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구분: 본태성 고혈압, 이차성 고혈압
* 구분: 본태성 고혈압, 이차성 고혈압
* 뇌졸중, 심근경색(심장마비), 심부전, 혈관 동맥류(대동맥류 등), 하지동맥류 등의 주요 위험 인자
* 뇌졸중, 심근경색(심장마비), 심부전, 혈관 동맥류(대동맥류 등), 하지동맥류 등의 주요 위험 인자
* 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치료가 필요함
* 만성 신부전의 원인이 되기도 함
* 만성 신부전의 원인이 되기도 함


18번째 줄: 19번째 줄:
*[[혈압]]
*[[혈압]]


==참고 자료==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고혈압
* {{위키백과}}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3&contents_id=1045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3&contents_id=1045
*http://www.hypertension.or.kr/viewC.php?vCode=101001&main_num=1&sub_num=1&sub_num2=1
*http://www.hypertension.or.kr/viewC.php?vCode=101001&main_num=1&sub_num=1&sub_num2=1

2018년 8월 14일 (화) 12:49 기준 최신판

1 개요[ | ]

hypertension; HTN, HT, high blood pressure, arterial hypertension
고혈압
  • 혈압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만성 질환
  • 혈액이 혈관을 순환하는 데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하게 함
  • 혈압이 지속적으로 140/90mmHg 이상일 때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1]
  • 심장혈관계 사망률 2배
  • 구분: 본태성 고혈압, 이차성 고혈압
  • 뇌졸중, 심근경색(심장마비), 심부전, 혈관 동맥류(대동맥류 등), 하지동맥류 등의 주요 위험 인자
  • 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치료가 필요함
  • 만성 신부전의 원인이 되기도 함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1. 정상 혈압은 수축시 100~140mmHg에 이완시 60~90mmHg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