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프 (소프트웨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번째 줄: 8번째 줄:
*오픈 소스 쉐프([[아파치 라이센스]]), 엔터프라이즈 쉐프
*오픈 소스 쉐프([[아파치 라이센스]]), 엔터프라이즈 쉐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5/56/Chef_Software_Inc._company_logo.png/300px-Chef_Software_Inc._company_logo.png
{{로고|https://landscape.cncf.io/logos/chef.svg}}


==용어==
==용어==

2018년 10월 6일 (토) 09:48 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요리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CHEF
쉐프
  • 서버·인프라 설정 자동화 도구
  • 대상 노드에 OS, 애플리케이션 설치/설정, 서비스 실행, 크론 등록 등 SSH 작업 자동화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에서 활용
  • 오픈 소스 쉐프(아파치 라이센스), 엔터프라이즈 쉐프

<img src="https://landscape.cncf.io/logos/chef.svg" style="max-height:200px;max-width:300px"/>

2 용어

  • recipe: 기초 설정 요소. ruby문법(.rb)
  • cookbook: recipe 집합(폴더)[1]
  • run_list: node에서 수행할 recipe[2] 목록
  • role: run_list 집합
  • chef server: 쉐프 중앙서버 컴퓨터
  • workstation: 작업 콘솔 컴퓨터(knife 명령어 실행)
  • node: 개별 대상 컴퓨터

3 같이 보기

4 주석

  1. 단순히 폴더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고 default로 적용될 recipe 지정 가능
  2. cookbook도 가능

5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