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Natural7530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5/Rust_programming_language_black_logo.svg/240px-Rust_programming_language_black_logo.svg.png | |||
;Rust, rust lang | ;Rust, rust lang | ||
;러스트 | ;러스트 | ||
== | 메모리 안정성을 중점에 둔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 ||
* | |||
==특징== | |||
* | *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ref>시범 목적이지만 간단한 운영체제도 제작되었다.</ref> | ||
* 메모리 관리의 안전성을 중점에 두었다.<ref>소유권과 수명을 컴파일 타임에 안전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문법적으로 지원한다.</ref> | |||
* 실제 성능은 [[C++]]와 비슷하지만 C언어와 마찬가지로 low-level 최적화가 가능하다. | |||
* 객체 지향 문법을 일부 지원하며 변형되었다.<ref>상속을 지원하지 않고 composition이라고 하는 다른 형태의 구조화를 지원한다.</ref> | |||
* 2~3년 주기로 새로운 버전이 나온다. | |||
StackOverflow에서 2019년 가장 많이 사랑받는 언어로 뽑히기도 했다.[https://insights.stackoverflow.com/survey/2019#most-loved-dreaded-and-wanted #] | |||
그만큼 Rust가 잘 설계되었고 실용성도 있다는 뜻이다. | |||
그러나, 사용할 수 있는 언어로 등장한지 고작 5년 밖에(2015) 되지 않았고, TIOBE 순위[https://www.tiobe.com/tiobe-index/ #]에서 여전히 10위권 밖인 만큼, 향후 5년 내 실무에서의(특히 한국) 사용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
==역사== | |||
* 2010년, 모질라에서 Rust를 개발했다.<ref>정확히는 모질라 소속의 개발자가 만들던중 모질라가 합세한 것이다.</ref> | |||
* 2016년, 파이어폭스<ref>https://hacks.mozilla.org/2016/07/shipping-rust-in-firefox/</ref>에서 Rust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 |||
==패키지 관리자== | |||
Cargo는 Rust의 공식 패키지 관리 도구이다. | |||
[[npm]]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 |||
다음은 UNIX의 명령어 소프트웨어를 Rust 로 작성한 예제이다. | |||
*[https://github.com/uutils/coreutils coreutils] | |||
*[https://github.com/BurntSushi/ripgrep grep] | |||
*[https://github.com/sharkdp/fd find]<ref> find에 비해 빠르다. [[fd-find]].</ref> | |||
*[https://github.com/vmchale/tin-summer tin-summer du]<ref>성능이 좋고 기능이 몇 가지 더 추가되었다.</ref> | |||
*[https://the.exa.website/ ls]<ref>파일이나 폴더의 권한을 알아보기 쉽게 색이 더 들어갔다.</ref> | |||
*[https://github.com/skade/sl-rust sl(ls)]<ref>ls 오타내는 사람을 위한 명령이다.</ref> | |||
==참고== | ==참고== | ||
* [https://www.rust-lang.org/ 홈페이지] | |||
* [https://doc.rust-lang.org/book/ 튜토리얼] | |||
* {{영어위키백과|Rust (programming language)}} | * {{영어위키백과|Rust (programming language)}} | ||
[[분류: 프로그래밍 언어]] | [[분류: 프로그래밍 언어]] |
2020년 1월 16일 (목) 23:49 판
1 개요
- Rust, rust lang
- 러스트
메모리 안정성을 중점에 둔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2 특징
-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1]
- 메모리 관리의 안전성을 중점에 두었다.[2]
- 실제 성능은 C++와 비슷하지만 C언어와 마찬가지로 low-level 최적화가 가능하다.
- 객체 지향 문법을 일부 지원하며 변형되었다.[3]
- 2~3년 주기로 새로운 버전이 나온다.
StackOverflow에서 2019년 가장 많이 사랑받는 언어로 뽑히기도 했다.# 그만큼 Rust가 잘 설계되었고 실용성도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사용할 수 있는 언어로 등장한지 고작 5년 밖에(2015) 되지 않았고, TIOBE 순위#에서 여전히 10위권 밖인 만큼, 향후 5년 내 실무에서의(특히 한국) 사용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3 역사
4 패키지 관리자
Cargo는 Rust의 공식 패키지 관리 도구이다. npm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다음은 UNIX의 명령어 소프트웨어를 Rust 로 작성한 예제이다.
5 참고
- ↑ 시범 목적이지만 간단한 운영체제도 제작되었다.
- ↑ 소유권과 수명을 컴파일 타임에 안전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문법적으로 지원한다.
- ↑ 상속을 지원하지 않고 composition이라고 하는 다른 형태의 구조화를 지원한다.
- ↑ 정확히는 모질라 소속의 개발자가 만들던중 모질라가 합세한 것이다.
- ↑ https://hacks.mozilla.org/2016/07/shipping-rust-in-firefox/
- ↑ find에 비해 빠르다. fd-find.
- ↑ 성능이 좋고 기능이 몇 가지 더 추가되었다.
- ↑ 파일이나 폴더의 권한을 알아보기 쉽게 색이 더 들어갔다.
- ↑ ls 오타내는 사람을 위한 명령이다.
편집자 Natural7530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