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tles/전작리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비틀즈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pre>
#넘겨주기 [[비틀즈]]
                            THE BEATLES
 
<< Please  Please  Me >>
        +----------------------------------------------------------------------------+
        |  Side. A                                Side. B      |
        |  1. I Saw Her Standing There            1. Love Me Do |
        |  2. Anna (Go To Him)                    2. P.S. I Love You    |
        |  3. Misery                              3. Baby It's You      |
        |  4. Chains                              4. Do You What To Know A Secret      |
        |  5. Boys                                5. A Taste of Honey  |
        |  6. Ask Me Why                          6. There's A Place    |
        |  7. Please Please Me                    7. Twist And Shout    |
        +----------------------------------------------------------------------------+
        |  1> 영국 발매일  :  1963년 3월 22일  |
        |  2> 레코딩      :  1963년 2월 2일 - 3월 3일 (레코딩 시간 16시간)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4> Engineer    :  Norman Smith    |
        |                    (초대 Engineer로 훗날 Pink Floyd를 키우는 인물)      |
        |  5> 배경      |
        |      두번째 싱글  "Please Please Me"의 붐을타고 발매한 LP로 8개월후    |
        |      에는 25만장이 팔려나가 Elvis Presly의 <Jilhouse Rock>의 23만장        |
        |      기록을 갱신하고 영국내에서 앨범 최신기록을 수립하였다.  |
        |      LP 차트에는 4월 6일 10위로 첫 랭크 되었고, 5주째인 5월 4일부터        |
        |      11월 30일까지 30주간 연속으로 1위를 유지.      |
        |      LP차트 100위안에 64주동안 랭크되어 있었다.      |
        |  6> 에피소드    |
        |      Twist And Shout는 그당시 레코딩할 예정이 없었는데      |
        |      John이 갑자기 제의하여 레코딩 하게되었음.        |
        |  7> 자켓 이야기  |
        |      London 멘체스터 구에 있는 E.M.I. House 계단에서 촬영.  |
        |      Beatles 첫 광고용 사진. 도안한 인물은 Angus McBean으로 |
        |      Beatles 편집앨범 '62년-66년', '67년-70년'도 그가 도안.        |
        |      (같은 카메라를 사용했음)  |
        |  8> 메모      |
        |      << Please Please Me >>의 전국적인 히트로 장래성을 인정받고      |
        |      63년 2월 8일 EMI 레코드사 와의 단발계약에서 전속계약으로된    |
        |      기념할만한 LP.        |
        |      리바이벌곡들이 상당히 많이 수록되고 있다.  |
        |      미국인들은 이 LP를 '코러스(합창)'을 중심으로한 LP라 평하였다.  |
        +----------------------------------------------------------------------------+
 
                            THE BEATLES
 
<< WITH THE BEATLES >>
        +----------------------------------------------------------------------------+
        |  Side. A                                Side. B      |
        |  1. It Won't Be Long                    1. Roll Over Beethoven        |
        |  2. All I've Got To Do                  2. Hold Me Tight      |
        |  3. All My Loving                      3. You Really Got A Hold On Me        |
        |  4. Don't Bother Me                    4. I Wanna Be Your Man        |
        |  5. Little Child                        5. Devil In Her Heart |
        |  6. Till Threr Was You                  6. Not A Second Time  |
        |  7. Please Mr.Postman                  7. Money      |
        +----------------------------------------------------------------------------+
        |  1> 영국 발매일  :  1963년 11월 22일 |
        |  2> 레코딩      :  1963년 7월 15일 (단 하루)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4> Engineer    :  Norman Smith    |
        |  5> 참가 Man    :  George Martin (Piano-③⑥⑦)  |
        |  6> 그 당시      :  [Please Please Me][From Me To You][She Loves You]의  |
        |                      Big Hit에 이어 발매된 이 앨범은 굉장항 인기를 불러 |
        |                      발매전에 30만장의 예약을 끝냈다. 이 예약 장수는 그  |
        |                      때까지 Elvis의 [Blue Hawaii]가 마크한 20만장 이라는  |
        |                      앨범 예약 장수 세계기록을 깬 신기록이 되었다.      |
        |                      2년 동안에  100만장이 팔린 이 앨범은 영국 최초의  |
        |                      Million Seller Album이 되었다.      |
        |                      앨범 챠트에서는 1963년 11월 30일 그 때까지 1위의 |
        |                      자리에 있었던 [Please Please Me]를 떨어뜨리고 갑자기    |
        |                      1위에 첫 랭크되어 22주간 1위를 독점하였다.      |
        |                      통산 랭크 주간은 43주간 이다.      |
        |  7> 에피소드    :  First Album [Please Please Me]에서 선곡되지 않은    |
        |                      [Hold Me Tight]이 다시 레코딩되어 이 앨범에 수록      |
        |                      되었다.    |
        |  8> 쟈켓 스토리  :  Beatles의 많은 레코드 쟈켓중 1,2위를 다투는 걸작      |
        |                      쟈켓이다. Beatles의 얼굴에 하흐 샤도우 수법을 쓴  |
        |                      것은 Astrid Kichherr였다. Epstein은 이 사진은 무  |
        |                      척 좋아해서 자택의 벽에 걸어 두었었다.  |
        |  9> Memo        :  오리지날 8곡, 스탠다드 6곡, 도합 14곡이며, 전체적인 |
        |                      구성은 A면에 오리지날의 냄새가 강하고 B면에는 스탠    |
        |                      다드를 주체로 하고 있다.  |
        |                      [Please Please Me]에서는 싱글 발매곡이 4곡이 수록    |
        |                      되어 있었으나 이 앨범에서는 [Please Please Me] 이    |
        |                      후에 싱글 발매된 [From Me To You/Thank You Girl]        |
        |                      그리고 [She Loves You/I'll Get You]가 수록되어 있 |
        |                      지 않아 싱글과 앨범의 제작 의도를 구별한 Beatles의 |
        |                      자세가 이 때부터 정해졌다는 것이 주목된다. |
        |                      오리지날 곡은 전작 앨범이 [Misery][There's A Place] |
        |                      등 Melody 지향이 강한 록 발라드가 많았는데 반해 이 |
        |                      앨범에서는 미국의 보컬 그룹을 의식한 R&B 계의 힘있  |
        |                      는 노래들이 많다. 예를 들면 [I Wanna Be Your Man]  |
        |                      [Little Child]등. 그 반면 [All My Loving][All I've  |
        |                      Got To Do]등의 Merody를 중시한 록 발라드도 수록되어    |
        |                      있다. Goerge가 본격적으로 작곡 활동에 나서 [Don't      |
        |                      Bother Me]를 발표한 것이 주목된다. |
        |                      스탠다드 넘버는 6곡중 4곡([Please Mr.Postman][You  |
        |                      Really Got A Hold On Me][Devil In Her Heart][Money])    |
        |                      이 R&B 계의 노래로 전작 앨범과 마찬 가지로 그들이  |
        |                      R&B 指向的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4곡중 3곡이 |
        |                      ([Please Mr.Postman][You Really Got A Hold On Me]        |
        |                      [Money]) John이 리드보컬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      |
        |                      아 John이 그룹내에서 완전히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는  |
        |                      것을 알 수 있다. 전작에서는 R&B 계의 곡 5곡중 3곡을        |
        |                      John이 리드보컬을 담당하고 있어 1963년 당시 적어도 |
        |                      R&B 계에 관한한 John이 독점했던 것 같다.      |
        |                      한편, George는 [Roll Over Beethoven]과 [Devil In    |
        |                      Her Heart]의 2곡의 리드보컬을 담당하여 Paul보다 많다    |
        |                      는 것이 흥미롭다. 그 당시 George가 보컬리스트로서  |
        |                      그룹 내에서 높이 평가 받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할 수    |
        |                      있을 것이다.  |
        +----------------------------------------------------------------------------+
 
                            THE BEATLES
 
<< A Hard Day's Night >>
        +----------------------------------------------------------------------------+
        |  Side. A                                Side. B      |
        |  1. A Hard Day's Night                  1. Any Time At All    |
        |  2. I Should Have Known Better          2. I'll Cry Instead  |
        |  3. If I Fell                          3. Thing We Said Today        |
        |  4. I'm Happy Just To Dance With You    4. When I Get Home    |
        |  5. And I Love Her                      5. You Can't Do That  |
        |  6. Tell Me Why                        6. I'll Be Back      |
        |  7. Can't Buy Me Love |
        +----------------------------------------------------------------------------+
        |    1> 영국과 미국에서 거의 동시에 발매되어 영국에서는 5개월, 미국에서는  |
        |    13주간 1위를 차지했다.    |
        |    미국에서 발매된것은 Sound Track으로, I Should Have Known Better의    |
        |    연주곡,  And I Love Her 연주곡,  Ringo‘s Theme (This Boy)연주곡,  |
        |    A Hard Day's Night 연주곡이 첨가되어 있어서 영화의 분위기를 고조      |
        |    시켜주고 있다.  |
        |      |
        |    2> 영화는 음악을, 음악은 영화를 변하게하는 視와 聽(보는것과 듣는것을  |
        |    처음으로 밀착시킨 Beatles의 걸작.    |
        |      |
        |    3> 처음으로 전곡이 Lennon-McCartney의 콤비로 만들어진 LP이다.      |
        |    Beatles 4명을 주인공으로한 다큐멘타리식의 영화로 4명의 일상생활을  |
        |    2일간에 걸쳐 공연, 여행, 스테이지 등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린 영화.  |
        |      |
        |    4> A Hard Day's Night는 실로, 음악과 영상 또는 Story를 하나로 연관 |
        |    시켜나간 혁명적인 상업영화라고 할수있다.    |
        |    여기에는 64년 3월부터 2개월동안 촬영중에 인터뷰한 내용을 소개한다.  |
        |      +-----------------------------------------------------------------------+      |
        |      | ⊙ 영화는 어떻게 제작되었으며 보통 이런 영화는 見世物的 이어서 시시한      |      |
        |      |    영화로 끝나나 이 영화는 전혀 이런 느낌을 받지않는데,  이 영화는 갑    |      |
        |      |    자기 제작되었는가? 아니면 준비시기가 있었는가? |      |
        |      +-----------------------------------------------------------------------+      |
        |  ◆ 물론 이 영화를 찍기전에 &#48126;은 계획이 있었죠.  |
        |    예를 들면 見世物的 영화로 만든다는 것인데 우리들이 영화에 출현하여    |
        |    몇곡의 노래부르는것 같은것, 하지만 우리는 이런영화에 처음부터 흥미    |
        |    가 없었고 출현하고싶은 생각도 안들었죠.    |
        |    그래서 우리들은 ’바로 이것이다.‘라고 생각되는 영화가 나올때까지 기    |
        |    다렸죠. 그랬더니 월터션손과 리처는 레스타가 함께 나타났는데 그들의    |
        |    생각하는 영화는 종전의 것과달라 아주 신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    |
        |    죠. 그리고 션손이 말하기를  우리들이 재미를 느끼면서 촬영한 영화는    |
        |    결국 보는 사람도 재미를 느낄것이라는 거죠. 그래서 전원 O.K.를 한것  |
        |    입니다.      --- George      ---    |
        |      |
        |      +-----------------------------------------------------------------------+      |
        |      | ⊙ 처음으로 영화를 출현을 했는데 어느점에 가장 신경을 썼읍니까?  |      |
        |      +-----------------------------------------------------------------------+      |
        |  ◆ 내가 가장 중요하다고 느낀것은, 많은 팬들이 보는이상 영화를  Hit 시  |
        |    키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이죠.  |
        |    「레코드는 Hit하고 있지만 영화는 재미없다」라는 말을 듣고싶지 않아서  |
        |    입니다.      --- George      ---    |
        |      |
        |  ◆ 대부분의 사람이 이 영화는 PR용이 아니냐 하겠지만 그래도 우리는에게    |
        |    그 결과로 천한 배우로 생각되도 할수없죠.  |
        |    하지만 우리는 최선을 다했고 노래를 부르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았다고    |
        |    생각합니다.    --- Paul        ---    |
        |      |
        |      +-----------------------------------------------------------------------+      |
        |      | ⊙ 연기를 한다는것 예를들면 대사를 말하거나 할때 힘든것은 없었나요?        |      |
        |      +-----------------------------------------------------------------------+      |
        |  ◆ 모두 대사를 암기하는데 힘이 들었죠.      --- Ring        ---    |
        |      |
        |  ◆ 힘들었죠.    |
        |      대사를 암기한다는것은 처음 경험하는 일이라 대본대로 연기하고 대사    |
        |      를 말한다는것은 의외로 힘들었읍니다.  하지만 점점 영화속의 역할도    |
        |      익숙해졌고 비교적 편해졌읍니다.        --- Paul        ---    |
        +----------------------------------------------------------------------------+
 
                          THE BEATLES
 
<< Beatles For Sale >>
        +----------------------------------------------------------------------------+
        |  Side. A                                Side. B      |
        |  1. No Reply                          1. Eight Days A Week  |
        |  2. I'm A Loser                        2. Words Of Love      |
        |  3. Baby's In Black                    3. Honey Don't |
        |  4. Rock And Roll Music                4. Every Little Thing  |
        |  5. I'll Follow The Sun                5. I Don't Want To Spoil The Party    |
        |  6. Mr. Moonlight                      6. What You're Doing  |
        |  7. Kansas City                        7. 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    |
        +----------------------------------------------------------------------------+
        |  1> 영국 발매일  :  1964년 12월 4일  |
        |  2> 레코딩 일시  :  1964년 10월 9일부터 11월 10일까지      |
        |                      영국국내공연을 하던 9월 하순부터 10월상순에 걸쳐했다.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4> Engineer    :  Norman Smith    |
        |  5> 참가 Man    :  George Martin ( Piano : #1 ④ )    |
        |  6> 국내에서는 예약만으로 60만장을 넘고 발매후 2주간 75만장이 팔려    |
        |      「With The Beatles」 에 이어 Million seller를 기록했다.    |
        |      앨범차트에서는 1964년 12월 12일에  「A Hard Days Night」 의 뒤를 |
        |      이어 1위에 올라 9주간 1위를 독점, 통상 37주간 랭크되었다.    |
        |  7> 에피소드    |
        |      레코딩 당초 전작 앨범에 이어 Ringo가 노래할 곡이 없었다.      |
        |      거기에  John이  함부르크시절에 레파토리였었던  「Honey Don't」를      |
        |      Ringo에게 부르게 하였으나 그는 가사를 잘 암기하지못해 레코딩이    |
        |      늦어지고 늦어져 레코딩 최종일에 겨우 완성되었다.      |
        |  8> 자켓 Story |
        |      영국적 색채를 풍기는 배경이라는 평판.    |
        |  9> MEMO    |
        |      8곡이 오리지날,  6곡이 리바이블곡이 들어있는 이유는 크리스마스    |
        |      때 판매하기위해 시간적 제약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앨범은 C&W계    |
        |      의 작품을 많이 넣어  세계의 최대시장인  미국시장을 목표로 하여    |
        |      미국인이 좋아하는 앨범으로 제작했다.    |
        |      전작과는 다르게 어두운 곡이 많으며 가사도 실연의 내용이 많다.      |
        |      또한 코러스를 많이 사용한 곡이 많은 것도 이 앨범의 특징이다.      |
        |  10> 이들은 Chuck Berry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그들만큼 영향을 받은 |
        |      Rollin Stones의  키스 리차드의 기타플레이와  George Harrison의 |
        |      기타플레이를 비교하면 재미있다.        |
        +----------------------------------------------------------------------------+
 
                              THE BEATLES
 
<< Help >>
        +----------------------------------------------------------------------------+
        |  Side. A                                Side. B      |
        |  1. Help                                1. Act Naturally      |
        |  2. The Night Before                    2. It's Only Love    |
        |  3. You've Got To Hide Your Love Away  3. You Like Me Too Much      |
        |  4. I Need You                          4. Tell Me What you see      |
        |  5. Another Girl                        5. I've Just Seen A Face      |
        |  6. You're Going To Lose That Girl      6. Yesterday  |
        |  7. Ticket To Ride                      7. Dizzy Miss Lizzy  |
        +----------------------------------------------------------------------------+
        |  1> 영국 발매일  :  1965년 8월 6일  |
        |      |
        |  2> 레코딩 일시  :  영화 촬영중의 1965년 2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
        |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
        |  4> Engineer    :  Norman Smith    |
        |      |
        |  5> 참가 Man    :  George Martin ( Piano : #2 ③ )    |
        |      |
        |  6> 영국 차트에서는  65년 8월 14일  1위에 등장해 10월 9일까지 9주간      |
        |      1위를 독점하고 10월 16일에 2위가 되었다가 다시 10월 23일부터 11월      |
        |      27일까지 6주간 1위를 지킴. 통산 28주간 랭크.    |
        |      |
        |  7> 에피소드    |
        |      이 앨범의 레코딩중 Paul의 Beatles 탈퇴설이 있었다.      |
        |      그 이유는 「Yesterday」의 레코딩에 John, George, Ringo가 참가하지        |
        |      않았기 때문이다.        |
        |      |
        |  8> 메모      |
        |      R&B의 작품이 감소하고 컨트리 터치의 소프트한 Beatles Rock이 주류      |
        |      를 이루고 있다.        |
        +----------------------------------------------------------------------------+
 
                              THE BEATLES
 
<< Rubber Soul >>
        +----------------------------------------------------------------------------+
        |  Side. A                                Side. B      |
        |  1. Drive My Car                        1. What Goes On      |
        |  2. Norwegian Wood                      2. Girl      |
        |  3. You Won't See Me                    3. I'm Looking Through You    |
        |  4. Nowhere Man                        4. In My Life |
        |  5. Think For Yourself                  5. Wait      |
        |  6. The Word                            6. If I Needed Someone        |
        |  7. Michelle                            7. Run For Your Life  |
        +----------------------------------------------------------------------------+
        |  1> 영국 발매일  :  1965년 12월 3일  |
        |  2> 레코딩 일시  :  1965년 10월부터 11월까지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4> Engineer    :  Geoffrey Emerick |
        |  5> 참가 MAN  |
        |      George Martin (Harmonium : #1 ⑥, Piano : #2 ④)  |
        |      Mal Evans    (Hammond organ : #1 ③)    |
        |  6> Chart    |
        |      영국의 Hit Chart 에서는 65년 12월 11일에 갑자기 1위에 첫 랭크,    |
        |      2월 26일까지 13주 연속 1위.  통산 31주간 랭크. |
        |  7> 에피소드    |
        |      「Rubber Soul」의 이름을 붙인것은 Paul, 뜻은 고무신발이라는 뜻인      |
        |      데,  그뒤에는 이상한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하여 발매당시 물의를    |
        |      일으켰다.    |
        |  8> 자켓      |
        |      Robert Freeman 이 찍은것.    |
        |  9> MEMO    |
        |      이때쯤에는 EMI 스튜디오를 마음대로 쓸수 있었으므로 여유를 가지고    |
        |      제작하였다. Beatles의 라이벌 그룹인 비치보이스의 브라이언 윌슨은  |
        |      「이 앨범을 들고 평가가치가 높은  훌륭한 작품들이 꽉짜여있어 충격    |
        |      을 받았다.  |
        |      이제부터 나도 싱글이 아닌 앨범을 사용해서 무엇인가를 표현하겠다」    |
        |      라고 말했다.  백의  비중을 줄이고 보컬을 강조하고, 언어의 중요성  |
        |      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
        +----------------------------------------------------------------------------+
 
                                THE BEATLES
 
<< Revolover >>
        +----------------------------------------------------------------------------+
        |  Side. A                                Side. B      |
        |  1. Taxman                              1. Good Day Sunshine  |
        |  2. Eleanor Rigby                      2. And Your Bird Can Sing    |
        |  3. I'm Only Sleeping                  3. For No One |
        |  4. Love You To                        4. Dr. Robert |
        |  5. Here, There And Everywhere          5. I Want To Tell You |
        |  6. Yellow Submarine                    6. Got To Get You Into My Life        |
        |  7. She Said She Said                  7. Tomorrow Never Knows      |
        +----------------------------------------------------------------------------+
        |  1> 영국 발매일  :  1966년 8월 5일  |
        |  2> 레코딩      :  1966년 4월∼6월까지 10주동안 전례없이 오랫동안 녹음.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4> Engineer    :  Geoffrey Emerick |
        |  5> 참가 Man  |
        |      이니루 왓구왓드 (인도인 뮤지션 : Tabra : A④)  |
        |      Geoge Martin : (Back Chorus : A⑥,  Piano : B①)  |
        |      Mal Evans (Sound Effect : A⑥)    |
        |      Nile Aspinal (Back Chorus : A⑥)  |
        |      Patti Harrison (Geoge의 처. Back Chorus : A⑥)      |
        |  6> 히트상황    |
        |      영국의 Album Chart에서는 66년 8월 13일 첫등장.      |
        |      10월 8일까지 9주간 연속 1위를 독점. 통합 20주간 랭크됨.    |
        |  7> 에피소드    |
        |      「Revolver」란 Album Title은 Paul이 일본공연시 숙소인 Hilton Hotel    |
        |      에서 경비의 권총을 보고 생각해낸것이다.  |
        |      그외에 생각한 Album Title은 「Pendulum」-Paul, 「Aftermath」-Ringo와 |
        |      「Magical Circle」 「Four Side To The Circle」 「Beatles On Safari」  |
        |      「After Geography」 「Abracadabra」 등이다.    |
        |  8> 쟈켓 스토리  |
        |      66년도 그래미에서 쟈켓 디자인상 수상. 커버디자인은 비틀즈의      |
        |      친구인 Klaus Voormann으로 세션 베이시스트이다. |
        |      뒷면은 <Paperback Writer><Rain>의 Promotin Album을 촬영하기      |
        |      위해 EMI Studio에 모였을때 사진가인 Robert Whitaker가 찍은    |
        |      것이다. 4인이 쓰고있는 안경은 65년 8월 미국공연때 구입한것이다.  |
        |  9> MEMO    |
        |      「Rubber Soul」의 성공으로 자신을 깊이 생각한 Beatles는 본격적인    |
        |      Studio Musician으로 활동하기로 결정했다.    |
        |      「Rubber Soul」로 시험한 실험적 Sound를 발전시켜 Pop Music을 예술적        |
        |      경지로 이끌었다.  “이 앨범에는 지금까지 들어보지 못한 진귀한 Sound        |
        |      가 있다. 지금까지 시험해보지 못한 것으로 연주를 흉내 내려고 해도    |
        |      절대로 흉내 낼수가 없다.” 라고 Paul이 말하였다.  |
        |      지금까지 Rock의 범주를 뛰어 넘어 혁명적인 새로운 Sound를 만들었으며      |
        |      노래의 재재범위를 정치풍속, 철학적 명상등으로 확대하였다. |
        |  10> SOUND    |
        |      「Rubber Soul」의 연장선상의 앨범으로 이 두장을 듣고 비교해보면 |
        |      「Rubber Soul」이 따뜻한 느낌을 내포한것에 비하여 이 「Revolover」  |
        |      는 아주 차거운 느낌을 준다. |
        +----------------------------------------------------------------------------+
 
                            THE BEATLES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
        |  Side. A                                Side. B      |
        |  1. SGT. Pepper's Lonely Hearts        1. Within You Without You    |
        |    Club Band                          2. When I Sixty Four  |
        |  2. With A Little Help From My Friend  3. Lovely Rita        |
        |  3. Lucy In The Sky With Diamond        4. Good Morning Good Morning  |
        |  4. Getting Better                      5. SGT. Pepper's Lonely Hearts        |
        |  5. Fixing A Hole                          Club Band (Reprise)        |
        |  6. She's Leaving Home                  6. A Day In The Life  |
        |  7. Being For The Benefit Of Mr. kite |
        +----------------------------------------------------------------------------+
        |  1> 영국 발매일  :  1967년 6월 1일  |
        |  2> 레코딩      :  1966년 12月하순∼1967년 4月상순까지    |
        |                      4개월간.  700시간 걸려 녹음.      |
        |  3> 레코딩 스텝  |
        |      * Producer  :  George Martin    |
        |      * Engineer  :  Geoffery Emerick  (이 Album의 Engineering으로      |
        |                  1967년도 Gramy상에서 Best Engineer부분 최우수상 수상)    |
        |  4> 참가 Man  |
        |    * George Martin (Piano ⓐ4, ⓑ3. Hamond Organ ⓐ7. Hamonium ⓑ6)      |
        |    * Mal Evans    (Hamonica ⓐ7. Piano ⓑ6)    |
        |    * Neil Aspinal  (Beatles의 Load Manager : Hamonica ⓐ7)      |
        |    * Paul Backmaster (영국의 명 Arranger : 챔발로 ⓑ6)        |
        |    * Sound Ingoprededo (영국의 Top group : sax ⓑ4)      |
        |  5> 히트상황    |
        |      발매후 3개월간 전세계적으로 250만장이상 팔림. 1975년 8월말    |
        |      현재 1100만장 돌파. Beatles Album중 「Abbey Road」 와 비슷한  |
        |      기록.  영국에서 예약은 25만장.  Album Chart에서 1967년 6월      |
        |      3일에 첫 등장하여  1위에 랭크.  10월 28일까지  22주간 연속  |
        |      1위.  통산 43주간 랭크. |
        |      「New Musical Express」지의 Single Chart까지 등장하여 전대미문 |
        |      의 쾌거를 기록. 미국 Album chart에서는 통산 149주간 랭크. |
        |      1967년 6월 24일에 8위로 첫 등장하여 다음주에는 1위. 10월 7일        |
        |      까지 15주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
        |      6월 15일에 RIAA공식 Gold Disk 획득.    |
        |  6> 에피소드    |
        |      이 Album이 발매되었을때 New York Phil의 상임지휘자인 Leonard    |
        |      Bernstein은 극찬의 말을 했다.    |
        |      “Beatles의 Sound는 Bach의 Fuga에 필적하는 美를 가졌다. 여러가지  |
        |      의미로 볼때 그들은 금세기 최고의 작곡가이다.  금세기의 슈베르트    |
        |      나 헨델이라고 할수 있다.“  |
        |      Beatles는 이 Album에 많은 Sound Mixing을 사용하였다. 최고의 걸작 |
        |      인 <A Day In The Life>의  끝에 수록된 Sound는  18 track으로 녹음    |
        |      하였다. 17 track의 소리까지 들을수 이는 인간의 귀에 이 소리는 마        |
        |      치 개소리처럼 들린다.    |
        |  7> 쟈켓 스토리  |
        |      1967년도 Gramy상에서 Best Album상 수상. Beatles 최고 걸작 쟈켓.        |
        |      배경에 인물사진을 배치.  초기의 Beatles모습을 인형으로 배치하여  |
        |      새로운 Beatles 탄생을 환영. 즉, 지난 모습을 손수 매장하고 새  |
        |      Beatles를 선언. 언제나 Beatles의 모든 아이디어의 장본인인  Paul    |
        |      의 생각으로 유명인의 합성사진을 선택, Beatles멤버 4명이 좋아하는 |
        |      인물을 선정하였다.      |
        |  8> MEMO    |
        |      <Rubber Soul> <Revolver>적인 Total 性이 강한 Album을 발매하여      |
        |      호평을 받았다.  새 앨범제작에 있어 자신감을 가지고 만든 완벽한    |
        |      Total Album.  Paul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SGT. Pepper's∼> 의      |
        |      Tema곡에 Live 효과를 넣어 만듬.  4개월간의 정력적인 레코딩활동 |
        |      을 행함.    |
        +----------------------------------------------------------------------------+
 
                            THE BEATLES
 
<< Magical Mystery Tour >>
        +----------------------------------------------------------------------------+
        |  Side. A                                Side. B      |
        |  1. Magical Mystery Tour                1. Hello Goodbye      |
        |  2. The Fool On The Hill                2. Strawberry Fields Forever  |
        |  3. Flying                              3. Penny Lane |
        |  4. Blue Jay Way                        4. Baby You're A Rich Man    |
        |  5. Your Mother Should Know            5. All You Need Is Love      |
        |  6. I Am The Walrus  |
        +----------------------------------------------------------------------------+
        |  1> 영국 발매일  :  1967년 12월 8일 (E.P 판)  |
        |  2> 레코딩 일시  :  A면은 동명영화의 촬영과 병행하여 1967.8.하순∼ |
        |                      10月.상순까지 녹음.    |
        |                      B면은 1966.12.상순∼1967.10.중순까지      |
        |                      연속적으로 녹음하였다.    |
        |  3> 레코딩 스텝  |
        |      * Producer  :  George Martin    |
        |      * Engineer  :  Geoffery Emerick |
        |  4> 참가 Man  |
        |    * Mal Evans    (탬버린 : ⓑ2) |
        |    * George Martin (피아노 : ⓑ5) |
        |    * Mick Jagger (Rolling Stones의 lead Vocalist : Back Chorus : ⓑ5)  |
        |    * Keith Richards (Rollinf Stones의 Guitarlist : Back Chorus : ⓑ5)  |
|    * Erick Clapton  (Back Chorus : ⓑ5)      |
        |    * Keith Moon      (The Who의 Drummer : Back Chorus : ⓑ5)    |
        |    * Graham Nash    (Back Chorus : ⓑ5)      |
        |    * Gary rees  (Oga Brothers의 member : Back Chorus : ⓑ5)    |
        |    * Patti Harrison  (Back Chorus : ⓑ5)      |
        |    * Jane Asyer      (Paul의 애인 ⓑ5)    |
        |    * Marian Faithful (Back Chorus : ⓑ5)      |
        |  5> 히트상황    |
        |      영국 Single Chart에 1967.12.16.에 17위로 첫 등장하여 다음해    |
        |      1968.1.13.에 1위에 올라 통산 10주간 랭크됨.  |
        |      미국 Album Chart에는 1967.12.23에 157위에 첫등장하여 다음해    |
        |      1968.1.16∼2.24.까지 8주간 연속 1위, 통산 82주간 랭크되었다.      |
        |      1967.12.15, RIAA 공인 Gold Disk 수상 |
        |  6> 에피소드    |
        |      영국에서는 Sound Track 곡만 있는 E.P로 발매되었는데 레코딩  |
        |      종료시 6곡을 더 수록했다. 스&#53494;간의 문제로 Album을 만들기에      |
        |      는 너무 곡이 적어 1장의 EP로 수록할수 밖에 없었다.  |
        |      처음에는 싱글판 3매를 한 Set로 발매했으나 여러 생각끝에 2장    |
        |      의 EP Set로 만들었다.  |
        |      A면은 Sound Track곡, B면은 Single 히트곡을 수록하여 Album을    |
        |      만듬. 미국에서는 영국 Sound Track 판의 결점인 레코드를 일일  |
        |      이 뒤져 듣던것을 보완해 Sound Track곡만을 들을수있게 한쪽면  |
        |      에 수록했다. 반대편은 여기까지 mono로 들었으나, stereo로 수  |
        |      록했다. Capitol Record의 나쁜 상술이었다.  |
        |      EMI Record 에서는 오랫동안의 발매 요청으로 1976.10월에야 겨        |
        |      우 발매되었다. |
        |  7> MEMO    |
        |      TV용 영화 「Magical Mystery Tour」의 Original Sound Track 판으  |
        |      로 음악적으로는 전작 Album인 「Sgt.∼」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
        |      <I Am The Walrus><Blue Jay Way><Flying>등,  electric 기술을  |
        |      구사한 두터운 Sound를 가진 작품이 많다.        |
        |      Psychedelic Animatism적 성격이 강한 영화 Sound Track이다.  |
        |      전작보다 더 도약적이고 보다 Comic하게 만들었다.    |
        |      시적인 면에서는 환상적이고 허속적인 <Strawberry∼>        |
        |      <I Am The Walrus>, 서정성이 뛰어난 <The Fool On The Hill>은      |
        |      걸작이다.    |
        +----------------------------------------------------------------------------+
 
                            THE BEATLES
 
<< The Beatles (White Album) >>
        +----------------------------------------------------------------------------+
        |  Side. A                                Side. B      |
        |  1. Back In The USSR                    1. Martha My Dear    |
        |  2. Dear Prudence                      2. I'm So Tired      |
        |  3. Glass Onion                        3. Black Bird |
        |  4. Ob-Ra-Di Ob-Ra-Da                  4. Piggies    |
        |  5. Wild Honey Pie                      5. Rocky Raccon      |
        |  6. The Continuing Story                6. Don't Pass Me By  |
        |    of Bungalow Bill                    7. Why Don't We Do it in the Road    |
        |  7.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8. I Will    |
        |  8. Happiness is a Warm Gun            9. Julia      |
        |      |
        |  Side. C                                Side. D      |
        |  1. Birthday                            1. Revolution 1      |
        |  2. Yer Blues                          2. Honey Pie  |
        |  3. Mother Nature's Son                3. Savoy Truffle      |
        |  4. Everybody's Got Something To        4. Cry Baby Cry      |
        |    Hide Except Me and My Monkey        5. Revolution 9      |
        |  5. Sexy Sadie                          6. Good Night |
        |  6. Helter Skelter    |
        |  7. Long Long Long    |
        +----------------------------------------------------------------------------+
        |  1> 영국 발매일  :  1968년 11월 22일 |
        |  2> 레코딩      :  인도에서 귀국후 68.5월하순에서  |
        |                      10월하순까지 4개월 반 동안 녹음.    |
        |  3> 레코딩 스&#53494;    |
        |      Poducer      :  George Martin    |
        |      Engineer    :  ① Jeff Emeric ② Cris Thomas (Bad Finger, |
        |                        Roxy Music, Sex Pistols의 Poducer로 유명함)        |
        |                      ③ Ken Scortt (Super Tramp의 Producer)    |
        |  4> 참가 MAN  |
        |      ① Mal Evans (탬버린 A②, 트럼펫 C⑥)    |
        |      ② Jackie Lomax (영국출신의 Vocalist, 손박자 A②)  |
        |      ③ John (Paul과 함께 손박자 A②) |
        |      ④ Cris Thomas (Mellotron A⑥, Harpsicord B④)      |
        |      ⑤ Ono Yoko (John의 아내, Back Chorus A⑥, C①)        |
        |      ⑥ Eric Clapton (lead Guital A⑦)  |
        |      ⑦ Patti Harrison (Back Chorus C①)        |
        |      ⑧ Georgy Martin (Electric Piano D③, Harmonium D④)        |
        |      |
        |  5> Hit 상황  |
        |      ① 영국 Album Chart에 1968年 11月30日에  3위로 첫등장하여 다음주에  |
        |        1위에 올라 1969. 2. 15.까지 10주간 1위 독점. 통산 21주간 랭크됨.        |
        |      ② 미국에는 12月14日 11위에 첫 등장하여 12月28日에서 이듬해 2月1日      |
        |        까지 또 2月15日∼3月1日까지 모두 9주간 1위.  통산 114주간 랭크.  |
        |        68年 12月6日  RIAA공인 Gold Disk 수상.      |
        |  6> 에피소드    |
        |      이 Album의 레코딩 Session으로 된 작품은 George의 「Not Guilty」        |
        |      (→79년 솔로앨범에 수록),  Paul의 「Jubilee」 (→Junk의 원곡),  |
        |      John의 「On the road to Marakesh」 등이다.    |
        |  7> 자켓 스토리  |
        |      자켓에 “The Beatles" 라는 문자를 나타낸것 외에는 어떤 인쇄도 없어      |
        |      ”White Album“으로 불리운다.  Beatles 자켓중 가장 간단하다. 전작의  |
        |      자켓에서도 볼수없는 의외성을 보여준다.    |
        |      무엇보다 이 Album에는 레코드 번호외에 세계에서 하나 밖에 없는 고유 |
        |      번호가 찍혀있다.        |
        |  8> MEMO    |
        |      ① 이 Album은 「Sgt.∼」까지의 의도적 시도에서 탈피했음을 보여준다.      |
        |        Concept 형식이 없다. Sound는 심벌이 더욱 풍부하여 음악 박람회    |
        |        적 앨범이다.  독특한 「Back In The USSR」, 칼립소풍의 「Ob-Ra-Di      |
        |        Ob-Ra-Da」, Blues풍의 「Yer Blues」「Happiness is ∼」 바로크 풍의 |
        |        「Black Bird」「Mother Nature's Son」 Contry풍의 「Rocky Raccon」    |
        |        「Don't Pass Me By」, Music 콩쿨의 「Revolution 9」 등 그들 4인의 |
        |        개성이 발휘된 작품들이다.        |
        |      ② Sound 면에서는 「Back In The ∼」는 Beach Boys의 Chuck Bessy,  |
        |        「Yer Blues」에는 Blood Shade Blues, 「Why Don't We∼」에는 Rolling    |
        |        Stones화 했다.  |
        |      ③ 시적인 면에서는 「Back In The ∼」「The Continuing∼」「Honey Pie」  |
        |        에서는 미국적이고  「Glass Onion」에서는 Beatles 자신,  「Black      |
        |        Bird」「Piggies」에서는 인간적이고  「Sexy Sadie」에서는  마하리쉬        |
        |        요기를  「Cry Baby Cry」에서는 영국황실을, 「Revolution 1」에서는      |
        |        폭력혁명 세력을 보여주었다.      |
        |  9> Sound    |
        |      이 Album에서는 Paul과 John 자신이 Produce를 하기 시작했다. 그 중  |
        |      유명한 Hit 곡도 여러곡 탄생되었다.  Member 외에 여러 Session Man  |
        |      이 참가했다. 「Revolution 1」의 Piano는 Nicky Hopkins, 「While My∼」        |
        |      의 기타는 George 대신 Eric Clapton이 연주하였다.  이 Album을 듣고        |
        |      있으면 그들 4인이 각자 하고 싶었던 말을 확실히 알수있다.        |
        |      이 Album에는 특히 Paul의 곡이 많다. 「While My∼」는 George가, 「Yer    |
        |      Blues」는 John이 각각 독점했다. 「Black Bird」는 cord를 사용않고 6도      |
        |      로치는 Count line과 Melody가 합해져 매우 아름답다. 「Revolution」은      |
        |      Contry적인 Melody line이다.  Acoustic guital 소리가 매우 명쾌하다.    |
        |      Contry라고 말한것도 미국에는 없는 Sound이다.  Scotland적이고 영국  |
        |      적인 Sound라고 느껴진다. |
        |      이 Album에서 느낀 특징은 생음악이 많다는 것이다.  시기적으로 생각 |
        |      해보아도 「Sgt.∼」까지의 계산으로 볼때 옛 Sound와는 반대이다.  |
        |      Album의 Play는 어느것을 보아도 4인이 부르는 느낌이다.      |
        |      George Martin의 영향이 크다고 할수있다.    |
        |      「Revolver」, 「Sgt.∼」등과 비교해 볼때 그들 자신의 Musician으로서의 |
        |      음악성이 돋보였다. 즉 앞의 두 작품보다 음악가로서 모습이다.      |
        +----------------------------------------------------------------------------+
 
                              THE BEATLES
 
<< Yellow Submarine >>
        +----------------------------------------------------------------------------+
        |  Side. A                                Side. B      |
        |  1. Yellow Submarine                    1. Pepperland |
        |  2. Only A Northern Song                2. Sea Of Time        |
        |  3. All Together Now                    3. Sea Of Holes      |
        |  4. Hey Bulldog                        4. Sea Of Monsters    |
        |  5. It's All Too Much                  5. March Of The Meanies      |
        |  6. All You Need Is Love                6. Pepperland Laid Waste      |
        |                                        7. Yellow Submarine in Pepperland    |
        +----------------------------------------------------------------------------+
        |  1> 영국 발매일  :  1969년 1월 17일 발매      |
        |      미국 발매일  :  1969년 1월 13일 발매      |
        |  2> 레코딩 일시  :  67년 6월 중순경  ∼  68년 2월까지      |
        |                      London Abbey Road Studio에서 녹음.  |
        |  3> Poducer      :  George Martin    |
        |  4> Hit 상황    :  미국에서는 69년 2월에 Chart에 처음 등장하여      |
        |                      24주간 통산랭크되었으나 1위는 하지 못하고 |
        |                      2위까지 올랐었다.      |
        |                      영국에서는 겨우 4위까지 올랐을뿐이다. 이것은        |
        |                      Beatles의 Original Album 중 가장 부진한 기록      |
        |                      이다.      |
        |  5> MEMO 1.      :  George의 곡 Only a Northern Song은 그가 단시간  |
        |                      내에 쓴곡으로 Beatles작품에 대한 자조적은 비판    |
        |                      을 담고 있으며 나아가 그 내부에는 그들의 사심,      |
        |                      세력 이해관계등이 깔려있다고 한다.      |
        |  6> MEMO 2.      :  이 앨범은 Beatles 멤버들이 Apple사의 설립과 사 |
        |                      업구상으로 바쁘고 또 각자 단독적인 활동이 시작      |
        |                      될 무렵에 녹음된것으로 그들이 별 애착을 가진 것      |
        |                      이 아니었기에 가장 저조한 평가를 받은 것도 당연      |
        |                      한 일이다. Brian Epstein에 의해 계약된 Project    |
        |                      로써 United Artists에 3번째 Beatles 영화를 만들    |
        |                      의무가 있었기에  그들은 별로 내키지 않는 가운데      |
        |                      만화영화의 음악을 담당했다.  |
        |                      Yellow Submarine은 66년 발표된 L.P.<Revolver>에        |
        |                      서, 「All You Need Is Love」는  67년 발표된  L.P.        |
        |                      <Magical Mystery Tour> 에서  각각 발췌한 것으로    |
        |                      Beatles의 신곡은 4곡뿐이다.      |
        +----------------------------------------------------------------------------+
 
                              THE BEATLES
 
<< LET IT BE >>
        +----------------------------------------------------------------------------+
        |  Side. A                                Side. B      |
        |  1. Two of us                          1. I'e got a feeling  |
        |  2. Dig a Pony                          2. One after 909      |
        |  3. Across the Universe                3. The long and winding road  |
        |  4. I me mine                          4. For you blue      |
        |  5. Dig it                              5. Get back  |
        |  6. Let it be |
        |  7. Maggie Mae        |
        +----------------------------------------------------------------------------+
        |  1> 영국 발매일  :  1970년 5월 8일 발매        |
        |      미국 발매일  :  1970년 5월 18일 발매      |
        |  2> 레코딩 일시  :  동명 영화의 촬영과 병행하여      |
        |                      1969.1월∼2월 상순까지 녹음.      |
        |  3> 레코딩 Staff        |
        |      Producer    :  George Martin    |
        |                      Phil Spector    |
        |      Engineer    :  Gly Johns        |
        |  4> 참가 MAN  |
        |      Billy Preston (미국출신의 흑인 키보드 연주자) |
        |      : 전기피아노  A ②④⑤⑥ , B ①②⑤  |
        |      George Martin : 오르간  A ③ |
        |  5> Hit 상황  |
        |      Beatles 해산설의 화제와 더불어 미국에서는 예약으로만 |
        |      370만매가 팔려 사상 최고기록을 수립하였다.        |
        |      미국 Album Chart에는 1970.5.30.  104위로 처음 등장하        |
        |      여 6.13∼7.4  4주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통산 55주간    |
        |      랭크.  70.5.26. RIAA 공인 Gold Disk 수상.      |
        |      영국 Album Chart에는 1970.5.23.  3위로 처음 등장.  |
        |      6.6∼7.25  8주간 1위 자리를 지킴. 통산 25주간 랭크.    |
        |  6> 에피소드    |
        |      「THE BEATLES」에 이은 새로운 Album 제작 시작무렵 전자  |
        |      음향기술을 피하여 자신들의 악기만을 사용한 Simple 한 |
        |      Sound의 Album을 만들기를 원한 John이 다른 3인에게      |
        |      「정직한 앨범」을 만들것을 제안, 그의 의도대로 마치 리  |
        |      허설하는 것을 녹음해 놓은 듯한,  Documentary touch의  |
        |      Live 형식의 Album이 만들어졌다.  |
        |      처음에는  Twickenham film studio가 황량하고 형편없어  |
        |      Apple Studio로 옮겨 녹음을 끝냈다.  원래 Album title        |
        |      은 「Get Back」 이었으나 중도에 발표를 연기했다가 일년      |
        |      반후에 재편집하여  「LET IT BE」로 title을 바꾸어 발표    |
        |      하였다.    |
        |      거의 30시간에 달하는 양의  Raw Tape을 하나의  Tape에    |
        |      편집하여 Live&#8226;Recording 당시를 생생하고 박력이게 전        |
        |      한 Phil Spector의 Produce능력이 돋보인다. |
        |  7> MEMO 1  |
        |      중기이후 써왔던 Dubbing 등의 Studio음향기술을 배제한      |
        |      Simple한 Rock 색체의 사운드제작을 위해 노력하였다.        |
        |      내용적으로 folk Rock 풍의 「Two of us」, Blues style의    |
        |      「Dig a Pony」「For you Blue」, 민속풍의 「Maggie Mae」    |
        |      Gospel 풍의 「Let it be」, Rock Number 「Get back」,  |
        |      Ballad 풍의 「The long and winding road」, 「Across the      |
        |      Universe」, 1950년대 소년시절 John 과 Paul의 공동작품 |
        |      인 Old Rock 「One after 909」등 다채로운 작품으로 구성 |
        |      되었다.    |
        |  8> MEMO 2  |
        |      1969년 녹음당시 Original recording Producer는 George  |
        |      Martin 이었으나 1970년 4월경 Phil Spector의 Remixing,    |
        |      overdubbing에 의하여 <LET IT BE>앨범이 완성되었다.  |
        |      「Let it be」는 Original Single과  Phil Spector에 의해  |
        |      재편집된 곡이 후반부 코러스부분 one play차이로 single    |
        |      이 3분50초, 앨범수록 Let it be가 4분01초로 차이가 있다.  |
        |      「The long and winding∼」의 경우 코러스, Harp, Strings  |
        |      등이 가미되어 재편집되었는데  Paul은 그것에 대해 매우 |
        |      불만스러운 의사를 표시하기도 했었다.    |
        |      「Across the Universe」는 68년 녹음되어 세계야생동물보호 |
        |      기금에 헌정한 것이나 1970년 3월 재편집당시 Back Vocal,  |
        |      새소리등이 삽입되었다.    |
        |      「I me mine」은 Abbey Road Studio에서 녹음, 「I'e got a∼」        |
        |      「One after 909」「Dig a Pony」는 Apple studio의 옥상에서  |
        |      녹음한것을 재편집한 것이며 나머지곡들은  Apple studio      |
        |      에서 녹음된 것이다.      |
        +----------------------------------------------------------------------------+
 
                            THE BEATLES
 
<< ABBEY ROAD >>
        +----------------------------------------------------------------------------+
        |  Side. One                              Side. Two    |
        |  1. Come Together                      1. Here Comes The Sun |
        |  2. Something                          2. Because    |
        |  3. Maxwell's Silver Hammer            3. You Never Give Me Your Money      |
        |  4. Oh! Daring                          4. Sun King  |
        |  5. Octopus's Garden                    5. Mean Mr.Musard    |
        |  6. I Want You (She's so heavy)        6. Polythene Pam      |
        |                                        7. She Came In Through The    |
        |                                            Bathroom Window    |
        |                                        8. Golden Slumbers    |
        |                                        9. Carry That Weight  |
        |                                        10. The End    |
        |                                        11. Her Majesty        |
        +----------------------------------------------------------------------------+
    1> 앨범 발매일
          영국 발매일 : 1969년  9월 26일
          미국 발매일 : 1969년 10월  1일
    2> 레코딩 일시  : 1969년 7월 ∼ 8월에 걸쳐 녹음
    3> 레코딩 Staff
        Poducer      :  George Martin
        Engineer    :  Jeff Emeric , Phil McDonald , Alan Parsons
    4> Hit 상황
        &#8226; 매니저 Allen Klein의 능숙한 선전활동과 미국에서부터 번진
          Paul의 사망설과 관련, 발매 초기부터 폭발적인 판매량을 기
          록하였다.  첫해 판매량만해도 500만장이며 이것은 「Sgt.∼」
          보다 200만장이나 많은 기록이다.  전세계적으로  75년까지
          1300만장이 팔려 Beatles Album 중 최다판매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8226; 영국 Album Chart에 1969.10.4.에 첫등장하여 1위에 랭크.
          1970.2.14.까지 19주간 1위 독점. 통산 35주간 랭크되었다.
          미국에서는 1969.10.18.에 178위에 첫등장하여 11.1∼12.20,
          다음해 1.3∼1.10. 통산 11주간 1위에 랭크. 통산랭크 주간
          은 87주이다.  1969.10.27. RIAA공인 Gold Record 선정.
    5> 에피소드
          이 앨범의 레코딩 세션으로 녹음된 작품은 John의 작품으로
          「Four Nights In Moscow」,「When I Come To Town」이 있다.
    6> 자켓 스토리
          Paul의 사망설의 한가지 원인이 된 자켓사진이 유명하다.
          횡단보도를 걷고있는 Beatles 멤버들을 Paul의 장례식행렬의
          목사(John),장의사(Ringo),묘지의 인부(작업복차림의 George)
          로 보았음. Paul이 맨발인것은 그가 죽은 사람임을 상징하는
          것이며 Paul이 담배를 오른손에 쥐고있는 점도 지적되었다.
          노상에 주차하고 있는 Volkswagen(Beetles)의 번호판 「IF28」
          은 Paul의 나이 28세를 나타낸것이라는 소문이 떠돌았음.
    7> MEMO 1
        &#8226; 이 Album의 레코딩시기는 「Let it be」 레코딩시기 (69.1∼2)
          보다 늦다. 그러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Let it be」가
          70년 5월에 발표되어 final Album이 되었으나, 「Abbey Road」
          가 실질적인 Beatles의 최후 작품인 것이다.
          「White Album」이후 4인의 개성이 유감없이 발휘된 또하나의
          Album으로 보고있다. 완성도가 높은 치밀한 구성, 아름다운
          조화가 있는 반면 강한 개성의 경합이 돋보이는 걸작 Album
          이다. 서로가 지친 상태에서 그들의 왕국이 서서히 붕괴됨을
          느끼며 만들어낸 Beatles 최후의 역작으로 하나의 작은 기적
          으로 평가되고 있다.
        &#8226; ‘Side 1’은 종전형식대로 단독곡들이 수록되어있고 'Side 2'
          는 전체적으로 메들리형식을 취하고 있다.
          사운드 면에서는 신서사이저를 많이 도입했으며, 랩소디적인
          면, Musical 성격의 곡도 있고  Rock and Roll, Prograssive
          pop 등 다양한 면을 나타내고 있다.
    8> MEMO 2
        &#8226; Drum과 Bass의 앙상블이 뛰어난 <Come Together>는 Chuck
          Berry의 <You can't catch me>와 sound가 비슷하여 Morris
          Levy(Big Seven Music의 발행인)에 의해 표절시비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었다. 「Abbey Road」수록 <Come Together>의
          Time은  4분16초로  < The Beatles 20 Greatest Hits >의
          <Come Together>(4:01)보다 15초 길다.
        &#8226; Harrison의  화려한 서정성을 지닌 명곡 < Something >은
          Single A면에 실린 George의 첫번째 곡이며 가장 많이 팔
          린 Single 중의 하나이다.
        &#8226; <Octopus's Garden>은 「White Album」의 <Don't Pass Me By>
          에 이어 Ringo 자신이 지은 두번째 곡으로 역시 C&W 스타일
          의 곡이다.
        &#8226; <I Want You>는 후회없이 쏟아내듯 거침없는 보컬이 Yoko를
          향한 그의 강한 사랑의 절규, 항변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제
          목 She's so heavy 역시 그러한 뜻을 나타내고 있다.
        &#8226; <Because>는  Yoko의 피아노 연주를 듣고  착안한 것이라고
          하는데 Beethoven의 「월광 소나타」를 John이 재구성하여 거
          기에 감동적인 가사를 첨가시켜  헌신적이고 열정적인 사랑
          을 표현한 아름다운 곡을 만들었다.
        &#8226; <You Never Give Me ∼>는 좋지않은 감정을 담아  매니저인
          Allen Klein을 풍자한 곡이며  <Carry That Weight>와 함께
          Paul의 Apple에 대한, 공동체로서의 Beatles에 좌절의 의미
          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이곡들은 <The End>와 함께 Beatles
          의 결말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암시한 곡이다.
        &#8226; 메들리 중 Lennon의 Part인 <Sun King>, <Mean Mr.Musard>
          <Polythene Pam>은 Liverpool의 folk opera에서 착안하여
          만든 곡들로 그 특유의 재능이 번뜩이는 곡들이다.
          이곡들은 John이 인도여행중의 경험, 마약으로인한 경험에
          기본을 둔  완성되지 않은 곡들의 단편을 모아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Sun King>은  Spanish rhithm을 취한 유일한
          곡이다.
        &#8226; <Her Majesty>는 앨범 자켓, 음반중앙 레이블에 곡명이 수
          록되지않는 것이 특징이며 Beatles의 213곡중 가장 짧은
          곡이다.
 
Beatles의 Tomorrow Never Knows              07/26 03:15  21 line
 
비틀즈의 Tomorrow never knows...
비틀즈의 사운드가 십대소녀 취향에서 예술적 분위기로 변화하기 시작한
것은 Rubber Soul앨범 부터였다.
그리고 그 진면목이 드러난 것은 Revolver 앨범에서다.
 
마약문화를 연상시키는 I'm only sleeping
인도음악에 접근하는 Love you to
바하의 음악을 연상시키는 뛰어난 소품 Eleanor Rigby
그리고 조지 해리슨의 사회풍자(세금에 대한) Taxman
그리고 마지막곡으로 Tomorrow never knows가 있다.
 
이 곡은 시타 연주와 인도의 시장과 코브라춤을 연상시키는 잡음,
마이크 올드필드 스타일의 간질병적인 기타연주,
그리고 싸이키델릭한 가사와 보코더를 사용한 특이한 음색이
이국적 분위기의 드럼 연주와 함께
신선한 충격을 주는 곡이다.
 
진정한 비틀즈의 면모를 모르고,
Hey Jude와 Let it be, Girl, Yesterday밖에 알지 못하면서
비틀즈는 별볼일없다고 생각하는 일부 음악매니어들에게
들려주고픈 앨범 가운데 하나이다.
 
Beatles의 Revolution/Revolution #9          07/29 02:43  13 line
 
<White Album>은 비틀즈 멤버들의 개성이 가장 잘 발휘된 앨범입니다.
각기 독특하고 다양한 싸운드로 포크와 락, 프로그레시브, 재즈, 헤비 메탈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음악이 다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Revolution은 존 레논의 개성이 짙은 곡으로
싱글로 발매된 것 까지 합치면 모두 세곡의 Revolution이 있습니다.
 
특히 Revolution은 무의미한 연주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꼴라쥬 음악입니다.(#9입니다.)
독재자의 연설, 아이 울음소리, 아쟁같은 악기의 소리, 물소리,
총소리, 여자의 속삭임, 중얼거림으로 이루어진 이 노래는
섬뜩한 절망감을 듣는 이에게 주지만
인상 깊은 곡이라고 생각됩니다.
 
[The Beatles] Ringo Starr                    09/01 11:38  66 line
 
                      Ringo Starr 약력
 
  * 본명    :  Richard Starkey
  * 생년월일 :  1940년 7월 7일
  * 출생지  :  Dingle. Liverpool
  * Position :  Drum
 
  Ringo Starr는 Beatles 네 멤버 중 가장 humorous하고 재치가
  넘치는 인물이었다.
  1962년 Pete Best를 대신 하여  그룹 Beatles에  Drummer로서
  정식으로 가입하게 되는 Ringo Starr는  6살때 복막염을 앓은
  이후 줄곧 병치레를 해내면서  결혼 생활에 실패한 어머니 밑
  에서 자랐었다.
  그는 학교를 중퇴한 후  드럼스틱에 그의 외로운 꿈을 걸면서
  Eddie  Miles, Skifful  Band,  Darktown  Skiffulers,  Rory
  Storme & the Hurricanes 등의 그룹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Beatles에 가입하기 전에도  Ringo는  Beatles와 대면한 적이
  있는데 그가 함부르크에서  Tony Sheridan  이 활동하던 Star
  Band 에서 연주할 때였다.당시 Butlin Holiday Camps 등에 출
  연하던 Ringo는 돈벌이와 안정된 일자리 중  현명하게도 후자
  를 택하였다. 바로 Beatles에 가입한 것이다.
  이후 Ringo Starr는 Beatles와 더불어 부와 명성을 쌓으며 팝
  계의 신화적 존재로 군림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세명의 Beatles멤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악성이 떨어진
  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소위 '완충지대'로서 그가 담당했
  던 음악적, 인간적 역할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으리라 생각된
  다. 총 200 곡이 넘는 수많은 Beatles의 명곡들 중 그가 부른
  노래는  그리  많지는  않은데,  그중  'Yellow  Submarine',
  'Octopus' Garden' 등이 많은 인기를 얻었다.
  1969년 2월에는, 다른  Beatles  멤버들과는  관계없이  영화
  'The Magic Christian'에 Peter Sellers등  명배우와 함께 출
  연하기도 하였다. Beatles 해산 후 1970년초 4월에는 그의 첫
  Solo Album인 'Sentimental Journey' 가 발매되었으며  9월에
  는 'Beaucoups Of Blues'를 발매하였다.
  1971년 7월에 George Harrison이 개최한 Bangladesh난민 돕기
  자선 공연에 출연하여 많은 팬들을 기쁘게 해주었다.
  또한 1973년 2월에는 'That'll Be The Day'(Buddy Holly를 그
  린 영화)에서 David Essex와 공연하여  50년대 록계의 모습을
  재현했다.
  특히 1973년 12월에 발매된 앨범 'Ringo'는 그의 최고 걸작으
  로서 평가되는데 연주에는 John, Paul, George 그리고  Billy
  Preston,Harry Nilson, Nicky Hopkins등의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하였다. 이후로도 Ringo Starr는 많은  Album들을 발표하
  며 음악활동을 해오고 있는데 1981년 4월에는 여배우 Babara
  Bach(영화 007에서 Bondgirl로 출연)와 결혼식을 올렸다.
  한편 1992년 발표한 자신의 Album이 좋은 반응을 얻자 새로이
  팀을 구성하여 'All Star Live'를 미국에서 펼치고 있다.
 
        * Ringo Starr가 발표한 solo album들 *
 
  1.  Sentimental Journey      (1970.4)
  2.  Beaucoups Of Blues      (1970.10)
  3.  Ringo                    (1973.11)
  4.  Goodnight Vienna        (1975.5)
  5.  Blast From Your Past    (1975.11)
  6.  Ringo' Rotogravure      (1976.10)
  7.  Ringo The 4th            (1977.10)
  8.  Bad Boy                  (1978.5)
  9.  Stop and Smell The Roses (1981.12)
  10. Old Wave                (1983.11)
  11.    ?
  12.    ?
  13.    ?
</pre>

2020년 2월 28일 (금) 11:50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