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Contain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2번째 줄:
;k8s Container
;k8s Container
;쿠버네티스 Container
;쿠버네티스 Container
* k8s에서 직접 작업할 수 있는 단위
* Pod 내부의 구성요소
* k8s에서 직접 작업할 수 없는 단위


{{그림|https://d33wubrfki0l68.cloudfront.net/5cb72d407cbe2755e581b6de757e0d81760d5b86/a9df9/docs/tutorials/kubernetes-basics/public/images/module_03_nodes.svg|500px}}
{{그림|https://d33wubrfki0l68.cloudfront.net/5cb72d407cbe2755e581b6de757e0d81760d5b86/a9df9/docs/tutorials/kubernetes-basics/public/images/module_03_nodes.svg|500px}}

2019년 5월 29일 (수) 10:12 판

1 개요

k8s Container
쿠버네티스 Container
  • Pod 내부의 구성요소
  • k8s에서 직접 작업할 수 없는 단위

<img src="https://d33wubrfki0l68.cloudfront.net/5cb72d407cbe2755e581b6de757e0d81760d5b86/a9df9/docs/tutorials/kubernetes-basics/public/images/module_03_nodes.svg" style="width:500px"/>

2 yaml 예시

2.1 POD yaml에서...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frontend
spec:
  containers:
  - name: db
    image: mysql
    env:
    - name: MYSQL_ROOT_PASSWORD
      value: "password"
    resources:
      requests:
        memory: "64Mi"
        cpu: "250m"
      limits:
        memory: "128Mi"
        cpu: "500m"
  - name: wp
    image: wordpress
    resources:
      requests:
        memory: "64Mi"
        cpu: "250m"
      limits:
        memory: "128Mi"
        cpu: "500m"
→ 컨테이너 2개를 가진 Pod 예시
→ spec.containers 아래에 컨테이너를 명세한다.
→ 환경변수, 사용량 제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3 같이 보기

4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