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5번째 줄: 15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z컬럼3|
* [[감가]]
* [[감가]]
* [[상각]]
* [[상각]]
20번째 줄: 21번째 줄:
* [[중고차 감가율]]
* [[중고차 감가율]]
*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비]]
}}


==참고==
==참고==

2022년 5월 8일 (일) 01:00 판

1 개요

depreciation
減價償却
감가상각
  • 자산의 가치 감소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산의 가치 감소를 회계에 반영하는 것
  • 취득한 자산의 원가를 자산의 사용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배분하는 과정
  • 토지를 제외한 고정 자산에 생기는 가치의 소모를 셈하는 회계상의 절차
  • 고정자산의 가치감소를 산정하여 그 액수를 공제하며 비용으로 계상하는 절차
  • 경제학적으로는 유형자산의 가치 감소를 의미하나, 회계학의 관점에서 감가상각이란 고정 자산의 가치 소모를 각 회계 연도에 할당하여 자산의 가격을 줄여 가는 것, 취득한 자산의 원가(취득원가)를 자산의 사용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배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 대상: 건물, 기계장치, 광업권, 어업권
비대상: 토지, 건설중인 것
  • 방식: 정액법, 정률법, 생산량비례법, 연수합계법[1]
  • 처리: 직접법, 간접법

2 같이 보기

3 참고

  1. 정액법, 정률법이 주로 쓰임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