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iv style="border: 2px solid #eaeaea; margin: 0 0 1em 1em; font-size: smaller; float:right; width:250px; text-align:center;">
[[파일:Einstein-formal_portrait-35.jpg|185px]]<br>
아인슈타인(1935년)
</div>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광전효과]]를 발견하고 [[상대성이론]]을 정립한 [[이론물리학자]]이다.
==개요==
==개요==
;Albert Einstein (1879 ~ 1955)
;Albert Einstein (1879 ~ 1955)
6번째 줄: 15번째 줄:
*1921년 노벨 물리학상([[광전효과]])
*1921년 노벨 물리학상([[광전효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b/Albert_Einstein_at_the_age_of_three_%281882%29.jpg/83px-Albert_Einstein_at_the_age_of_three_%281882%29.jpg
[[파일:Albert_Einstein_at_the_age_of_three_%281882%29.jpg|83px]]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d/Albert_Einstein_as_a_child.jpg/85px-Albert_Einstein_as_a_child.jpg
[[파일:Albert_Einstein_as_a_child.jpg|85px]]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0/Einstein_patentoffice.jpg/92px-Einstein_patentoffice.jpg
[[파일:Einstein_patentoffice.jpg|92px]]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0/Albert_Einstein_%28Nobel%29.png/85px-Albert_Einstein_%28Nobel%29.png
[[파일:Albert_Einstein_%28Nobel%29.png|85px]]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f/Einstein-formal_portrait-35.jpg/92px-Einstein-formal_portrait-35.jpg
[[파일:Einstein-formal_portrait-35.jpg|92px]]


==인용==
==인용==
{{인용문
{{인용문|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stop questioning. Curiosity has its own reason for existence.<ref>http://en.wikiquote.org/wiki/Albert_Einstein</ref>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stop questioning. Curiosity has its own reason for existence.<ref>http://en.wikiquote.org/wiki/Albert_Einstein</ref>
<br>{{해석|중요한 것은 질문하기를 멈추지 않는 것이다. 호기심은 그 존재의 이유가 있다.}}
<br>{{해석|중요한 것은 질문하기를 멈추지 않는 것이다. 호기심은 그 존재의 이유가 있다.}}
}}
}}
== 관련 정보 ==
* {{위키백과|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영어위키백과|Albert_Einstein}}
* {{나무위키|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리브레위키|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네이버백과}}
* {{다음백과}}
* {{favicon|http://www.doopedia.co.kr}}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2334 두피디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약력 ==
{| class="toccolours" style="border: 2px solid #eaeaea; margin: 0 0 1em 1em; "
|-
|style="background:#eaeaea;"| 글로벌세계대백과 "물리학의 변혁 / 아인슈타인"
|-
| Albert Einstein(1879-1955)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남독일의 울름에서 태어난 유태인. 취리히공업대학에서 수학하고, 베른의 특허국에 근무하였는데, 비연구적인 분위기 속에서 1905년 특수상대성 이론을 비롯하여 브라운운동의 이론, 광량자설(光量子說)에 의한 광전효과 등 뛰어난 성과를 차례로 발표하여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 그 후 프라하대학, 취리히공대 등을 거쳐 베를린대학 교수가 되고, 카이저 빌헬름연구소장으로도 있었으며, 1914-1916년에 일반상대성 이론을 완성, 192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얼마 후 나치즘의 발흥과 반세미티즘의 물결 속에서 1933년에 도미, 프린스턴대학 고등연구소의 교수로서 미국에 정주하였다. 전시중에 반나치스의 입장에서 행한 원폭문제에 대한 발언을 반성하여, 전후에는 평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한 것도 알려져 있다.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6번째 줄: 52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참고==
[[분류: 물리학자]][[분류:1879년 출생]][[분류:1955년 사망]]
*http://en.wikipedia.org/wiki/Albert_Einstein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21632&categoryId=200001163
 
[[분류: 물리학자]]

2020년 12월 5일 (토) 01:36 기준 최신판


Einstein-formal portrait-35.jpg
아인슈타인(193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광전효과를 발견하고 상대성이론을 정립한 이론물리학자이다.

1 개요[ | ]

Albert Einstein (1879 ~ 195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앨버트 아인스타인;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 at the age of three (1882).jpg Albert Einstein as a child.jpg Einstein patentoffice.jpg Albert Einstein (Nobel).png Einstein-formal portrait-35.jpg

2 인용[ | ]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stop questioning. Curiosity has its own reason for existence.[2]
→ 중요한 것은 질문하기를 멈추지 않는 것이다. 호기심은 그 존재의 이유가 있다.

3 관련 정보[ | ]

4 약력[ | ]

글로벌세계대백과 "물리학의 변혁 /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1879-1955)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남독일의 울름에서 태어난 유태인. 취리히공업대학에서 수학하고, 베른의 특허국에 근무하였는데, 비연구적인 분위기 속에서 1905년 특수상대성 이론을 비롯하여 브라운운동의 이론, 광량자설(光量子說)에 의한 광전효과 등 뛰어난 성과를 차례로 발표하여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 그 후 프라하대학, 취리히공대 등을 거쳐 베를린대학 교수가 되고, 카이저 빌헬름연구소장으로도 있었으며, 1914-1916년에 일반상대성 이론을 완성, 192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얼마 후 나치즘의 발흥과 반세미티즘의 물결 속에서 1933년에 도미, 프린스턴대학 고등연구소의 교수로서 미국에 정주하였다. 전시중에 반나치스의 입장에서 행한 원폭문제에 대한 발언을 반성하여, 전후에는 평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한 것도 알려져 있다.

5 같이 보기[ | ]

6 주석[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