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龍飛御天歌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 조선 세종 때 [[권제]], [[정인지]], [[안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지은 악장·서사시
*한글 창제 후 첫 한글 문헌이며 악장
:[[성삼문]], [[박팽년]], [[이개]] 등이 주석, [[정인지]]가 서문을 쓰고 [[최항]]이 발문(跋文)
*125장으로 조선 개국의 위대함과 시련 노래
* 1445년(세종 27년)에 지어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
*조선 세종 때 권제, 정인지와 안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지음
* 한글 창제 후 첫 한글 문헌이며 악장
*1445년(세종 27년)에 지어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
* 125장으로 조선 개국의 위대함과 시련 노래
*보물 제1463호로 지정
* 보물 제1463호
* 과도하게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있기 때문에 누군가에 대한 아부를 x비어천가 이렇게 비유하기도 함
* 과도하게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있기 때문에 누군가에 대한 아부를 '□비어천가'라 비유하기도 함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3/Yongbieocheonga.jpg/270px-Yongbieocheonga.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1/%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_%281%29.jpg/250px-%EC%9A%A9%EB%B9%84%EC%96%B4%EC%B2%9C%EA%B0%80_%281%29.jpg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용비어천가 2장]]
* [[훈민정음]]
* [[석보상절]]
* [[세종]]
* [[세종]]
* [[권제]]
* [[권제]]
22번째 줄: 30번째 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분류: 용비어천가]]
[[분류: 보물]]
[[분류: 보물]]
[[분류: 조선]]
[[분류: 조선]]

2017년 9월 3일 (일) 08:23 기준 최신판

1 개요[ | ]

龍飛御天歌
용비어천가
성삼문, 박팽년, 이개 등이 주석, 정인지가 서문을 쓰고 최항이 발문(跋文)
  • 1445년(세종 27년)에 지어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
  • 한글 창제 후 첫 한글 문헌이며 악장
  • 125장으로 조선 개국의 위대함과 시련 노래
  • 보물 제1463호
  • 과도하게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있기 때문에 누군가에 대한 아부를 '□비어천가'라 비유하기도 함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