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schedul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Kubernetes을(를) K8s(으)로 분류 대체함)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8번째 줄: 18번째 줄:
* [[쿠버네티스 Master]]
* [[쿠버네티스 Master]]
* [[쿠버네티스 Components]]
* [[쿠버네티스 Components]]
* [[쿠버네티스 스케줄링]]
* [[쿠버네티스 용어]]
* [[쿠버네티스 용어]]


24번째 줄: 25번째 줄:
* 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master/pkg/scheduler/scheduler.go
* https://github.com/kubernetes/kubernetes/blob/master/pkg/scheduler/scheduler.go


[[분류: kubernetes]]
[[분류:K8s]]
[[분류:스케줄러]]

2020년 7월 31일 (금) 22:47 기준 최신판

1 개요[ | ]

kube-scheduler
큐브-스케줄러, 쿠브-스케줄러
  • 노드가 배정되지 않은 새로 생성된 pod을 감지하고 그것이 구동될 노드를 선택하는 마스터 상의 컴포넌트
  • 스케줄링 결정을 위한 어카운트 내 요소들로는 개별 및 공동의 리소스 요건,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정책 제약, 친밀 및 배격 명세, 데이터 지역성, 워크로드-간 간섭, 데드라인들이 포함됨
  • Pod 배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쿼타 제한을 확인한다.
  • 스케줄링 정책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 특정 노드에 Pod 배치하는 어피니티 규칙
  • 노드 Taint로 특정 Pod들을 거부할 수 있다.
단, Pod toleration으로 노드 Taint를 무시할 수 있다.
  • nodeSelector로 Pod이 구동될 노드(들)을 강제할 수 있다.

Post-ccm-arch.png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