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has-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 예시
* 예시
:Apple is-a Fruit {{해석|사과는 과일이다.}}
:Apple is-a Fruit {{해석|사과는 과일이다.}}
:Jmnote is-a Website {{해석|Jmnote는 웹사이트이다.}}
:Zetawiki is-a Website {{해석|Zetawiki는 웹사이트이다.}}


==has-a==
==has-a==
31번째 줄: 31번째 줄:
*[[파생형]]
*[[파생형]]
*[[소프트웨어 공학]]
*[[소프트웨어 공학]]
*[[시맨틱 네트워크]]
*[[객체 aggregation, composition]]
*[[객체 aggregation, composition]]


==주석==
==참고==
<references/>
* {{영어위키백과|Is-a}}
 
* {{영어위키백과|Has-a}}
==참고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Is-a
*http://en.wikipedia.org/wiki/Has-a


[[분류:객체지향]]
[[분류:객체지향]]

2019년 5월 4일 (토) 22:38 기준 최신판

is-a, is_a, is a
상속관계
has-a, has_a, has a
소유관계

1 is-a[ | ]

  • 상속 관계
  • A is-a B
A는 B 중 하나
A는 B를 상속함
A는 B의 서브클래스
A는 B의 속성을 모두 계승함
  • 예시
Apple is-a Fruit → 사과는 과일이다.
Zetawiki is-a Website → Zetawiki는 웹사이트이다.

2 has-a[ | ]

  • 소유 관계
Aggregation 또는 Composition 관계
  • A has-a B
A가 B를 가지고 있음
  • 예시
Car has-a Wheel → 차에는 바퀴가 있다. 차는 바퀴를 가지고 있다.
Forest has-a Tree → 숲에는 나무가 있다. 숲은 나무를 가지고 있다.
Pond has-a Duck → 연못에는 오리가 있다.[1]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1. 영어식 표현은 has-a이지만, 한국어(연못이 오리를 가지고 있다.)로는 어색하다.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