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 스터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source> +</syntaxhighlight>, -<source +<syntaxhighlight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append: 배열 끝에 값을 추가==
==append()==
<source lang='python'>
{{참고|파이썬 append()}}
* 배열 끝에 값을 추가
<syntaxhighlight lang='python'>
names = ['john', 'jane', 'chris']
names = ['john', 'jane', 'chris']
names.append('alex')
names.append('alex')
print (names)
print (names)
# ['john', 'jane', 'chris', 'alex']
# ['john', 'jane', 'chris', 'alex']
</source>
</syntaxhighlight>


==insert: 배열의 원하는 인덱스 위치에 값을 추가==
==insert()==
<source lang='python'>
{{참고|파이썬 insert()}}
* 배열의 원하는 인덱스 위치에 값을 추가
<syntaxhighlight lang='python'>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insert(1, 'kann')
names.insert(1, 'kann')
17번째 줄: 21번째 줄:
print (names)
print (names)
# ['jason', 'john', 'kann', 'jane', 'chris', 'alex']
# ['jason', 'john', 'kann', 'jane', 'chris', 'alex']
</source>
</syntaxhighlight>


del: 인덱스로 접근하고 삭제 후에 값을 반환하지 않음, 또한 배열의 범위로 삭제 가능
==del==
(case1)
{{참고|파이썬 del}}
<source lang='python'>
* 인덱스로 접근하고 삭제 후에 값을 반환하지 않음, 또한 배열의 범위로 삭제 가능
<syntaxhighlight lang='python'>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del(0)
del names[0]
print(names)
print(names)
# ['jane', 'chris', 'alex']
# ['jane', 'chris', 'alex']
</source>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python'>
(case2)
<source lang='python'>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del names[:2]
del names[:2]
print(names)
print(names)
# ['chris', 'alex']
# ['chris', 'alex']
</source>
</syntaxhighlight>


pop(): 인덱스로 접근하고 삭제 후에 값을 반환, 배열의 범위로 삭제 불가능
==pop()==
(case1)
{{참고|파이썬 pop()}}
<source lang='python'>
* 인덱스로 접근하고 삭제 후에 값을 반환, 배열의 범위로 삭제 불가능
<syntaxhighlight lang='python'>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pop(1)
names.pop(1)
print(names)
print(names)
# ['john', 'chris', 'alex']
# ['john', 'chris', 'alex']
</source>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python'>
(case2)
<source lang='python'>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a = names.pop(1)
a = names.pop(1)
print(a)
print(a)
# jane
# jane
</source>
</syntaxhighlight>


remove: 인덱스가 아닌 값을 삭제
==remove()==
<source lang='python'>
{{참고|파이썬 remove()}}
* 인덱스가 아닌 값을 삭제
<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1', '3', '4', '5']
a = ['1', '2', '1', '3', '4', '5']
a.remove('1')
a.remove('1')
print (a)
print (a)
# ['2', '1', '3', '4', '5']            <-- remove 로 1 을 삭제했지만 배열 중에 동일 값이 2개 이상일 경우 순서 상 가장 앞의 값을 제거함
# ['2', '1', '3', '4', '5']            <-- remove 로 1 을 삭제했지만 배열 중에 동일 값이 2개 이상일 경우 순서 상 가장 앞의 값을 제거함
</source>
</syntaxhighlight>


• slice : 슬라이싱,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를 출력(배열 리스트를 삭제하는 것이 아님)
==슬라이싱==
<source lang='python'>
{{참고|파이썬 리스트 슬라이싱}}
* 슬라이싱,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를 반환(배열 리스트를 삭제하는 것이 아님)
<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1', '3', '4', '5']
a = ['1', '2', '1', '3', '4', '5']
b = a[1:]
b = a[1:]
71번째 줄: 77번째 줄:
# ['2', '1', '3', '4', '5']
# ['2', '1', '3', '4', '5']
#  ['1', '2', '1', '3', '4', '5']
#  ['1', '2', '1', '3', '4', '5']
</source>
</syntaxhighlight>


extend(): 배열의 뒤에 index 추가
==extend()==
<source lang='python'>
{{참고|파이썬 extend()}}
* 배열의 뒤에 index 추가
<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3']
a = ['1', '2', '3']
a.extend(['4', '5'])
a.extend(['4', '5'])
80번째 줄: 88번째 줄:
print (a)
print (a)
# ['1', '2', '3', '4', '5']
# ['1', '2', '3', '4', '5']
</source>
</syntaxhighlight>


==extend, append==
• 배열과 배열의 연결은 extend로, 배열에 배열을 추가는 append로
• 배열과 배열의 연결은 extend로, 배열에 배열을 추가는 append로
(case: 배결와 배결의 연결)
{{소스헤더|배결와 배결의 연결}}
<source lang='python'>
<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3']
a = ['1', '2', '3']
a.extend(['4', '5'])
a.extend(['4', '5'])
print (a)
print (a)
# ['1', '2', '3', '4', '5']
# ['1', '2', '3', '4', '5']
</source>
</syntaxhighlight>


(case: 배열에 다른 배열을 추가)
{{소스헤더|배열에 다른 배열을 추가}}
<source lang='python'>
<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3']
a = ['1', '2', '3']
a.append(['4', '5'])
a.append(['4', '5'])
print (a)
print (a)
# ['1', '2', '3', ['4', '5']]
# ['1', '2', '3', ['4', '5']]
</source>
</syntaxhighlight>


배열과 배열의 연결 또 다른 방법 "+"
=="+"==
<source lang='python'>
* 배열과 배열의 연결 또 다른 방법  
<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3']
a = ['1', '2', '3']
a = a + ['4', '5', '6', '7', '8', '9', '10']
a = a + ['4', '5', '6', '7', '8', '9', '10']
print (a)
print (a)
# ['1', '2', '3', '4', '5', '6', '7', '8', '9', '10']
# ['1', '2', '3', '4', '5', '6', '7', '8', '9', '10']
</source>
</syntaxhighlight>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Python 리스트]]
* [[Python 리스트]]
* [[Python 리스트 메소드]]


[[분류: Python 리스트]]
[[분류: Python 리스트]]

2021년 9월 24일 (금) 23:37 기준 최신판

1 append()[ | ]

  • 배열 끝에 값을 추가
names = ['john', 'jane', 'chris']
names.append('alex')
print (names)
# ['john', 'jane', 'chris', 'alex']

2 insert()[ | ]

  • 배열의 원하는 인덱스 위치에 값을 추가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insert(1, 'kann')
print (names)
# ['john', 'kann', 'jane', 'chris', 'alex']

names.insert(0, 'jason')
print (names)
# ['jason', 'john', 'kann', 'jane', 'chris', 'alex']

3 del[ | ]

  • 인덱스로 접근하고 삭제 후에 값을 반환하지 않음, 또한 배열의 범위로 삭제 가능
names = ['john', 'jane', 'chris', 'alex']
del names[0]
print(names)
# ['jane',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del names[:2]
print(names)
# ['chris', 'alex']

4 pop()[ | ]

  • 인덱스로 접근하고 삭제 후에 값을 반환, 배열의 범위로 삭제 불가능
names = ['john', 'jane', 'chris', 'alex']
names.pop(1)
print(names)
# ['john', 'chris', 'alex']
names = ['john', 'jane', 'chris', 'alex']
a = names.pop(1)
print(a)
# jane

5 remove()[ | ]

  • 인덱스가 아닌 값을 삭제
a = ['1', '2', '1', '3', '4', '5']
a.remove('1')
print (a)
# ['2', '1', '3', '4', '5']            <-- remove 로 1 을 삭제했지만 배열 중에 동일 값이 2개 이상일 경우 순서 상 가장 앞의 값을 제거함

6 슬라이싱[ | ]

  • 슬라이싱,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를 반환(배열 리스트를 삭제하는 것이 아님)
a = ['1', '2', '1', '3', '4', '5']
b = a[1:]

print (b)
print (a) 

# ['2', '1', '3', '4', '5']
#  ['1', '2', '1', '3', '4', '5']

7 extend()[ | ]

  • 배열의 뒤에 index 추가
a = ['1', '2', '3']
a.extend(['4', '5'])

print (a)
# ['1', '2', '3', '4', '5']

8 extend, append[ | ]

• 배열과 배열의 연결은 extend로, 배열에 배열을 추가는 append로

배결와 배결의 연결
a = ['1', '2', '3']
a.extend(['4', '5'])
print (a)
# ['1', '2', '3', '4', '5']
배열에 다른 배열을 추가
a = ['1', '2', '3']
a.append(['4', '5'])
print (a)
# ['1', '2', '3', ['4', '5']]

9 "+"[ | ]

  • 배열과 배열의 연결 또 다른 방법
a = ['1', '2', '3']
a = a + ['4', '5', '6', '7', '8', '9', '10']
print (a)
# ['1', '2', '3', '4', '5', '6', '7', '8', '9', '10']

10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