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을 절 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7D76 |한자=絶 |속자= |간자=绝 |부수=糸 |훈음=끊을 절 |음독=ZETSU |훈독=TAERU, TATSU, TAYASU |병음=jué |총획=12 |나머지획=6 |한국...)
 
잔글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28번째 줄: 28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중학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4급II]]
[[분류:중학용 한자]]
[[분류: 쓰기3급II]]
[[분류:읽기4급II]]
[[분류:쓰기3급II]]

2017년 10월 3일 (화) 00:23 판


끊을 절
부수 부수 糸
총획/획수 12획 / 6획
훈음 끊을 절
일본어 음독 ZETSU
일본어 훈독 TAERU, TATSU, TAYASU
중국어 병음 jué [1] [2]
유니코드 U+7D76

1 의미

끊다, 단절하다, 숨이 끊어지다, 죽다, 다하다, 끝나다, 막히다, 막다르다, 뛰어나다, 비할 데 없다
cut


2 목록

  • 2음절 한자어

絶望(절망)絶對(절대)絶頂(절정)斷絶(단절)絶壁(절벽)拒絶(거절)絶景(절경)中絶(중절)根絶(근절)絶好(절호)絶叫(절규)氣絶(기절)絶句(절구)絶緣(절연)絶學(절학)絶交(절교)絶糧(절량)絶勝(절승)絶筆(절필)杜絶(두절)腰絶(요절)絶代(절대)絶島(절도)絶滅(절멸)絶色(절색)絶聖(절성)絶世(절세)絶讚(절찬)絶海(절해)

  • 3음절 한자어

絶對的(절대적)絶望感(절망감)絶對性(절대성)斷絶感(단절감)絶對論(절대론)絶對者(절대자)絶望的(절망적)絶緣體(절연체)絶頂期(절정기)斷絶論(단절론)絶對額(절대액)絶對權(절대권)絶對量(절대량)絶對知(절대지)根絶案(근절안)斷絶性(단절성)斷絶的(단절적)絶奴部(절노부)絶對値(절대치)絶緣感(절연감)絶緣物(절연물)中絶率(중절률)

  • 4음절 한자어

絶對主義(절대주의)奇巖絶壁(기암절벽)絶對多數(절대다수)絶對精神(절대정신)絶對絶命(절대절명)絶對論者(절대론자)萬丈絶崖(만장절애)非絶對的(비절대적)松都三絶(송도삼절)絶對服從(절대복종)絶體絶命(절체절명)絶海孤島(절해고도)最絶頂的(최절정적)層巖絶壁(층암절벽)

  • 5음절 한자어

絶對主義者(절대주의자)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