사상을 주장하여 천황의 권위를 바탕으로 막부 중심의 정치 개혁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후지타 유코쿠(藤田幽谷, 1744~1826)와 후지타 도코(藤田東湖, 1806~1855) 부자, 아이자와 세이시사이(會澤正志齋, 1782~1863)가 그 대표적 인물이다. 후기 미토학은 이전까지 따로 제창되어 왔던 존왕과 양이를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일본국가체제를 표현하는 `국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아이자와의 대표적 논저인 『신론(新論)』은 `국체론'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작품이다.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