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 부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복식부기
;double entry book-keeping, bookkeeping by double entry
* 수입부와 지출부가 한 장부 안에서 동시에 기록, 관리되는 방식
;[[複式]] [[簿記]]
;복식 부기
* 수입부와 지출부가 한 장부 안에서 동시에 기록, 관리하는 방식
* 모든 거래를 대변, 차변으로 나눠서 기입한 다음에 각 구좌마다 집계하여 기록, 계산하는 방식의 부기
* 모든 거래를 [[대변(貸邊)]]과 [[차변(借邊)]]으로 나누어 기입한 다음에 각 계좌마다 집계하는 조직적 기장법
* 자산과 부채의 변동 뿐 아니라 자본의 변동과 비용, 수익의 발생원인에 관한 과목도 기록 계산함
* 재산의 이동과 손익을 정확히 알 수 있고 잘못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
* 외부와 거래를 할 때 거래의 주고받는 양 측면을 함께 기록함으로써 기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 등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재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 [[단식부기]]의 반대 개념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단식부기]]
* [[단식부기]]
* [[복식(複式)]]
* [[부기(簿記)]]


==참고==
==참고==
* {{다음사전}}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 {{위키낱말사전}}
* {{위키낱말사전}}


[[분류: 회계]]
[[분류: 회계]]

2018년 3월 3일 (토) 07:21 판

1 개요

double entry book-keeping, bookkeeping by double entry
複式 簿記
복식 부기
  • 수입부와 지출부가 한 장부 안에서 동시에 기록, 관리하는 방식
  • 모든 거래를 대변, 차변으로 나눠서 기입한 다음에 각 구좌마다 집계하여 기록, 계산하는 방식의 부기
  • 모든 거래를 대변(貸邊)차변(借邊)으로 나누어 기입한 다음에 각 계좌마다 집계하는 조직적 기장법
  • 자산과 부채의 변동 뿐 아니라 자본의 변동과 비용, 수익의 발생원인에 관한 과목도 기록 계산함
  • 재산의 이동과 손익을 정확히 알 수 있고 잘못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
  • 외부와 거래를 할 때 거래의 주고받는 양 측면을 함께 기록함으로써 기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 등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재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 단식부기의 반대 개념

2 같이 보기

3 참고

편집자 Jwidengi J Jmnote Wiki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