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OS 인터넷 복구 재설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맥북 복구, 공장초기화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복구, 공장초기화
;맥북 인터넷 복구(Internet recovery)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인터넷 복구(Internet recovery)
;맥북에어 인터넷 복구 맥 OS X 재설치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복구 맥 OS X 재설치
;맥북에어 인터넷 복구로 Mac OS X 다시 설치하기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인터넷 복구로 macOS 다시 설치하기


==문제상황==
==문제상황==
맥북에어에서 [[3 파티션 부트캠프 윈도우 7 설치]]를 시도하다가 맥 OS로 부팅할 수 없게 되었다.
* 맥북에어에서 [[3 파티션 부트캠프 윈도우 7 설치]]를 시도하다가 맥 OS로 부팅할 수 없게 되었다.
* 모르고 Macintosh HD를 날려먹고, 덤으로 복구랑 EFI 파티션까지 날려먹었다. 즉, 컴퓨터가 완벽하게 쓰레기가 되었다.


==설명==
==설명==
맥북에어에는 외장형 DVD 드라이브, Mac OS X 설치본 따위가 제품박스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
2011년 맥북에어(Mac OS X Lion 탑재)부터 '인터넷 복구' 라는 복구 방법을 제공한다.  
대신 2011년 맥북에어(Mac OS X Lion 탑재)부터는 '인터넷 복구'라는 복구방법을 제공한다.  
*'인터넷을'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OS를 복구하는 것이다.
*'인터넷을'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OS를 복구하는 것이다.
*인터넷 복구니까 인터넷이 되어야 하는데, 맥북에어에는 유선랜이 없으므로 Wi-Fi가 되어야 한다.<ref>맥북에어에서 유선랜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유선랜카드를 구입해야 한다. 일반 맥북은 유선랜이 가능하므로 유선랜으로 연결하는 것이 권장된다.</ref>
* EFI 파티션이 망가져도 인터넷만 연결되면 상관없다. 이 정보는 EFI가 아닌 SMC에 박혀 있다.
*OS가 인터넷으로 제공되므로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 인터넷 복구니까 인터넷이 되어야 하는데, 맥북 시리즈에는 유선랜이 없으므로 Wi-Fi 나 혹은 USB/썬더볼트 이더넷 카드를 꽂아야 한다.
* OS가 인터넷으로 제공되긴 하나, 구 버전을 깔고 싶은 사람들에겐 답이 없다.
* 인터넷 복구가 공장 초기화급이긴 하나, 현재 애플이 SMC 업데이트를 하여 최신 OS를 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전엔 진짜 공초로 판매될때 공장에서 탑재된 OS X나 macOS를 깔았다.)


=== 동작 구조 ===
인터넷 복구의 동작구조는 이렇다.  
인터넷 복구의 동작구조는 이렇다.  
# 인터넷으로 Mac OS X Base System이라는 이름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 인터넷으로 Mac OS X Base System이라는 이름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 이미지를 마운트시킨 후 구동한다.
# 이미지를 마운트시킨 후 구동한다.
# Mac OS X 유틸리티가 뜬다.
# Mac OS X 복구 유틸리티가 뜬다.


도중에 인터넷이 끊어지면 곤란하므로 안정적으로 인터넷이 제공되는 곳에서 시도하도록 하자.
당연하게 도중에 인터넷이 끊어지면 곤란하므로 안정적으로 인터넷이 제공되는 곳에서 시도하도록 하자. 그리고 애플의 CDN은 드럽게 느리다. 여기서 판을 대충 짜고(파티션을 갈아엎고), 설치를 한번 눌러줘야 한다. 만일 기다리는 시간이 개같다면 이미 복구 HD가 설치된 거라고 볼수 있으므로 복구 USB로 넘어가자


==부팅 직후==
==부팅 직후==
*전원을 켜자마자 {{키|Cmd|R}}를 누르고 있는다.
*전원버튼을 누르자마자(터치바 모델의 경우 터치ID가 전원버튼 역할을 한다) {{키|Option|Cmd|R}}를 누르고 있는다. 만약 진짜 '공장 초기화', 즉 맥을 살때부터 설치된 원래 OS X 혹은 macOS를 받고자 한다면 {{키|Shift|Option|Cmd|R}}을 누르고 있는다. 기존에 적힌 명령어인 {{키|Cmd|R}}은 macOS가 잘 깔렸을시(즉 복구 파티션까지 날아가지 않은 경우) 사용할수 있다.
 
https://support.apple.com/library/content/dam/edam/applecare/images/en_US/osx/osx_recovery_command.png


*'인터넷 복구를 시작 중입니다. 시간이 약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복구를 시작 중입니다. 시간이 약간 소요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선택... 클릭 --- 적절한 AP 선택 --- 암호 입력 후 {{키|Enter}}
*네트워크 선택... 클릭 --- 적절한 AP 선택 --- 암호 입력 후 {{키|Enter}}
진행 막대가 나타나고 예상시각을 보여준다.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다르겠으나 필자의 경우 12분 정도 걸렸다.)
진행 막대가 나타나고 예상시각을 보여준다.


[[File:macbookair_loading.jpg|300px]]
[[File:macbookair_loading.jpg|300px]]
41번째 줄: 42번째 줄:
#디스크 유틸리티
#디스크 유틸리티


인터넷 복구로 복구를 시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숨겨진 복구 영역 볼륨인 Recovery HD까지 삭제했기 때문일 것이다.
인터넷 복구로 복구를 시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숨겨진 복구 영역 볼륨인 Recovery HD까지 삭제했기 때문일 것일텐데, 이젠 알아서 복구해준다. 파티션을 날리고 Mac OS 다시 설치로 들어가자
맥 OS를 설치하면서 Recovery HD도 복구하도록 하자. (공장초기화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 것이다.)
 
*[디스크 유틸리티] --- [계속]
 
==디스크 유틸리티==
*121.33GB APPLE SSD TS128C Media 선택 --- 파티션 탭 클릭
*파티션 레이아웃: 1개의 파티션
*1 영역 클릭 --- 포맷: Mac OS 확장(저널링) --- 이름: Macintosh HD
*[옵션...] --- (O) GUID 파티션 표 --- [승인]
*[적용]
*'"APPLE SSD TS128C Media" 디스크를 파티션하겠습니까?' --- [파티션]
완료되면 디스크 유틸리티 창을 닫는다.
 
==Mac OS X 설치==
다시 Mac OS X 유틸리티 첫화면이 나타난다.
*[Mac OS X 다시 설치] --- [계속]
*'Mac OS X 설치를 설정하려면 계속을 클릭하십시오.' --- [→ 계속]
*'Mac OS X을 다운로드하고 복원하려는 경우, Apple에서 사용자 컴퓨터의 자격을 확인하게 됩니다.' --- [계속]
*'소프트웨어 설치를 계속하려면, 소프트웨어 사용권 계약의 이용 약관에 동의해야 합니다.' --- [→ 동의함]
*'소프트웨어 사용권 계약 약관을 읽었고 이에 동의합니다.' --- [동의함]
*'Mac OS X을 설치하려는 디스크를 선택하십시오.' --- Macintosh HD 선택 --- [→ 설치]
'추가 구성요소를 다운로드하는 중입니다. 컴퓨터가 자동으로 재시동하게 됩니다.'
 
==시작하기==
맥북에어가 처음 배송 왔을 때의 상태가 바로 이 지점이다. (공장 초기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 '국가 또는 지역을 선택하십시오.' --- [→ 계속]
* '키보드 선택' --- [한글] --- [→ 계속]
*'Wi-Fi 네트워크 선택' --- 적절한 Wi-Fi 선택 --- 암호 입력 --- [→ 계속]
*'이 Mac으로 정보 전송' ---- [→ 계속]
*'사용자의 Apple ID 입력' --- Apple ID, 암호 입력 --- [→ 계속]
*'등록 정보' --- 적절히 입력 --- [→ 계속]
*'컴퓨터 계정 생성' --- 이름, 계정이름, 암호, 확인, 힌트 적절히 입력 --- [→ 계속]
*'이 계정에 대한 그림을 선택하십시오.' --- (O) 그림 보관함에서 선택하십시오. --- 적절히 선택 --- [→ 계속]
*'완료 중' --- 글상자 내에서 두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스크롤 --- [Mac OS X Lion 사용 시작하기]
 
==Mac OS X==
*암호를 입력하여 로그온


==같이 보기==
==같이 보기==
88번째 줄: 51번째 줄:


==참고==
==참고==
*http://support.apple.com/kb/HT4718?viewlocale=ko_KR
*https://support.apple.com/ko-kr/HT201314
*http://www.cultofmac.com/100081/this-is-how-youll-reinstall-os-x-lion-without-a-dvd-or-usb-stick-bad-ideas/


[[분류:맥]]
[[분류:맥]]
[[분류:복구]]
[[분류:복구]]

2018년 1월 26일 (금) 17:44 기준 최신판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복구, 공장초기화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인터넷 복구(Internet recovery)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복구 맥 OS X 재설치
맥북프로 / 맥북 / 맥북에어 인터넷 복구로 macOS 다시 설치하기

1 문제상황[ | ]

  • 맥북에어에서 3 파티션 부트캠프 윈도우 7 설치를 시도하다가 맥 OS로 부팅할 수 없게 되었다.
  • 모르고 Macintosh HD를 날려먹고, 덤으로 복구랑 EFI 파티션까지 날려먹었다. 즉, 컴퓨터가 완벽하게 쓰레기가 되었다.

2 설명[ | ]

2011년 맥북에어(Mac OS X Lion 탑재)부터 '인터넷 복구' 라는 복구 방법을 제공한다.

  • '인터넷을'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OS를 복구하는 것이다.
  • EFI 파티션이 망가져도 인터넷만 연결되면 상관없다. 이 정보는 EFI가 아닌 SMC에 박혀 있다.
  • 인터넷 복구니까 인터넷이 되어야 하는데, 맥북 시리즈에는 유선랜이 없으므로 Wi-Fi 나 혹은 USB/썬더볼트 이더넷 카드를 꽂아야 한다.
  • OS가 인터넷으로 제공되긴 하나, 구 버전을 깔고 싶은 사람들에겐 답이 없다.
  • 인터넷 복구가 공장 초기화급이긴 하나, 현재 애플이 SMC 업데이트를 하여 최신 OS를 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전엔 진짜 공초로 판매될때 공장에서 탑재된 OS X나 macOS를 깔았다.)

2.1 동작 구조[ | ]

인터넷 복구의 동작구조는 이렇다.

  1. 인터넷으로 Mac OS X Base System이라는 이름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2. 이미지를 마운트시킨 후 구동한다.
  3. Mac OS X 복구 유틸리티가 뜬다.

당연하게 도중에 인터넷이 끊어지면 곤란하므로 안정적으로 인터넷이 제공되는 곳에서 시도하도록 하자. 그리고 애플의 CDN은 드럽게 느리다. 여기서 판을 대충 짜고(파티션을 갈아엎고), 설치를 한번 눌러줘야 한다. 만일 기다리는 시간이 개같다면 이미 복구 HD가 설치된 거라고 볼수 있으므로 복구 USB로 넘어가자

3 부팅 직후[ | ]

  • 전원버튼을 누르자마자(터치바 모델의 경우 터치ID가 전원버튼 역할을 한다) Option++R를 누르고 있는다. 만약 진짜 '공장 초기화', 즉 맥을 살때부터 설치된 원래 OS X 혹은 macOS를 받고자 한다면 Shift+Option++R을 누르고 있는다. 기존에 적힌 명령어인 +R은 macOS가 잘 깔렸을시(즉 복구 파티션까지 날아가지 않은 경우) 사용할수 있다.
  • '인터넷 복구를 시작 중입니다. 시간이 약간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선택... 클릭 --- 적절한 AP 선택 --- 암호 입력 후 Enter

진행 막대가 나타나고 예상시각을 보여준다.

Macbookair loading.jpg

4 Mac OS X 유틸리티[ | ]

Mac os x util.jpg

처음 나오는 메뉴는 다음의 4가지이다.

  1. Time Machine 백업으로부터 복원
  2. Mac OS X 다시 설치
  3. 온라인 도움말 얻기
  4. 디스크 유틸리티

인터넷 복구로 복구를 시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숨겨진 복구 영역 볼륨인 Recovery HD까지 삭제했기 때문일 것일텐데, 이젠 알아서 복구해준다. 파티션을 날리고 Mac OS 다시 설치로 들어가자

5 같이 보기[ | ]

6 주석[ | ]


7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