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아들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12번째 줄:
* 알프레드 아들러
* 알프레드 아들러
  '''베스트셀러,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38170730?cat_id=&frm=PBOKMOD&query=%EB%AF%B8%EC%9B%80%EB%B0%9B%EC%9D%84+%EC%9A%A9%EA%B8%B0&NaPm=ct%3Dlb7os30g%7Cci%3D9a14c8dd5d8980df337a3225785d0161bbc318c2%7Ctr%3Dboknx%7Csn%3D95694%7Chk%3D79af397116728672cb5fcff48ebe520ca1d30b2a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베스트셀러,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38170730?cat_id=&frm=PBOKMOD&query=%EB%AF%B8%EC%9B%80%EB%B0%9B%EC%9D%84+%EC%9A%A9%EA%B8%B0&NaPm=ct%3Dlb7os30g%7Cci%3D9a14c8dd5d8980df337a3225785d0161bbc318c2%7Ctr%3Dboknx%7Csn%3D95694%7Chk%3D79af397116728672cb5fcff48ebe520ca1d30b2a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 [[  ]]
* 아들러의 주된 관심은 우월함의 추구, 육체적 허약함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권력의 추구, 출생순위에 따른 성격의 형성 등이었으며 프로이트의 환원적인 관점과도 거리를 두었다. 아들러의 관점은 이후 의미치료의 창시자인 빅토르 프랑클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
* [[  ]]
* [[  ]]
* [[  ]]
* [[  ]]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대립==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대립==

2022년 12월 5일 (월) 12:52 판

1 프로이트

프로이트.jpg

베스트셀러, "꿈의해석"의 저자

2 알프레드 아들러

아들러.jpg

  • 알프레드 아들러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 아들러의 주된 관심은 우월함의 추구, 육체적 허약함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권력의 추구, 출생순위에 따른 성격의 형성 등이었으며 프로이트의 환원적인 관점과도 거리를 두었다. 아들러의 관점은 이후 의미치료의 창시자인 빅토르 프랑클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

3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대립

프로이트 이전엔 정신과 상담이란 것은 거의 없었다. 정신 이상자는 대부분 격리되거나 종교적이거나 비체계적인 요법의 대상이 될뿐이었다. 프로이트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 요법과 정신에 대한 이론이 나오기 시작했고, 그 중 유명한 인물인 프로이트와 아들러이다. 이들의 이론은 심리 치료의 중심으로 쓰이고 있다.

3.1 프로이트의 '원인론'과 아들러의 '목적론'

3.1.1 원인론

원인론

3.1.2 목적론

3.2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아들러의 '열등감'

3.2.1 무의식

3.2.2 아들러의 '열등감'

  • 아들러는 오스트리아 빈 근교에 있는 유태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 어린 시절의 아들러는 아주 병약했다고 한다. 폐렴과 구루병도 앓았고 두 번의 교통사고로 죽을 고비도 넘겼다고 한다. (옆에서 같이 자던 동생이 죽는 광경을 목격함.) 건강도 안좋은 데다가 공부도 썩 잘하지 못함. -> 아들러의 아버지는 공부말고 구두를 만드는 기술을 가르치기 시작함.
  • 건강하고 공부도 잘하는 자신의 형에게 상당한 열등감을 갖게 되었고 그 덕분인지 아들러는 우수한 성적으로 학교를 졸업하고 안과의사가 됨.
  • 시각 능력이 떨어지면 청각이나 촉각 등 다른 감각이 좋아지는 것을 발견함. 눈이 좋지 않는 사람이 책을 읽는 것에 더 집착하는 것을 발견. (인간은 자신의 단점을 만회하려 한다는 점.)

ex) 베토벤 18년동안 귀가 먹은 상태로 작곡을 함. 인간은 열등감을 극복하려고 하는 의지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

4 관련서적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정신분석의 프로이트, 개인심리학의 아들러
현대 임상심리학의 원류가 된 두 학자가 바라본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다른가?
그들은 흔들리고 뒤틀린 인간의 마음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왜 오늘날의 심리치료는 프로이트가 아닌 아들러에 주목하는가?

5 참고

[[분류: ]] [[분류: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