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2번째 줄:
;cloud native, cloud-native
;cloud native, cloud-native
;클라우드 네이티브
;클라우드 네이티브
* 클라우드 컴퓨팅 딜리버리 모델의 이점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구동시키는 접근방식<ref>https://pivotal.io/cloud-native</ref>
* 클라우드 컴퓨팅 딜리버리 모델의 이점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구동시키는 접근방식<ref name='pivotal'>https://pivotal.io/cloud-native</ref>
*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스케일링, 셀프-힐링, 멀티테넌트 노드를 지원하는 분산 시스템 환경에 호스팅되어야 함<ref name='cloudfoundry'>https://www.cloudfoundry.org/cloud-native-glossary/#cloud-native</ref>
* 애플리케이션이 어디에 호스팅되는지보다는 어떻게 생성·배포되는지에 관심을 둠<ref name='pivotal' /><ref name='cloudfoundry'>https://www.cloudfoundry.org/cloud-native-glossary/#cloud-native</ref>
*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스케일링, 셀프-힐링, 멀티테넌트 노드를 지원하는 분산 시스템 환경에 호스팅되어야 함<ref name='cloudfoundry' />
* 컨테이너로 패키징되고, 동적으로 관리되며, 마이크로서비스를 지향함<ref name='cloudfoundry' />
* 컨테이너로 패키징되고, 동적으로 관리되며, 마이크로서비스를 지향함<ref name='cloudfoundry' />



2018년 9월 30일 (일) 13:46 판

1 개요

cloud native, cloud-native
클라우드 네이티브
  • 클라우드 컴퓨팅 딜리버리 모델의 이점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구동시키는 접근방식[1]
  • 애플리케이션이 어디에 호스팅되는지보다는 어떻게 생성·배포되는지에 관심을 둠[1][2]
  •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스케일링, 셀프-힐링, 멀티테넌트 노드를 지원하는 분산 시스템 환경에 호스팅되어야 함[2]
  • 컨테이너로 패키징되고, 동적으로 관리되며, 마이크로서비스를 지향함[2]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