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케이스,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시나리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9번째 줄: 9번째 줄:


==유스케이스==
==유스케이스==
*[[액터]]가 이용하는 기능
*기능<ref>use case 직역하면 "사용 사례"이지만, "(사용가능한) 기능"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ref>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할지를 설명
*[[액터]]가 사용하는 기능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시스템이 무엇을 하는지를 기술한 것
*시스템이 무엇을 하는지를 기술한 것
*사용방법을 알 수 있음
*사용방법을 알 수 있음
16번째 줄: 17번째 줄: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시스템의 청사진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을 보여줌<ref>단,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까지는 보여주지 않음</ref>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을 보여줌<ref>단,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까지는 보여주지 않음</ref>
*시스템에 대한 기능적 [[요건]]을 표현
*시스템의 청사진 (단, 액터 중심의 표현<ref>다른 말로 하자면 사용자 중심.</ref>)
*액터가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표현
*주요 [[유스케이스]]들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시스템에 대한 기능적 [[요건]]을 보여줄 수 있음
*어떤 이용자가 있는지, 어떤 조작을 하는지 기술함
*어떤 이용자가 있는지, 어떤 조작을 하는지 기술함
*주요 [[유스케이스]]들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


===예시===
===예시===

2013년 5월 4일 (토) 21:58 판

use case
유스케이스, 유즈케이스
use case diagram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유즈 케이스 다이어그램, 사용 사례 다이어그램
scenario
시나리오

1 유스케이스

  • 기능[1]
  • 액터가 사용하는 기능
  •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 시스템이 무엇을 하는지를 기술한 것
  • 사용방법을 알 수 있음
  • 다이어그램에서 가로 타원으로 표현됨

2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을 보여줌[2]
  • 시스템의 청사진 (단, 액터 중심의 표현[3])
  • 액터가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표현
  • 주요 유스케이스들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 시스템에 대한 기능적 요건을 보여줄 수 있음
  • 어떤 이용자가 있는지, 어떤 조작을 하는지 기술함

2.1 예시

Use case restaurant model.svg

개체
연결 (액터-유스케이스)
  • 실선: 액터가 유스케이스를 사용 가능
연결 (액터-액터, 유스케이스-유스케이스)
  • 실선 화살표: 일반화[5]
연결 (유스케이스-유스케이스)
  • 확장(extend) 점선화살표: 조건이 만족될 경우 확장할 수 있는 유스케이스
  • 포함(include) 점선화살표: 한 유스케이스가 다른 유스케이스를 포함

3 시나리오

  • 유스케이스에서 하나의 전체 경로
  • 유스케이스에서 첫단계부터 끝단계까지 가는 경로 한 가지
  • 1개의 유스케이스는 1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가짐

4 같이 보기

5 주석

  1. use case 직역하면 "사용 사례"이지만, "(사용가능한) 기능"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
  2. 단,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까지는 보여주지 않음
  3. 다른 말로 하자면 사용자 중심.
  4. 보통 액터는 외부, 유스케이스는 내부에 있음. 생략하는 경우도 있음
  5. 상속의 반대

6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