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에 XenServer 설치 실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3번째 줄:
;VMware에 XenServer 설치하기
;VMware에 XenServer 설치하기
;VMware 활용하여 XenServer 실습 환경 구축
;VMware 활용하여 XenServer 실습 환경 구축
*VMware를 활용하여 XenServer 실습 환경을 구성해보자.<ref>실제로 이렇게 쓰는 경우는 본적이 없다.;;; 측정은 해보지 않았지만, 가상화가 이중으로 되어 VM의 성능이 좋지 않을 것 같다...</ref>
*VMware를 활용하여 XenServer 실습 환경을 구성해보자.<ref>실제 서비스용을 이렇게 사용하는 사례는 본적이 없다. 이중 가상화이므로 성능 저하가 있을 것이다. 이상한 현상이 많아서 기초실습에만 사용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ref>
*1) VMware의 VM에 XenServer를 설치하고, 2) XenServer의 VM에 CentOS 리눅스를 설치할 것이다.<ref>단 XenServer 조작을 편하기 위해 XenCenter를 설치하여 사용한다.</ref>
*1) VMware의 VM에 XenServer를 설치하고, 2) XenServer의 VM에 CentOS 리눅스를 설치할 것이다.<ref>단 XenServer 조작을 편하기 위해 XenCenter를 설치하여 사용한다.</ref>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014년 7월 9일 (수) 11:36 판

1 개요

VMware에 XenServer 설치하기
VMware 활용하여 XenServer 실습 환경 구축
  • VMware를 활용하여 XenServer 실습 환경을 구성해보자.[1]
  • 1) VMware의 VM에 XenServer를 설치하고, 2) XenServer의 VM에 CentOS 리눅스를 설치할 것이다.[2]
2차 VM CentOS
1차 VM XenServer
Host 윈도우 7 (VMware)

2 사전 작업

  • VMware 설치

3 XenServer 다운로드

4 VM 생성

  • VMware 실행
  • File --- New Virtual Machine...
  • "Welcome to the New Virtual Machine Wizard"[3] --- [Next >]
  • "Guest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 (O) Installer disc image file (iso) --- [Browse...]
  • "Browse for ISO Image" 창 --- XenServer-6.1-install-cd.iso 선택 --- [열기(O)]
  • [Next >]
  •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 (O) Linux --- Version: Red Hat Enterprise Linux 5 64-bit --- [Next >]
  • "Name the Virtual Machine" --- Virtual machine name: XenServer01 --- [Next >]
  • "Specify Disk Capacity" --- Maximum disc size (GB): 30 --- (O)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Next >]
  • "Ready to Create Virtual Machine" --- [Customize Hardware...][4]
  • "Hardware" 창 --- Netwrok Adapter 선택 --- (O) Bridged: Connected directly to the physical network
    • "Memory" 선택 --- Memory for this virtual machine: 2048 MB[5]
    • "USB Controller" 선택 --- [ ] Automatically connect new USB devices --- [ ] Share Bluetooth devices with the virtual machine
    • "Floppy" 선택 --- [Remove]
    • "Sound Card" 선택 --- [Remove]
    • "Printer Card" 선택 --- [Remove]
    • [Close]
  • [Finish]

왼쪽 라이브러리에 XenServer01이라는 VM이 생성되었다.

  • XenServer01 우클릭 --- Power --- Power On

VM을 시작하면 XenServer 설치가 시작된다.

XenServer01 on VMware.png

5 XenServer 설치

  • "Select Keymap" --- [Ok]

Select Keymap.png

  • "Welcome to XenServer Setup" --- [Ok]

Welcome to XenServer Setup.png

  • "End User License Agreement" --- [Accept EULA]

End User License Agreement.png

  • "System Hardware" --- [Ok]

System Hardware.png

  • "Virtual Machine Storage" --- [Ok]

Virtual Machine Storage.png

  • "Select Installation Source" --- [Ok]

Select Installation Source.png

  • "Supplemental Packs" --- [No]

Supplemental Packs.png

  • "Verify Installation Source" --- Skip verification 선택 --- [Ok]

Verify Installation Source.png

  • "Set Password" --- Password: 패스워드 입력 --- Confirm: 패스워드 재입력 --- [Ok]

Set Password.png

  • "Networking" --- [Ok]

Networking.png

  • "Hostname and DNS Configuration" --- (*) Manually specify: XenServer01 --- [Ok]

Hostname and DNS Configuration.png

  • "Select Time Zone" --- Asia --- [Ok]

Select Time Zone.png

  • "Select Time Zone" --- Seoul --- [Ok]

Select Time Zone2.png

  • "System Time" --- [Ok]

System Time.png

  • "NTP Configuration" --- [Ok]

NTP Configuration.png

  • "Confirm Installation" --- [Install XenServer]

Confirm Installation.png

  • 설치가 자동으로 진행됨

Installing XenServer.png

  • "Installation Complete" --- [Ok]

Installation Complete.png

6 XenServer 시작

이제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XenServer로 부팅된다.[6]

XenServer01 on VMware2.png

XenServer01 Configuration.png

→ 공유기로부터 192.168.0.41라는 IP를 받았다.

7 XenCenter 다운로드 및 설치

다운로드
  • 호스트 컴퓨터(윈도우 7)에서 웹브라우저에서 XenServer01의 아이피(필자의 경우는 http://192.168.0.41 )로 접속

XenServer01 on Chrome.png

  • XenCenter installer 클릭하여 XenCenter.msi 다운로드(48.5MB)
설치
  • XenCenter.msi 실행
  • "Welcome to the Citrix XenCenter Setup Wizard" --- [Next]
  • "Destination Folder"[7] --- [Next]
  • "Ready to install Citrix XenCenter" --- [Install]

설치 자동 진행

  • "Completed the Citrix XenCenter Setup Wizard" --- [Finish]

8 XenCenter에 서버 추가

실행
  • [시작] --- Citrix XenCenter
  • "Would you like XenCenter to periodically check the internet for XenServer updates and new versions of XenCenter?" --- [No]
서버 추가
  • Server --- Add...
  • "Add New Server" --- Server: 젠서버아이피(예: 192.168.0.41) --- Password: 젠서버패스워드 --- [Add]
  • "Save and Restore Connection State" --- [OK]

XenServer01 on XenCenter.png

→ 이제 XenCenter에 XenServer01이 추가되었다.

9 CentOS 설치본 다운로드

10 XenServer01에 CentOS iso 마운트

  • VMware --- XenServer01 우클릭 --- Settings...
  • "Virtual Machine Settings" --- CD/DVD (IDE) 선택 --- Use ISO image file: [Browse...]
  • "Browse for ISO Image" --- CentOS-6.4-x86_64-bin-DVD1.iso 선택 --- [열기(O)]
  • [OK]

11 XenCenter에서 VM 생성

  • XenCenter --- XenServer01 우클릭 --- New VM...
  • "Template" --- CentOS 6 (64-bit) 선택 --- [Next >]

New VM - Template.png

  • "Name" --- Name: CentOS6_64 --- [Next >]

New VM - Name.png

  • "Installation Media" --- [Next >]

New VM - Installation Media.png

  • "Home Server" --- [Next >]

New VM - Home Server.png

  • "CPU & Memory" --- Memory: 512 MB --- [Next >]

New VM - CPU & Memory.png

  • "Storage" --- [Next >]

New VM - Storage.png

  • "Networking" --- [Next >]

New VM - Networking.png

  • "Networking" --- [Create Now]

New VM - Finish.png

VM이 생성된 후 그 VM에서 CentOS 6 설치본이 실행된다.

CentOS6 64 on 'XenServer01'.png

12 같이 보기

13 주석

  1. 실제 서비스용을 이렇게 사용하는 사례는 본적이 없다. 이중 가상화이므로 성능 저하가 있을 것이다. 이상한 현상이 많아서 기초실습에만 사용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2. 단 XenServer 조작을 편하기 위해 XenCenter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3. 기본값. (O) Typical (recommended).
  4. Typical로 진행하면 VCPU 1개, 메모리 1 GB 등이 결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바꿀 수 있다.
  5. 이것 이상으로 하자... 기본값인 1024 MB로 했더니 CentOS VM 1개도 못 돌리더라.
  6. 위에서는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XenServer가 아니라, iso 파일로 부팅된 것이었다.
  7. 기본값.C:\Program Files (x86)\Citrix\XenCenter\ --- (O) Just Me

14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