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소구(訴求)|소구}}
{{다른뜻|소구(遡求)}}
{{다른뜻|소구(遡求)}}
==개요==
==개요==
;appeal
;[[appeal]]
;[[訴]][[求]]
;[[訴]][[求]]
;소구
;소구
15번째 줄: 16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z컬럼3|
* [[어필]]
* [[어필]]
* [[광고]]
* [[광고]]
* [[홍보]]
* [[홍보]]
* [[영업]]
* [[영업]]
* [[요구]]
* [[희구]]
* [[갈구]]
* [[마케팅]]
* [[마케팅]]
* [[소구력]]
* [[소구력]]
* [[소구점]]
* [[소구점]]
* [[소구하다]]
* [[소구하다]]
}}


==참고==
==참고==
32번째 줄: 38번째 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분류: 명사]]
[[분류: 2음절 한자어 명사]]
[[분류: 訴]][[분류: 求]]
[[분류: 訴]][[분류: 求]]

2021년 12월 30일 (목) 01:37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소구(訴求)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소구(遡求)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appeal
소구
  • 소송에 의하여 권리를 행사함 → 소송 청구
  • 광고나 판매 따위에서, 사람들의 욕구를 자극시켜 구매 동기를 유발함
  • 광고를 통해 소매자 측의 구매욕을 자극시키기 위해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이나 우월성을 호소하여 공감을 구하는 것

2 예시[ | ]

  • 본질 소구(本質 訴求) - 제품의 경우, 그 성질, 사용법 등의 해설에 중점을 둠
  • 특유 소구(特有 訴求) - 타사 제품과 비교하여 자사 제품의 특성을 강조함
  • 감정 소구(感情 訴求) - 광고 대상자의 감각이나 정서에 호소함
  • 이성 소구(異性 訴求) - 지적 이해를 구함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