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Servic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9번째 줄: 9번째 줄:
* Pod 접근 정책을 정의한다.
* Pod 접근 정책을 정의한다.
* [[마이크로서비스]]와 대응되는 개념
* [[마이크로서비스]]와 대응되는 개념
* 클러스터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는 내부(internal)일수도 외부(external)일 수도 있다.
* 액세스 포인트는 내부(internal)일수도 외부(external)일 수도 있다.


{{그림|https://d33wubrfki0l68.cloudfront.net/cc38b0f3c0fd94e66495e3a4198f2096cdecd3d5/ace10/docs/tutorials/kubernetes-basics/public/images/module_04_services.svg|500px}}
{{그림|https://d33wubrfki0l68.cloudfront.net/cc38b0f3c0fd94e66495e3a4198f2096cdecd3d5/ace10/docs/tutorials/kubernetes-basics/public/images/module_04_services.svg|500px}}

2019년 5월 29일 (수) 13:35 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서비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Kubernetes Service, Service
쿠버네티스 서비스, 서비스
  • Pod 집합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접근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API 객체
  • 포트, 로드밸런서을 기술할 수 있다.
  • Pod들을 서로 연결한다.
  • 설정을 분리(decouple)한다.
  • Pod 접근 정책을 정의한다.
  • 마이크로서비스와 대응되는 개념
  • 액세스 포인트는 내부(internal)일수도 외부(external)일 수도 있다.

<img src="https://d33wubrfki0l68.cloudfront.net/cc38b0f3c0fd94e66495e3a4198f2096cdecd3d5/ace10/docs/tutorials/kubernetes-basics/public/images/module_04_services.svg" style="width:500px"/>

2 유형(Type)

  • ClusterIP
  • NodePort
  • LoadBalancer
  • ExternalName

3 예시

kind: Service
apiVersion: v1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selector:
    app: MyApp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9376

4 같이 보기

5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