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 행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sparse matrix, sparse array
;[[sparse]] [[matrix]], [[sparse]] [[array]]
;[[稀少]] [[行列]]
;[[稀少]] [[行列]]
;희소 행렬
;희소 행렬
6번째 줄: 6번째 줄:
* 행렬의 원소 중에서 많은 항들이 0으로 구성된 행렬
* 행렬의 원소 중에서 많은 항들이 0으로 구성된 행렬
* 행렬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대부분이 0 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는 2차원 행렬
* 행렬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대부분이 0 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는 2차원 행렬
* 렬의 전체 크기에 비하여 실제 유용한 정보들은 일부만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 처리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적은 기억 장소에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행렬의 전체 크기에 비하여 실제 유용한 정보들은 일부만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 처리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적은 기억 장소에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밀도(density)가 낮은 행렬
* 밀도(density)가 낮은 행렬
* 희소성(sparsity)가 높은 행렬
* 희소성(sparsity)가 높은 행렬
18번째 줄: 18번째 줄:
{{z컬럼3|
{{z컬럼3|
* [[밴드 행렬]]
* [[밴드 행렬]]
* [[희소성 (머신러닝)]]
* [[스카이라인 행렬]]
* [[스카이라인 행렬]]
* [[Matrix representation]]
* [[Matrix representation]]

2021년 9월 28일 (화) 00:30 기준 최신판

1 개요[ | ]

sparse matrix, sparse array
稀少 行列
희소 행렬
  • 대부분의 원소가 0인 행렬
  • 행렬의 원소 중에서 많은 항들이 0으로 구성된 행렬
  • 행렬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대부분이 0 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는 2차원 행렬
  • 행렬의 전체 크기에 비하여 실제 유용한 정보들은 일부만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 처리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적은 기억 장소에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밀도(density)가 낮은 행렬
  • 희소성(sparsity)가 높은 행렬

2 예시[ | ]

[math]\displaystyle{ \left({\begin{smallmatrix}11&22&0&0&0&0&0\\0&33&44&0&0&0&0\\0&0&55&66&77&0&0\\0&0&0&0&0&88&0\\0&0&0&0&0&0&99\\\end{smallmatrix}}\right) }[/math]

→ 희소성(sparsity) = 74%
→ 밀도(density) = 26%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