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기 전송 모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Jmnote 사용자가 ATM 문서를 비동기 전송 모드 문서로 옮기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95번째 줄: 95번째 줄:
==참고 자료==
==참고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Asynchronous_Transfer_Mode
*https://en.wikipedia.org/wiki/Asynchronous_Transfer_Mod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83391&cid=389&categoryId=264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15541&cid=209&categoryId=209


[[분류: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

2014년 1월 22일 (수) 11:20 판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비동기 전송 모드

1 개요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셀(고정 길이 패킷, 53바이트) 단위로 전송
  • CAC에 기반한 양끝단 오류, 흐름 제어
  • 처리가 단순, 고속망에 적합
  • CBR, VBR 모두 처리 가능

2 셀 구조

  • 2가지 형식이 있음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UNI), 네트워크-네트워크 인터페이스(NNI)

UNI 셀

7     4 3     0
GFC VPI
VPI
VCI
VCI
VCI PT CLP
HEC




패이로드와 선택적 패딩 (48 bytes)



NNI 셀

7     4 3     0
VPI
VPI
VCI
VCI
VCI PT CLP
HEC




패이로드와 선택적 패딩 (48 bytes)



3 같이 보기

4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