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허 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865B |한자=虛 |속자= |간자= |부수=虍 |훈음=빌 허 |음독=KO, KYO |훈독=MUNASHII |병음= |총획=12 |나머지획=6 |한국어=비다, 없다,...)
 
잔글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30번째 줄: 30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중학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4급II]]
[[분류:중학용 한자]]
[[분류: 쓰기3급II]]
[[분류:읽기4급II]]
[[분류:쓰기3급II]]

2017년 10월 9일 (월) 19:45 판


빌 허
부수 부수 虍
총획/획수 12획 / 6획
훈음 빌 허
일본어 음독 KO, KYO
일본어 훈독 MUNASHII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865B

1 의미

비다, 없다, 비워 두다, 헛되다, 공허하다, 약하다
false, worthless; empty, hollow


2 목록

  • 1음절 한자어

()

  • 2음절 한자어

虛空(허공)虛構(허구)虛點(허점)虛僞(허위)虛飢(허기)虛像(허상)虛勢(허세)虛無(허무)虛事(허사)虛症(허증)虛榮(허영)虛弱(허약)虛風(허풍)空虛(공허)虛實(허실)虛脫(허탈)虛頭(허두)虛名(허명)虛心(허심)陰虛(음허)虛妄(허망)虛飾(허식)虛位(허위)陽虛(양허)氣虛(기허)補虛(보허)脾虛(비허)腎虛(신허)太虛(태허)虛靈(허령)虛禮(허례)虛費(허비)虛辭(허사)虛損(허손)虛數(허수)虛失(허실)虛言(허언)虛套(허투)虛乏(허핍)虛汗(허한)虛血(허혈)

  • 3음절 한자어

虛榮心(허영심)虛脫感(허탈감)虛弱兒(허약아)空虛感(공허감)虛飢症(허기증)虛弱症(허약증)補虛湯(보허탕)虛無感(허무감)胃虛喘(위허천)虛構性(허구성)虛構的(허구적)虛弱者(허약자)虛僞性(허위성)虛風氣(허풍기)虛構心(허구심)虛構化(허구화)虛妄感(허망감)虛想的(허상적)虛榮氣(허영기)虛僞的(허위적)虛荒氣(허황기)

  • 4음절 한자어

虛僞意識(허위의식)虛送歲月(허송세월)虛張聲勢(허장성세)虛無主義(허무주의)虛虛實實(허허실실)虛心坦懷(허심탄회)

  • 5음절 한자어

虛無主義者(허무주의자)虛無主義的(허무주의적)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