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잡과(雜科)|잡과}}
{{다른뜻|잡과(雜果)}}
== 개요 ==
== 개요 ==
;[[雜]][[科]]
;[[雜]][[科]]
;잡과
;잡과
* 고려·조선 시대에, 기술관을 뽑던 과거
* 고려와 조선 시대, 기술관을 뽑던 과거의 한 가지
* 고려와 조선시대에 기술관의 등용을 위해 실시하였던 과거
* 고려와 조선시대에 기술관의 등용을 위해 실시하였던 과거
* 고려·조선 시대에 문·무과와 별도로 의관·천문·지리·역관·율관 등 기술관을 선발하던 과거의 총칭
* 좁은 의미로는 고려·조선 등의 나라에서 시행하던 과거 제도의 일부로, 기술 관원을 선발하기 위한 것
* 고려·조선 시대에 잡학(雜學)은 유학(儒學)과 무학(武學) 이외의 모든 학문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 고려 시대에는 명법업, 명산업, 명서업, 의업, 주금업, 지리업, 하론업 따위가 있었다.
* 조선 시대에는 역과, 율과, 음양과, 의과 따위가 있었다.
==같이 보기==
* [[잡학]]
* [[잡업]]
* [[십학]]
* [[과거(科擧)]]


== 참고 ==
== 참고 ==

2020년 11월 26일 (목) 02:16 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잡과(雜科)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잡과(雜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잡과
  • 고려·조선 시대에, 기술관을 뽑던 과거
  • 고려와 조선 시대, 기술관을 뽑던 과거의 한 가지
  • 고려와 조선시대에 기술관의 등용을 위해 실시하였던 과거
  • 고려·조선 시대에 문·무과와 별도로 의관·천문·지리·역관·율관 등 기술관을 선발하던 과거의 총칭
  • 좁은 의미로는 고려·조선 등의 나라에서 시행하던 과거 제도의 일부로, 기술 관원을 선발하기 위한 것
  • 고려·조선 시대에 잡학(雜學)은 유학(儒學)과 무학(武學) 이외의 모든 학문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 고려 시대에는 명법업, 명산업, 명서업, 의업, 주금업, 지리업, 하론업 따위가 있었다.
  • 조선 시대에는 역과, 율과, 음양과, 의과 따위가 있었다.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