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이앙법]]
{{z컬럼3|* [[이앙법]]
* [[상호부조]]
* [[상호부조]]
* [[공동오락]]
* [[공동오락]]
14번째 줄: 14번째 줄:
* [[품앗이]]
* [[품앗이]]
* [[향약]]
* [[향약]]
*[[두레꾼]]
* [[두렛논]]
* [[두렛농사]]
* [[호락질]]
*[[고지]]
* [[고지자리품]]
* [[봉창고지]]
* [[삯메기]]
*[[통고지]]
* [[가다리]]
* [[배메기]]
* [[반타작]]
*[[뭇갈림]]
*[[도조 ]]
*[[ 마름]]
*[[  마당통]]
*[[가량통 ]]
*[[ 평미레]]
*[[마사니 ]]
*[[ 사축(품삯) ]]
*[[ 사래 ]]
*[[ 사래쌀]]
*[[사랫길 ]]}}


==참고==
==참고==
27번째 줄: 50번째 줄:
[[분류: 공동체]]
[[분류: 공동체]]
[[분류: 2음절 순한글 명사]]
[[분류: 2음절 순한글 명사]]
[[분류: 국어]]
[[분류: 우리말]]

2022년 7월 5일 (화) 20:19 기준 최신판

1 개요[ | ]

두레
  • 농촌에서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향촌 주민들이 마을·부락 단위로 둔 공동 노동 조직
  • 납입의 의미를 가진 '드리', '드레', '드르'에서 유래했다는 설, 조직과 전체를 일컫는 '두르다'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