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로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6번째 줄: 6번째 줄:
* 중세부터 근대에 걸쳐 사용된 문어 문체의 하나
* 중세부터 근대에 걸쳐 사용된 문어 문체의 하나
* 메이지(明治)·타이쇼(大正)시대까지 쓰인 예스러운 서한 문체
* 메이지(明治)·타이쇼(大正)시대까지 쓰인 예스러운 서한 문체
* 문장 말미에 정중함을 나타내는 [[조동사]] '{{ruby|候|そうろう|소-로-}}'를 덧붙이는 문체
* 문장 끝에 정중한 말투의 보조동사 「候(そうろう)」를 사용하여 쓰인 글
* 문장 끝에 정중한 말투의 보조동사 「候(そうろう)」를 사용하여 쓰인 글
* 문장 말미에 정중함을 나타내는 [[조동사]] '{{ruby|候|そうろう|소-로-}}'를 덧붙이는 문체
* 문장 끝을 '…ます' '…です' 대신에 'そうろう'로 끝맺는 문어체의 서한문
* 문장 끝을 '…ます' '…です' 대신에 'そうろう'로 끝맺는 문어체의 서한문
* 말끝이 겸양어인 候(そうろう)로 끝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 말끝이 겸양어인 候(そうろう)로 끝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2022년 9월 2일 (금) 01:17 판

1 개요

(そうろうぶん)
소로분
  • 주로, 편지에 쓰는 문어체
  • ‘候’라는 말을 사용하는 문어문(文語文)의 일종
  • 중세부터 근대에 걸쳐 사용된 문어 문체의 하나
  • 메이지(明治)·타이쇼(大正)시대까지 쓰인 예스러운 서한 문체
  • 문장 말미에 정중함을 나타내는 조동사 ' (そうろう)'를 덧붙이는 문체
  • 문장 끝에 정중한 말투의 보조동사 「候(そうろう)」를 사용하여 쓰인 글
  • 문장 끝을 '…ます' '…です' 대신에 'そうろう'로 끝맺는 문어체의 서한문
  • 말끝이 겸양어인 候(そうろう)로 끝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 중세 이래 서간문이나 공문서‧원서‧신고서 등에 쓰였다.
  • 가마쿠라 시대 이후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 화문체의 '데스·마스체(です·ます體)'와 같은 것으로 비교되며 서간문을 중심으로 메이지·다이쇼 시대까지 쓰였다.
  • 지금도 간혹 쓰인다.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