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 패 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4F69 |한자=佩 |속자= |간자= |부수=亻 |훈음=찰 패 |음독=HAI |훈독=OBIDAMA, OBIRU |병음= |총획=8 |나머지획=6 |한국어=차다, 달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속자=
|속자=
|간자=
|간자=
|부수=
|부수=
|훈음=찰 패
|훈음=찰 패
|음독=HAI
|음독=HAI
11번째 줄: 11번째 줄:
|총획=8
|총획=8
|나머지획=6
|나머지획=6
|한국어=차다, 달다, 지니다, 휴대하다, 두르다, 둘러싸다, 마음을 먹다, 명심하다, 탄복하다
|한국어=차다, 달다, 지니다, 휴대하다, 두르다, 둘러싸다, 마음을 먹다, 명심하다, 탄복하다, 감복하다, 경탄하다
|영어=belt ornament, pendant; wear at waist, tie to the belt; respect
|영어=belt ornament, pendant; wear at waist, tie to the belt; respect
}}
}}


==목록==
==한자어==


;2음절
{{Z컬럼|4|
*{{hanza|佩物|패물}}
*{{hanza|佩刀|패도}}
*{{hanza|佩鐵|패철}}
}}
;3음절
{{Z컬럼|4|
*{{hanza|好佩侯|호치후}}
}}
==같이 보기==
* [[차다(wear)]]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佩]]
[[분류: 한자음 패]]
[[분류: 읽기1급]]
[[분류: 읽기1급]]
[[분류: 쓰기특급]]
[[분류: 쓰기특급]]

2022년 4월 26일 (화) 21:04 기준 최신판


찰 패
부수 부수 人
총획/획수 8획 / 6획
훈음 찰 패
일본어 음독 HAI
일본어 훈독 OBIDAMA, OBIRU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4F69

1 의미[]

차다, 달다, 지니다, 휴대하다, 두르다, 둘러싸다, 마음을 먹다, 명심하다, 탄복하다, 감복하다, 경탄하다
belt ornament, pendant; wear at waist, tie to the belt; respect


2 한자어[ | ]

2음절
3음절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