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의 가격탄력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price elasticity ;가격탄력성 ;價格彈力性 *상품에 대한 수요량은 그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감소하고, 하락하면 증가한다. *가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price elasticity
;price elasticity of demand; PED, E<sub>d</sub>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 탄력성
;價格彈力性
* 한 재화의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것
*상품에 대한 수요량은 그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감소하고, 하락하면 증가한다.
* 가격이 1% 변화하였을 때 수요량은 몇 % 변화하는가를 절대치로 나타낸 크기
*가격탄력성은 가격이 1% 변화하였을 때 수요량은 몇 % 변화하는가를 절대치로 나타낸 크기이다. 탄력성이 1보다 큰 상품의 수요는 탄력적(elastic)이라 하고, 1보다 작은 상품의 수요는 비탄력적(inelastic)이라고 한다.
:보통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함
*상품 중에는 자체의 가격만이 아니라 다른 상품의 가격에 영향을 받아 수요량이 변화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상품에 관해서도 그 수요량과 다른 상품의 가격과의 사이에 같은 형식의 탄력성을 정의할 수가 있다. 이것을 교차탄력성(cross elasticity)이라 한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수요와 공급]]
* [[수요]]
*[[탄력성.신축성]]
* [[가격탄력성]]
*[[교차탄력성(cross elasticity)]]
* [[교차탄력성]]
*[[저량 · 유량(貯量· 流量)]]


==참고 자료==
==참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687&cid=40942&categoryId=3181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687&cid=40942&categoryId=31812


[[분류: 경제]]
[[분류: 경제]]
[[분류: 경제일반]]

2019년 8월 3일 (토) 20:0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price elasticity of demand; PED, Ed
수요의 가격 탄력성
  • 한 재화의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것
  • 가격이 1% 변화하였을 때 수요량은 몇 % 변화하는가를 절대치로 나타낸 크기
보통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함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