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질 취 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53D6 |한자=取 |속자= |간자= |부수=又 |훈음=가질 취 |음독=SHU |훈독=TORU |병음= |총획=8 |나머지획=2 |한국어=가지다, 손에 들...)
 
잔글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26번째 줄: 26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중학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4급II]]
[[분류:중학용 한자]]
[[분류: 쓰기3급II]]
[[분류:읽기4급II]]
[[분류:쓰기3급II]]

2017년 9월 10일 (일) 23:31 판


가질 취
부수 부수 又
총획/획수 8획 / 2획
훈음 가질 취
일본어 음독 SHU
일본어 훈독 TORU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53D6

1 의미

가지다, 손에 들다, 취하다, 의지하다, 돕다, 채용하다, 골라 뽑다, 받다, 받아들이다
take, receive, obtain; select


2 목록

  • 2음절 한자어

攝取(섭취)先取(선취)受取(수취)喝取(갈취)頭取(두취)爭取(쟁취)錄取(녹취)沒取(몰취)收取(수취)略取(약취)戰取(전취)竊取(절취)

  • 3음절 한자어

攝取量(섭취량)先取點(선취점)受取人(수취인)先取權(선취권)

  • 4음절 한자어

非進取的(비진취적)榮養攝取(영양섭취)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