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시안 혼합모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Gaussian mixture model (GMM) ;가우시안 혼합 모델 right|300px|thumb|Bayesian Gaussian mixture model using [[plate notation....)
 
3번째 줄: 3번째 줄:
;가우시안 혼합 모델
;가우시안 혼합 모델


[[File:bayesian-gaussian-mixture.svg|right|300px|thumb|Bayesian Gaussian mixture model using [[plate notation]]. Smaller squares indicate fixed parameters; larger circles indicate random variables. Filled-in shapes indicate known values. The indication [K] means a vector of size ''K''.]]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
[[파일:nonbayesian-gaussian-mixture.svg|250px|섬네일|[[plate notation]]을 사용하여 나타낸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 작은 사각형들은 고정된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 큰 사각형들은 확률변수를 나타낸다. 색이 채워진 도형들은 알려진 값을 나타낸다. [K]는 사이즈 ''K''인 벡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은 다음과 같다.


A Bayesian version of a [[Gaussian distribution|Gaussian]] mixture model is as follows:
:
*<math> K,N = </math> 위와 같음
*<math>\phi_{i=1 \dots K}, \boldsymbol\phi = </math> 위와 같음
*<math>z_{i=1 \dots N}, x_{i=1 \dots N} =</math> 위와 같음
*<math>\mu_{i=1 \dots K} =</math> 구성 요소 i의 평균
*<math>\sigma^2_{i=1 \dots K} =</math> 구성 요소 i의 분산
 
:<math>
\begin{array}{lcl}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mathcal{N}(\mu_{z_i}, \sigma^2_{z_i})
\end{array}
</math>
 
==베이지안 혼합모델==
[[파일:bayesian-gaussian-mixture.svg|right|250px|섬네일|[[plate notation]]을 사용하여 나타낸 베이지안 가우시안 혼합 모델.  작은 사각형은 고정된 파라미터를 뜻한다. 큰 원들은 확률 변수를 의미한다. 색이 채워진 도형들은 알려진 값을 나타낸다. [K]는 사이즈 ''K''인 벡터를 의미한다.]]
 
베이지안 버전의 가우시안 혼합 모델은 다음과 같다.
*<math> K,N = </math> 위와 같음
*<math>\phi_{i=1 \dots K}, \boldsymbol\phi = </math> 위와 같음
*<math>z_{i=1 \dots N}, x_{i=1 \dots N} =</math> 위와 같음
*<math>\mu_{i=1 \dots K} =</math> 구성 요소 i의 평균
*<math>\sigma^2_{i=1 \dots K} =</math> 구성 요소 i의 분산
*<math>\mu_0, \lambda, \nu, \sigma_0^2 =</math> 공유되는 하이퍼 매개변수


:<math>
:<math>
\begin{array}{lcl}
\begin{array}{lcl}
K,N &=& \text{as above} \\
\phi_{i=1 \dots K}, \boldsymbol\phi &=& \text{as above} \\
z_{i=1 \dots N}, x_{i=1 \dots N} &=& \text{as above} \\
\theta_{i=1 \dots K} &=& \{ \mu_{i=1 \dots K}, \sigma^2_{i=1 \dots K} \}  \\
\mu_{i=1 \dots K} &=& \text{mean of component } i \\
\sigma^2_{i=1 \dots K} &=& \text{variance of component } i \\
\mu_0, \lambda, \nu, \sigma_0^2 &=& \text{shared hyperparameters} \\
\mu_{i=1 \dots K} &\sim& \mathcal{N}(\mu_0, \lambda\sigma_i^2) \\
\sigma_{i=1 \dots K}^2 &\sim& \operatorname{Inverse-Gamma}(\nu, \sigma_0^2) \\
\sigma_{i=1 \dots K}^2 &\sim& \operatorname{Inverse-Gamma}(\nu, \sigma_0^2) \\
\boldsymbol\phi &\sim& \operatorname{Symmetric-Dirichlet}_K(\beta) \\
\boldsymbol\phi &\sim& \operatorname{Symmetric-Dirichlet}_K(\beta) \\

2020년 6월 3일 (수) 20:55 판

1 개요

Gaussian mixture model (GMM)
가우시안 혼합 모델

2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

plate notation을 사용하여 나타낸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 작은 사각형들은 고정된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 큰 사각형들은 확률변수를 나타낸다. 색이 채워진 도형들은 알려진 값을 나타낸다. [K]는 사이즈 K인 벡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비(非)베이지안 혼합모델은 다음과 같다.

  • [math]\displaystyle{ K,N = }[/math] 위와 같음
  • [math]\displaystyle{ \phi_{i=1 \dots K}, \boldsymbol\phi = }[/math] 위와 같음
  • [math]\displaystyle{ z_{i=1 \dots N}, x_{i=1 \dots N} = }[/math] 위와 같음
  • [math]\displaystyle{ \mu_{i=1 \dots K} = }[/math] 구성 요소 i의 평균
  • [math]\displaystyle{ \sigma^2_{i=1 \dots K} = }[/math] 구성 요소 i의 분산
[math]\displaystyle{ \begin{array}{lcl}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mathcal{N}(\mu_{z_i}, \sigma^2_{z_i}) \end{array} }[/math]

3 베이지안 혼합모델

plate notation을 사용하여 나타낸 베이지안 가우시안 혼합 모델. 작은 사각형은 고정된 파라미터를 뜻한다. 큰 원들은 확률 변수를 의미한다. 색이 채워진 도형들은 알려진 값을 나타낸다. [K]는 사이즈 K인 벡터를 의미한다.

베이지안 버전의 가우시안 혼합 모델은 다음과 같다.

  • [math]\displaystyle{ K,N = }[/math] 위와 같음
  • [math]\displaystyle{ \phi_{i=1 \dots K}, \boldsymbol\phi = }[/math] 위와 같음
  • [math]\displaystyle{ z_{i=1 \dots N}, x_{i=1 \dots N} = }[/math] 위와 같음
  • [math]\displaystyle{ \mu_{i=1 \dots K} = }[/math] 구성 요소 i의 평균
  • [math]\displaystyle{ \sigma^2_{i=1 \dots K} = }[/math] 구성 요소 i의 분산
  • [math]\displaystyle{ \mu_0, \lambda, \nu, \sigma_0^2 = }[/math] 공유되는 하이퍼 매개변수
[math]\displaystyle{ \begin{array}{lcl} \sigma_{i=1 \dots K}^2 &\sim& \operatorname{Inverse-Gamma}(\nu, \sigma_0^2) \\ \boldsymbol\phi &\sim& \operatorname{Symmetric-Dirichlet}_K(\beta) \\ z_{i=1 \dots N} &\sim& \operatorname{Categorical}(\boldsymbol\phi) \\ x_{i=1 \dots N} &\sim& \mathcal{N}(\mu_{z_i}, \sigma^2_{z_i}) \end{array} }[/math]

4 같이 보기

5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