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학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96번째 줄: 296번째 줄: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2&page=22 160집(2012) 1.백민정 / 기획: 실학의 공공성 - 유교 지식인의 公 관념과 公共 의식 : 이익, 정약용]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2&page=22 160집(2012) 1.백민정 / 기획: 실학의 공공성 - 유교 지식인의 公 관념과 公共 의식 : 이익, 정약용]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3&page=22 160집(2012) 2.박영도 / 기획: 실학의 공공성 -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 몇 가]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3&page=22 160집(2012) 2.박영도 / 기획: 실학의 공공성 -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 몇 가]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4&page=22 160집(2012) 3.이승률/‘道’의 인식: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老子� 철학의 형성과]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4&page=22 160집(2012) 3.이승률/‘道’의 인식: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老子 철학의 형성과]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5&page=22 160집(2012) 4.김선민/兩晉의 종묘제도와 ‘太祖虛位’]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5&page=22 160집(2012) 4.김선민/兩晉의 종묘제도와 ‘太祖虛位’]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6&page=22 160집(2012) 5.정연식 / 거타지 설화의 새로운 해석]
* [http://kukhak.yonsei.ac.kr/bbs/board.php?bo_table=sub04_02&wr_id=1366&page=22 160집(2012) 5.정연식 / 거타지 설화의 새로운 해석]
1,668번째 줄: 1,668번째 줄:


== 함께 보기 ==
== 함께 보기 ==
* [ 『개념과 소통』]
* [[개념과 소통]]


[ 『분류:학술지』]
[[분류:학술지]]

2020년 1월 30일 (목) 14:4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동방학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학회지
  • 홈페이지로 연결

2 151~[ | ]

3 101~150[ | ]

4 51~100[ | ]

5 1~50[ | ]

6 함께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