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Node.js
;Node.js
;노드.js, 노드닷js, 노드JS
;노드.js, 노드닷js, 노드JS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 자바스크립트 활용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자바스크립트 활용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V8에 event처리 라이브러리 libuv를 결합한 플랫폼
*[[V8 자바스크립트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이벤트 처리 I/O 프레임워크
* [[V8 자바스크립트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이벤트 처리 I/O 프레임워크
*V8에 event처리 라이브러리 libuv를 결합한 플랫폼
*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Non-blocking I/O와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통한 높은 처리성능
* [[Non-blocking I/O]],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통한 높은 처리성능
:단일 스레드 - 문맥교환 비용 감소
:옵저버 패턴 - 대규모 병렬 처리에 용이 - I/O 수행시 무조건 콜백 사용해야 함   
*내장 HTTP 서버 라이브러리 포함.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웹서버 동작 가능
*내장 HTTP 서버 라이브러리 포함.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웹서버 동작 가능
*이벤트 기반 비동기 방식으로 입출력 처리<ref>반면, 기존 웹서버들은 주로 스레드 기반 처리</ref>
*이벤트 기반 비동기 방식으로 동작<ref>반면, 기존 웹서버들은 주로 스레드 기반 처리</ref>. 대규모 네트워크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9/Node.js_logo.svg/200px-Node.js_logo.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9/Node.js_logo.svg/200px-Node.js_logo.svg.png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자바스크립트]]
{{z컬럼3|
*[[V8]]
* [[V8]]
*[[CentOS node.js 설치]]
* [[npm]]
*[[우분투 node.js 설치]]
* [[Restler]]
*[[/usr/bin/node]]
* [[미티어JS]]
*[[npm]]
* [[Passport]]
*[[Express.js]]
* [[Express.js]]
*[[Passport]]
* [[MEAN 스택]]
*[[Restler]]
* [[자바스크립트]]
*[[MEAN 스택]]
* [[/usr/bin/node]]
* [[node.js 버전 목록]]
* [[윈도우 node.js 설치]]
* [[우분투 node.js 설치]]
* [[CentOS node.js 설치]]
}}


==참고 자료==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Node.js
* {{위키백과}}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2&contents_id=114131


[[분류: Node.js]]
[[분류: Node.js]]
[[분류: 리눅스 재단 프로젝트]]

2019년 12월 25일 (수) 15:09 기준 최신판

1 개요[ | ]

Node.js
노드.js, 노드닷js, 노드JS
  • 자바스크립트 활용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V8에 event처리 라이브러리 libuv를 결합한 플랫폼
  • V8 자바스크립트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이벤트 처리 I/O 프레임워크
  •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 Non-blocking I/O,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통한 높은 처리성능
단일 스레드 - 문맥교환 비용 감소
옵저버 패턴 - 대규모 병렬 처리에 용이 - I/O 수행시 무조건 콜백 사용해야 함
  • 내장 HTTP 서버 라이브러리 포함.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웹서버 동작 가능
  • 이벤트 기반 비동기 방식으로 동작[1]. 대규모 네트워크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1. 반면, 기존 웹서버들은 주로 스레드 기반 처리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