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齋)"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기숙사]]
* [[기숙사]]
* [[결재(潔齋)]]
* [[결재(潔齋)]]
* [[천승재]]
* [[동재(東齋)]]
* [[서재(西齋)]]
* [[칠재(七齋)]]
* [[49재]](49齋)
* [[백일재(百日齋)]]
* [[천도재(遷度齋)]]
* [[천승재(千僧齋)]]
* [[재계(齋戒)]]
* [[재계(齋戒)]]
* [[재궁(齋宮)]]
* [[잿날(齋날)]]
* [[잿돈(齋돈)]]
* [[잿밥(齋밥)]]
* [[재쌀(齋쌀)]]
* [[재실(齋室)]]
* [[재자(齋者)]]
* [[재회(齋會)]]
* [[재지기(齋지기)]]
* [[정재소(淨齋所)]]
* [[재에 호 춤]]
* [[재에 호 춤]]
* [[재 들은 중]]
* [[재 들은 중]]

2022년 12월 30일 (금) 02:21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재(ash)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재(hill)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재(齋)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재(財)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재(載)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 신이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며 행동을 삼감 → 재계(齋戒)
  • 종교적 의식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 (불교)
  • 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
  • 본디 삼업(三業)정제(整齊)하여 악업을 짓지 아니하는 일
  • 정오(正午)를 지나지 아니한 식사
  • 정오(正午)를 지나지 아니하여 먹는 식사
  • 우리나라 절에서,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
  • 승려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공양을 올리면서 행하던 불교 의식
  • (유교)
  • 교육기관에 딸린 숙소
  • 고려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에 설치한 학습장소 또는 기숙사
  • 고려ㆍ조선 시대에, 국자감ㆍ성균관ㆍ사학(四學)ㆍ향교(鄕校)ㆍ정사(精舍)ㆍ서원(書院) 따위에 딸린 유생(儒生)의 기숙사
  • 조선 시대에, 성균관에 둔 유교 경전 교과 과정 또는 전문 학과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