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나 카르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마그나 카르타, 대헌장
;마그나 카르타, 대헌장
*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한 문서
*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한 문서
*1215년 영국의 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해 서명한 문서
* 1215년 영국의 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해 서명한 문서
*1215년 잉글랜드의 존 왕이 내란의 위협에 직면하여 반포한 인권헌장
* 1215년 영국왕 존이 귀족들의 강압에 따라 승인한 칙허장
* 1215년 잉글랜드의 존 왕이 내란의 위협에 직면하여 반포한 인권헌장
* 1215년 영국 귀족들이 국왕 존의 잘못된 정치에 분노하여, 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왕에게 강요하여 받은 법률 문서
* 1215년 영국 귀족들이 국왕 존의 잘못된 정치에 분노하여, 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왕에게 강요하여 받은 법률 문서
*국왕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문서화
* 국왕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문서화
:전제군주의 절대권력에 제동을 걸기 시작함
: 전제군주의 절대권력에 제동을 걸기 시작함
*1216, 1217, 1225년에 개정됨
* 1216, 1217, 1225년에 개정됨
*문서 자체에는 민주주의적 요소가 없으나, 후대에 확대 해석되며 민주주의적 성격이 더해짐
* 문서 자체에는 민주주의적 요소가 없으나, 후대에 확대 해석되며 민주주의적 성격이 더해짐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e/Magna_Carta_%28British_Library_Cotton_MS_Augustus_II.106%29.jpg/440px-Magna_Carta_%28British_Library_Cotton_MS_Augustus_II.106%29.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e/Magna_Carta_%28British_Library_Cotton_MS_Augustus_II.106%29.jpg/440px-Magna_Carta_%28British_Library_Cotton_MS_Augustus_II.106%29.jpg
19번째 줄: 20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십자군전쟁]]
*[[헌장]]
*[[존]]
*[[리처드 1세]]
*[[권리장전]]
*[[권리장전]]
*[[권리청원]]
*[[권리청원]]
*[[영국 의회]]
*[[영국 의회]]
*[[십자군전쟁]]
*[[리처드 1세]]
*[[존 (잉글랜드)]]


==참고 자료==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Magna_Carta
*https://en.wikipedia.org/wiki/Magna_Carta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6m3730a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6m3730a
32번째 줄: 34번째 줄:
[[분류: 영국]]
[[분류: 영국]]
[[분류: 헌법]]
[[분류: 헌법]]
[[분류: 세계기록유산]]

2019년 7월 23일 (화) 22:48 기준 최신판

1 개요[ | ]

Magna Carta, "the Great Charter", Magna Carta Libertatum, "the Great Charter of the Liberties"
마그나 카르타, 대헌장
  •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한 문서
  • 1215년 영국의 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해 서명한 문서
  • 1215년 영국왕 존이 귀족들의 강압에 따라 승인한 칙허장
  • 1215년 잉글랜드의 존 왕이 내란의 위협에 직면하여 반포한 인권헌장
  • 1215년 영국 귀족들이 국왕 존의 잘못된 정치에 분노하여, 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왕에게 강요하여 받은 법률 문서
  • 국왕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문서화
전제군주의 절대권력에 제동을 걸기 시작함
  • 1216, 1217, 1225년에 개정됨
  • 문서 자체에는 민주주의적 요소가 없으나, 후대에 확대 해석되며 민주주의적 성격이 더해짐

 

2 주요 조항[ | ]

  • 제12조 오래된 관습상 인정되어 온 것 외의 과세 혹은 봉건 지원금은 귀족들의 자문을 거치지 않으면 부과할 수 없다. 다만 왕이 인질이 되었을 때의 협상금, 왕의 아들이 기사가 될 때 필요한 비용, 왕의 장녀의 혼인에 필요한 비용 등은 예외로 한다.
  • 제21조 대귀족은 동료 귀족에 의해서만 처벌될 수 있다. 그러나 큰 죄목(반역죄 등)일 경우로만 제한한다.
  • 제39조 자유민은 동등한 신분을 가진 자에 의한 합법적 재판 혹은 국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체포, 감금, 추방, 재산의 몰수 또는 어떠한 방식의 고통도 받지 않는다.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