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풀 장 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5F35 |한자=張 |속자= |간자=张 |부수=弓 |훈음=베풀 장 |음독=CHOU |훈독=HARI, HARU |병음= |총획=11 |나머지획=3 |한국어=베풀다,...)
 
잔글 (봇: 고등용을(를) 고등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28번째 줄: 28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고등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4급]]
[[분류:고등용 한자]]
[[분류: 쓰기3급]]
[[분류:읽기4급]]
[[분류:쓰기3급]]

2017년 9월 10일 (일) 23:40 판


베풀 장
부수 부수 弓
총획/획수 11획 / 3획
훈음 베풀 장
일본어 음독 CHOU
일본어 훈독 HARI, HARU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5F35

1 의미

베풀다, 어떤 일을 벌이다, 기세가 오르다, 세게 하다, 성하게 하다, 넓히다, 크게 하다
stretch, extend, expand; sheet


2 목록

  • 1음절 한자어

()

  • 2음절 한자어

主張(주장)緊張(긴장)伸張(신장)誇張(과장)張力(장력)更張(경장)反張(반장)張大(장대)張數(장수)

  • 3음절 한자어

緊張感(긴장감)張本人(장본인)白紙張(백지장)伸張勢(신장세)張皇場(장황장)伸張率(신장률)緊張味(긴장미)誇張氣(과장기)緊張度(긴장도)內主張(내주장)等張性(등장성)高張性(고장성)誇張法(과장법)誇張的(과장적)急伸張(급신장)兩張皮(양장피)主張者(주장자)

  • 4음절 한자어

自己主張(자기주장)甲午更張(갑오경장)張三李四(장삼이사)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