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ikichan>카페인러브
잔글 (틀:원 적용)
(새 문서: {{다른뜻|동화}} ==개요== ;animation ;애니메이션, 동화 *그림, 인형,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스톱 모션으로 찍어 프레임별로 촬영하는 기법 *프...)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 이 문서는 애니메이션을 일본 문화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 혹은 그 밖의 국가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다른뜻|동화}}
==개요==
;animation
;애니메이션, 동화
*그림, 인형,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스톱 모션으로 찍어 프레임별로 촬영하는 기법
*프레임 촬영으로 그림이나 사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영화의 한 장르
*다른 그림을 연속시켜 마치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동화
*정지한 그림, 화면, 물체를 조금씩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동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방법


'''애니메이션'''{{원|アニメーション, ''Animation''}}은 통상적인 의미로 움직이는 그림을 사용해 만들어진 영상물을 뜻한다. 일본 문화에서 애니메이션 혹은 줄여서 '''아니메'''{{원|アニメ, ''anime''<ref>영어의 animation은 m 다음에 e가 아닌 a가 따르기 때문에 anime라고 압축할 수 없다. anime라는 표기는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뜻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ref>}}라는 표현은 서브컬쳐<ref>서브컬쳐란 특정 집단만이 소비하는 마이너한 문화를 말한다. 상반되는 표현으로는 메인컬쳐, 하이컬쳐 등이 있다.</ref>의 하나로서, TV나 인터넷, 극장, Blu-ray/DVD 등의 매체를 통해 공급되는 영상 창작물을 가리킨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e/Animexample3edit.png


== 애니메이션의 갈래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4/Animexample.gif
애니메이션은 공급되는 매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
! TV 애니메이션
|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 방송으로 공급되는 애니메이션.
|-
! OVA
| 방송되지 않고 Blu-ray나 DVD로만 판매되는 애니메이션. Original Video Animation의 약자로, 오 브이 에이라고 읽는다. DVD가 상용되던 시기에는 '''OAD'''(Original Animation DVD)라는 표기가 사용되기도 했다.<ref>원래는 코단샤가 자사의 상품에 붙인 호칭이라 타사 제품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다.</ref>
|-
! style="white-space:nowrap" | 극장판 애니메이션
| 영화관에서 상영할 목적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영화'''로도 불린다.
|-
! 웹 애니메이션
| 인터넷 상에서 방송할 목적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ONA'''(Original Net Animation)이라고도 불린다.
|}


TV 애니메이션의 경우 주 소비자층에 따라 방영 시간대가 달라지기 때문에 시간대별로 분류하기도 한다.
==같이 보기==
{| class="wikitable"
*[[동영상]]
|-
*[[안드로이드 속성 애니메이션]]
! style="white-space:nowrap" | 심야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목록]]
| 심야에 방영되는 애니메이션. 대중 사이에서 발생한 용어이기 때문에 정의가 무엇인지,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업계에서도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소비자층은 주로 애니메이션을 팬이나 청소년, 젊은 층이다.
** 따라서 아동 애니메이션에서처럼 오프닝, 엔딩에 가사 자막을 띄우지 않거나, "텔레비전을 볼 때는 방을 밝게 하고 화면에서 떨어져서 보세요."라는 메시지를 내보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시청률보다도 Blu-ray나 DVD 판매량에 의해 제작처의 수익이 좌우된다.
** 따라서 스폰서도 원작 출판사나 게임 소프트 제작사, 굿즈 판매사 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상대적인 시청률은 매우 낮다. (단, 노이타미나 계열 작품들은 평균적인 시청률이 높다.)
|-
! 낮 애니메이션
| 낮 시간대에 방영되는 애니메이션. 심야 애니메이션처럼 그 범위는 명확하지 않다.
* 소비자층은 주로 아동인 경우가 많다. 물론 예외가 존재한다.
* 시청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제작처의 수익은 Blu-ray나 DVD 판매량의 의존도가 낮다.
|}


== 작품 목록 ==
==참고 자료==
=== TV 애니메이션 ===
*http://en.wikipedia.org/wiki/Animation
{{분할 시작|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9717&cid=42617&categoryId=42617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2010년대 전반|2010년대 전반]]</span> : 2010년 ~ 2014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3507&cid=40942&categoryId=33091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2000년대 후반|2000년대 후반]]</span> : 2005년 ~ 2009년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2000년대 전반|2000년대 전반]]</span> : 2000년 ~ 2004년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1990년대|1990년대]]</span> : 1990년 ~ 1999년
{{분할|2}}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1980년대|1980년대]]</span> : 1980년 ~ 1989년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1970년대|1970년대]]</span> : 1970년 ~ 1979년
*<span style="width:100px; display:inline-block;">[[위키쨩:TV 애니메이션 제목/1960년대|1960년대]]</span> : 1960년 ~ 1969년
{{분할 끝}}


== 제작 과정 ==
[[분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의 제작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 '''사전 제작''' : 기획에 맞춰 제작팀을 편성하고, 할 일을 결정한다.
# '''프로덕션''' : 원화, 동화 그리고 채색 등 영상의 마무리를 한다.
# '''포스트 프로덕션''' : 애프터 레코딩, 배경음이나 효과음 삽입이나 VTR 편집<ref>오프닝, 엔딩, 아이캐치를 완성하거나 색채 조정, 최종 조정을 한다.</ref>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획, 스탭 편성, 각본, 설정, 콘티, 원화, 동화, 마무리, 배경, 촬영, 작곡, 소리 작업, VTR 편집 등의 과정을 거친다.
 
== 주석 ==
<references />
 
[[분류:애니메이션|*]]

2014년 9월 20일 (토) 01:34 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동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animation
애니메이션, 동화
  • 그림, 인형,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스톱 모션으로 찍어 프레임별로 촬영하는 기법
  • 프레임 촬영으로 그림이나 사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영화의 한 장르
  • 다른 그림을 연속시켜 마치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동화
  • 정지한 그림, 화면, 물체를 조금씩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동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방법

 

 

2 같이 보기

3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