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3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Jmnote님이 도덕경03장 문서를 도덕경 3장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내용 ==
| align="center" | 不尙賢, 使民不爭,
{{번역 표
|-
|<poem>현명함을 높이지 말아,
| align="center" |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盜,
백성들이 싸우지 않게 하라.
|-
얻기 어려운 것을 귀히 여기지 말아,
| align="center" |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백성들이 훔치지 않게 하라.
|-
욕심을 드러내지 말아,
| align="center" | .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게 하라.
|-
 
| align="center" | 是以聖人之治,
이로써 성인의 다스림은,
|-
마음을 비우고,
| align="center" | 虛其心, 實其腹,
배를 채우며,
|-
뜻을 약하게 하고,
| align="center" | 弱其志, 强其骨.
뼈를 강하게 한다.
|-
 
| align="center" | .
언제나 백성들을 순진하게 두고 욕심을 버리게 하여,
|-
꾀있는 자들이 감히 행하지 못하게 하라.
| align="center" | 常使民無知無慾.
무위로 행하면,
|-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 align="center" | 使夫智者不敢爲也.
</poem>
|-
|<poem>
| align="center" | 爲無爲, 則無不治.
不尙賢,<!-- 賢:현명할 현. 현명함보다는 영악함이나, 꾀많음이나 잔머리에 가까운 뜻. 지배계급을 뜻한다고 봐도 좋다. -->
|}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志:뜻 지. 뭔가 작위적인 것을 가리킴. 자연스럽지 못한 것을 하려는 의지. -->
強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為也。
為無為,<!-- 한자로 쓰니 아름다운데 한국어로 옮기려니 쉽지가 않다. -->
則無不治。</poem>
}}
 
==참고==
* {{위키문헌|도덕경}}


[[분류: 도덕경]]
[[분류: 도덕경]]

2020년 8월 9일 (일) 01:49 기준 최신판

1 내용[ | ]

번역 원문

현명함을 높이지 말아,
백성들이 싸우지 않게 하라.
얻기 어려운 것을 귀히 여기지 말아,
백성들이 훔치지 않게 하라.
욕심을 드러내지 말아,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게 하라.

이로써 성인의 다스림은,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우며,
뜻을 약하게 하고,
뼈를 강하게 한다.

언제나 백성들을 순진하게 두고 욕심을 버리게 하여,
꾀있는 자들이 감히 행하지 못하게 하라.
무위로 행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強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為也。
為無為,
則無不治。

2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